• 제목/요약/키워드: relational thinking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아동·청소년의 도덕적 사고 왜곡과 또래괴롭힘 피해/가해경험 간의 관계 : 신체적, 언어적, 관계적 및 사이버 또래괴롭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Cognitive Distortion and Peer Bully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Physical, Verbal, Relational, and Cyberbullying)

  • 이승은;김은영;김정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3호
    • /
    • pp.99-11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cognitive distortion and peer bully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on moral cognitive distortion and peer bullying were administered to 678 students in the 4th, 5th, 7th, 8th, 10th and 11th grad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two-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0.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ile grad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oral cognitive distor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gender did not. On bullying perpetration and bullying victimization, both gender and grad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2) Moral cognitive distor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er bullying. More specifical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variables affecting bullying victimization and bullying perpetration were found to be worst-case-scenario thinking and other-blame thinking, respectively. For middle school students, victimization was affected most significantly by worst-case-scenario thinking, followed by gender; perpetration was most significantly affected by worst-case-scenario thinking. For high school students, victimization was affected most significantly by other-blame thinking, followed by gender; perpetration was most significantly affected by other-blame thinking.

초등수학 영재를 위한 평면에서의 등주문제 고찰 -게슈탈트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soperimetric Problem in a Plane focused on the Gestalt's View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 최근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2호
    • /
    • pp.227-241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평면에서의 등주문제 지도 방법을 게슈탈트 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초등 영재수업에 적용가능 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문제를 고찰하고, 수학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PDF

Investigating Children's Informal Knowledge and Strategies: The Case of Fraction Division

  • Yeo, Sheunhy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283-304
    • /
    • 2019
  • This paper investigates what informal knowledge and strategies fifth-grade students brought to a classroom and how much they had potential to solve fraction division story problems. The findings show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engag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fraction division prior to their formal instruction at school. In order to solve the story problems, the informal knowledge related to fractions as well as division was actively utilized in student's strategies and justification. Students also used various informal strategies from mental calculation, direct modeling, to relational thinking. Formal instructions about fraction division at schools can be facilitated for sense-making of this complex fraction division conception by unpacking informal knowledge and thinking they might bring to the classrooms.

관계적 이해를 위한 수업 도구로서의 소프트웨어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 (Using computer software as an instructional tool for enhancing relational understanding of function concept : three case studies)

  • 최윤녕;권오남;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2호
    • /
    • pp.637-660
    • /
    • 1999
  • Although ‘to understand mathematics’ is an important educational purpose, most student do not have a relational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of mathematics but have a instrumental understanding.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computers for enhancing relational understanding. In the ‘Qualitative case study’, three students who are in the first grade at E-High school took part in 7 activities during four weeks, and were later interviewed and engaged in informal discussion and were observed. This is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e three students were passive participants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situation at school. Therefore, student B just applied formulas which she had memorized, and student C would forgot the formulas occasionally. These common students needed to participate actively in doing mathematics. 2. The activities utilized two software healing with connection between graphs and function, giving th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plan, practice, and test by themselves. As a result, they understood the mathematical formulas and rules more deeply through their own trial and error, and then they gained thinking abilities necessary for doing mathematics. In addition, the activities boosted their confidence. 3. The understanding type of students was slightly different. Student A who received a high score, understood the most relationally, but student B who received a very high score, understood instrumentally and so couldn't app1y her knowledge to solving problems related to function concept. Student C who received a middle score lacked knowledge of mathematics but thought more creatively. The result is that students need an opportunity to think rotationally regardless of score.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using computer software will provide a positive effect for relational understanding in loaming function concept.

  • PDF

창의성에 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 개관 (A Review of the Cognitive Neuroscience of Creativity)

  • 조수현
    • 인지과학
    • /
    • 제26권4호
    • /
    • pp.393-433
    • /
    • 2015
  • 창의성은 독창적이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현대 사회의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인류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창의성의 기전을 이해하고 이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창의성은 매우 이질적이고 복합적인 능력으로서 이를 하나의 능력으로 개념화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창의성의 개별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창의성의 기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관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주요한 구성 요소인 확산적 사고, 통찰, 관계적 사고 그리고 예술적 창의성에 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들을 소개한다.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창의성의 인지신경학적 기전과 관련하여 우반구가 좌반구보다 우세하다는 가설은 실험적 증거에 의해 지지되지 않았다. 또한, 창의성과 관련하여 특정 뇌 영역의 중요성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지 않으며, 다양한 뇌 영역의 활동성이 창의성과 관계된다는 연구 결과가 혼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이한 연구 결과가 관찰되는 이유는 창의성의 각 구성 요소의 이질성 뿐 아니라, 연구에 사용된 과제의 특수성과 과제에 의해 유발된 인지적 전략의 차이에 의해 뇌 활동이 달라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개관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요소 별 뇌기반과 창의성의 증진에 대하여 우수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이룬 대표적인 사례들을 소개하고 현행 연구들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해석기하에서 학습부진학생들의 개념형성에 관한 연구: 관계적.도구적 이해를 중심으로 (Skemp's concept development of underachievers' analytic geometry using the exploratory software, GSP & Excel)

  • 윤인준;고상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643-671
    • /
    • 2012
  • 본 연구는 학습부진학생들을 대상으로 탐구형 소프트웨어인 Excel과 GSP의 활용한 탐구활동을 통해 해석기하의 개념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중학교의 논증기하에 대한 개념과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해석기하의 개념을 관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Skemp의 목표 지향적 학습을 위한 지능 모델이 7차시로 구성되었고 2011년 7월~9월에 5명의 학습부진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로는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통해 관계적 이해($R_2$유형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에 비길 수 있는 두 가지는 $R_1$유형, 즉 직관적 사고 활동을 통한 관계적 이해가 된 경우로 이 과정에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반영적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과 $I_2$유형, 즉 반영적 사고 활동을 통한 도구적 이해가 일어난 경우로 스키마 학습과 같은 장점을 얻게 함으로써 관계적 이해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관계적 이해가 성취되었을 때 아주 초보적인 단계에서 논리적 이해를 할 수 있는 여지와 양식 2의 기호를 통한 의사소통의 능력에 해당하는 수준까지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 PDF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시맨틱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이용자 중심 관계형 패싯 네비게이션을 중심으로 (Proposal for Semantic Digital Archive for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ites List: Centering on User-Centric Relational Facet Navigation)

  • 박선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3-86
    • /
    • 2019
  • 기존의 사이트와 달리 유네스코는 상대적으로 이미 좋은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용자가 기록물을 활용하면서 지혜롭게 선택 활용하는 이용자 중심형 지식 큐레이팅을 할 수 있는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용자 개개인이 이러한 혜택을 누릴수 있게 하려면 미리 시스템 측면에서 구조를 달리 표현해야만 가능하다. 현재의 거의 모든 정보시스템은 의미정보, 맥락정보와 함께 우리 마음속에서 만들어지는 생각의 다양한 연결고리를 무시한 채 만들어져 있다. 이용자가 생각함직한 것을 미리 모델링하고 그 모델링을 바탕으로 이용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형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시맨틱 기술 기반의 새로운 구조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조론에 기반한 관계형 패싯 네비게이션이 적용되는 이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을 위해 이론적이고 실용적인 모델 제안에 이어 프로토타입 수준의 실제 아카이브를 구축해 보았다.

춤-연극⟪시선(God's Eye View)⟫분석을 통한 융복합 공연예술의 실험적 사고와 집단지성의 관계구조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al Structure of Experimental Thinking and Collective Intelligence in Convergent Performing Art: Focusing on Analyzing ⟪God's Eye View⟫)

  • 박소현;안병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470-476
    • /
    • 2016
  • 최근 공연예술은 창의적 융복합의 실험적 사고와 다양성을 추구하는 집단지성의 새로운 정착을 추구한다. 이러한 의미로 예술가의 수평적 창작구조 개념과 대중의 개체소통을 이해하고, 융복합의 사례에 적합한 작품 $\ll$시선$\gg$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공연예술 융복합은 장르별 예술가의 경험적 사고와 통시성으로 접근하고, 작품결과의 해석과 가치는 수평적 관계구조로 공유된다. 둘째, 작품 $\ll$시선$\gg$의 시적이미지의 역동적인 소통과 의미로 표현되었다. 셋째, 융복합의 실험적 창조와 집단지성의 개체소통능력은 새로운 융복합의 가치로 표현되었다. 결국 융복합적 사고의 소통은 집단지성의 실험적 창조를 가능케 하고, 관계 구조는 공연예술의 융복합적 해석과 표현의 유의미한 전이로 확장됨을 결론지었다.

SOLO 분류법과 van Hiele의 기하학습 수준 이론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OLO Taxonomy and van Hele Theory)

  • 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151-16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two models of SOLO taxonomy and van Hiele theory suggest and find out what relation there is between the category system of the SOLO taxonomy and the thinking level of the van Hiele theory. The van Hiele theory describes in line of ranking level so that it may increase the teaching effects by putting together a class,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students thoughts. The SOLO taxonomy focused on the response mode of the students rather than the thinking level or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m to pursuit the method that can describe the students understanding in depth quality-wise. Although the SOLO taxonomy and the van Hiele model seem to have different form and character from outside in terms of their goals, a closer examination reveals that the two stances have much in common and that the models are complementary. Although the van Hiele placed more focus on the thoughts, because the conclusion was based on the students responses, the van Hiele theory can be interpreted within the structure identified in the SOLO model.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understand how the response structure form the SOLO taxonomy and the thinking level of the van Hiele theory are related, based on the studies of Pegg and Davery1998). If you briefly look at them, there are following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the SOLO taxonomy and the van Hiele theory. a) The relational level(R) in iconic moe is van Hiele level 1. b) The multisturctural level(M$_2$) in the second cycle of concrete-symbolic mode is van Hiel level 2. c) The relation level(R$_2$) in the second cycle of concrete-symbolic mode is van Hiele level 3. d) The unistructural level(U$_2$) in the second cycle of formal mode is van Hiele level 4. e) The postformal mode is van Hiele levle 5. Though it would be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se correspondences were perfectly done, if you look at their relation, you can see that the learning process of the students were not carried out uniformly. Therefore, by studying the students response structure, using the SOLO taxonomy, and identifying the learning cycle and understand the geometrical concept more in depth.

  • PDF

상급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 준비도에 대한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Evidence-Based Practice Readiness for Tertiary General Hospital Nurses)

  • 김정숙;구미옥;조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945-2957
    • /
    • 2013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간호사의 비판적사고, 간호조직문화 유형, 근거기반실무 준비도를 파악하고, 근거기반실무 준비도(지식/기술, 태도, 조직의 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2013년 3월 21일부터 3월 28일까지 2개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으로 검정하였으며, 모든 검정의 유의수준은 p<.05이었다. 근거기반실무지식/기술의 영향요인은 비판적사고이었으며 34.7% 예측 설명하였고, 근거기반실무 태도의 영향요인은 근거기반실무지식/기술, 외과병동이었으며 14.2% 예측 설명하였다. 근거기반실무를 위한 조직의 지원에 대한 영향요인은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이었으며 24.6% 예측 설명하였다. 따라서 근거기반실무 도입과 활성화를 위해서 간호부 차원에서의 비판적 사고와 근거기반실무 지식/기술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더불어 간호조직의 문화를 혁신지향문화로 조성하기 위한 체계적 지원구축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