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incarnatio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시각예술에서의 리인커네이션의 개념 (Concepts of Reincarnation in Field of Visual Arts)

  • 오치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96-103
    • /
    • 2007
  • 리인커네이션의 개념은 환생이라는 의미로 번역할 수 있다. 우리의 생활 속에 밀착된 물질과 정신적 요소를 조형 형식으로 탄생시킨다는 것으로 마치 불교와 도교 사상의 윤회와 같은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보잘 것 없는 것이라 할지라도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그 오브제는 빛날 수 있으며 이런 윤회관은 물질에 대한 새로운 예술관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리인커네이션은 물질과 의미들의 조형적 가능성이며 예술의 분자로서의 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 리인커네이션적 사고로 활발히 활동한 그룹은 팝아트이며 그 중심에 앤디워홀이 있다. 워홀은 예술과 삶을 이분법으로 생각하지 않고 리인커네이션적 발상과 유희를 시도했다. 팝아트이후 우리나라에서도 디자인과 광고에서 실험적인 리인커네이션 작업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문화사회는 인터넷과 디지털의 매체가 리인커네이션적 사고와 활동을 확산시키고 있으며, 그런 리인커네이션은 예술의 보편적 철학으로 인정되고 있다. 특히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실천적 대안으로서의 리인커네이션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물질이라는 오브제를 자유롭게 차용하고 변형시킴은 새로운 조형시대를 예고하고 있으며 우리 모두는 그러한 즐거움을 기꺼이 즐겨야할 것이다.

시각디자인교육에서 Reincarnation적 발상에 관한 교재개발 연구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in the Visual Arts Education)

  • 오치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20-228
    • /
    • 2010
  • 리인커네이션은 불교와 도교의 중심철학인 윤회라는 가치관으로 우리의 생활의식 속에 뿌리 깊게 존재해 왔다. 예술의 보편적 가치인 리인커네이션은 오랫동안 오브제로서의 표현의 대상이 되어져 왔으며 팝아트에 이르러서는 특별한 관심을 받았다. 시각디자인교육에서의 리인커네이션은 교육의 도구(Tool)로서 새로운 기능적 가치를 지니며 특히 디지털디자인 영역에서는 수업의 기본적 재료인 교재로서 필수적 콘텐츠가 되고 있다. 리인커네이션을 활용한 디자인교육은 에듀테인먼트적 특성이 두드러지며, 혁신적인 교육기법이라 주목받고 있는 에듀테인먼트 교육은 학습자에게 유희성과 흥미성을 자극하여 내적동기를 유도한다. 리인거네이션이 갖는 정서적 흥미와 인지적 흥미는 학습의 능동적 활동으로 이어져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궁극적 목표에 도달하게 한다. 물질의 환생을 전제로 한 리인커네이션 교육은 물질의 재활용, 재사용이라는 단순한 지속성을 넘어 사물에 대한 본질과 철학적 가치를 이해해야하며 이러한 연구와 교육활동들이 수반되었을 때 디자인교육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기대할 수 있다.

한국 불교와 대순진리회 죽음관 비교연구 - 윤회와 명부·시왕 관념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Death as Understood in Korean Buddhism and Daesoon Jinrihoe: Focusing on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Myeongbu, and the Ten Kings of the Afterworld)

  • 도미닉 루타나
    • 대순사상논총
    • /
    • 제40집
    • /
    • pp.155-185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죽음관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한국 불교와 대순진리회는 죽음관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윤회(輪廻), 명부(冥府), 시왕(十王) 등의 다양한 개념들을 공동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불교와 대순진리회에서 이 개념들은 그 내용과 범주가 다를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교리체계 속에서 작동하는 방식과 중요성에서도 차이가 있다. 즉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윤회 개념은 많은 비슷한 점들이 발견되기도 하지만 윤회의 기간, 또는 윤회 과정에 있어서 타력(他力)의 중요성과 관련된 차이점을 지적할 수 있다. 명부 관념의 경우는 비슷한 점들보다 차이점들이 우세를 차지하고 있다. 왜냐하면 대순사상에서는 불교의 명부설에서 나타난 시왕에 의해 이루어지는 심판 교설도 있기는 하지만, 대순진리회 교리체계 속에서 훨씬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소위 '명부공사'라는 또 하나의 새로운 교설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 전통에서 나타나는 윤회와 명부·시왕 관념들은 같은 개념과 범주를 갖는 것으로 파악할 수 없으며,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자면 불교의 윤회, 불교의 명부나 시왕과는 구분되도록 하여, '대순진리회 윤회', '대순진리회 명부·시왕'과 같은 새로운 개념으로 독립적인 사상 체계 맥락에서 재정의해야 하며, 더 넓은 종교 이론에 포함시켜야 한다.

A Study on the Design of Accessories through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 Park, You Shin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6호
    • /
    • pp.77-86
    • /
    • 2017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unethical issues in leather processing and to develop designs of leather products based on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by ecosystem circulation. The method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 the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and the design process for development fashion accessories using waste leather. The design process comprises collecting waste leather, classifying waste leather by type, color, and size, and developing leather products according to line carnation method. For this research, the material was limited to waste cowhide leather collected from leather workshops and leather product factories. The leather pieces were divided into typical and atypical types and developed leather accessories based on the leather piece's color and size. A twill brooch, four-string bracelet, a brooch using the four-stringed leather strap and mini handbag designs were developed using regular type waste leather. An armband of abstract patterns and a cellphone case with graffiti pattern using irregular type over-splitting waste leather. The environmental issues in design are observed as part of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Development of waste leather accessory can expand the usability of the waste leather as well as increase the product value by creating limited-line editions. By understanding the role and benefits of sustainable upcycling, this research suggests an efficient way to use waste materials in fashion to coexist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한국무속의 신격 연구1 - 서울과 고성의 재수굿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Divinity of Korean Shamanism 1)

  • 심상교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365-414
    • /
    • 2018
  • 본고는 한국무속에 나타난 신격의 유형과 성격을 연구하는 과정의 하나로 서울과 강원도 고성의 재수굿에 나타난 신격에 대해 연구하였다. 신격에 대한 연구란 무속신이 각 굿에서 의미하는 바, 무속신의 위계, 무속신 상호간의 관계, 무속신의 각 지역 간 대비점 등에 대한 고찰을 의미한다. 본고의 무속 신격 연구는 채록된 무가를 근간으로 하였다. 서울의 재수굿은 논자에 따라 10거리에서 18거리까지 다양하지만 대체로 10거리 내외다. 본고에서는 김태곤이 채록한 12거리 무가를 근간으로 한다. 12거리는 부정거리, 가망거리, 말명거리, 상산거리, 별상거리, 대감거리, 제석거리, 호구거리, 군웅거리, 성주거리, 창부거리, 뒷전거리 등이다. 강원도 고성의 재수굿은 8거리로 부정굿, 서낭굿, 조상굿, 성주굿, 지신굿, 칠성굿, 말명굿, 거리풀이로 구성되었다. 말명거리는 독립굿이 아니라는 견해도 있지만 분석텍스트에 의거하여 본고에서는 독립된 거리로 본다. 그리고 상산 별상 신장 대감을 분리하기도 하고 묶어 대안주로 보기도 하지만 역시 김태곤무가집의 텍스트대로 분리하여 고찰한다. 재수굿의 핵심은 이성과 과학으로 설명되지 않는 세계를 이용해서 개인의 평안을 기원한 측면이 강하다. 인간의 기억에 저장된 경험의 세계를 이성과 과학이 모두 설명할 수 없는 측면이 반영된 것이고 인간 삶의 넓고 다양한 측면에 대해 해명하고자하는 탐구와 정리가 재수굿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의 재수굿 각 굿에는 그 굿의 근간이 되는 주신이 있고 주신의 의미를 분명히 하려는 종신, 속신이 있다. 한 굿의 주신은 다른 굿에서 종신이나 속신이 되기도 한다. 각 신격들은 상하관계로 존재하지 않고 평등하게 존재하는 것이다. 재수기원의 신들은 기본적으로 나라안위${\rightarrow}$지역안위${\rightarrow}$가정안위 순으로 굿을 받게 된다. 국태민안${\rightarrow}$안과태평${\rightarrow}$부귀공명${\rightarrow}$재수소망의 순서가 되는 것이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동양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iental Spirit Detectable in Modern Fashion Style)

  • 채혜숙;채금석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0-72
    • /
    • 2008
  • A midst the tendency in an attempt to rehabilitate the coexistence of values in Oriental and Western cultures, along with centripetal attention through reincarnation of the Oriental culture, the modem fashion trend is also inclusive of such Oriental flavors even in the opposite Western fashion icons with an outlook for futuristic alternative. In this regard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ient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contemporary fashion in a more profound and right manner by evaluating its spirituality and formativeness through analytical survey on preliminary literatures, whose key words are as follows; Fist, heterogeneity inclusive of the Oriental comprehensiveness through non-periodic chaos; second, imperfection in pursue of perfection through non-perfection; third, asymmetry caused by polarized historicity together with agility in the Oriental costumes; fourth, simplicity bridging into religious naught, and; fifth, spatial comfortablity shrouded by loose design. As a result, the study demonstrates that Oriental sensitivity implicative at the modem fashion, prior to its formativeness, shed out a clue of the Oriental profound spirits in its fashion style.

  • PDF

The Heroic Journey in Yeats's Cuchulain Plays

  • Du, Lei;Xiao, Yongmei;Kang, Seung-M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81-187
    • /
    • 2021
  • According to Joseph Campbell, there is always a similar pattern in the hero myth, which is called hero's journey. The legends about Cuchulain, the great Irish warrior, also follow this pattern. W. B. Yeats adapts the legends into his plays with Cuchulain as the protagonist. This paper discusses the protagonist's heroic journey in the five Cuchulain plays written by Yeats. In the five plays, Cuchulain grows, matures, weakens, dies, and resurrects, completing and meanwhile sublimating his heroic journey. In At the Hawk's Well, Cuchulain shows potential qualities of a hero. The Green Helmet displays his self-growth through the depiction of his heroic merits which make him a true hero. In On Baile's Strand, the hero suffers from the major frustrations and tribulations in his heroic journey and is stricken down consequently. The Only Jealousy of Emer reflects the hero's inner struggle and vulnerability. The last play, The Death of Cuchulainn, marks the end and reincarnation of the hero's life. Through the depiction of Cuchulain's heroic journey in the five plays, his heroic qualities are well demonstrated. Meanwhile, Yeats's views of heroism can be found as well.

태국 민담 <쁠라 부텅>류에 나타난 태국인의 문화적 특성 (Some Aspects of Thai culture on the folktale "Pla Boo Thong")

  • 김영애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1권1호
    • /
    • pp.287-314
    • /
    • 2011
  • There are many versions of the thai folktale "Pla Boo Thong" in Thailand, which is a typical type of stepmother story and in many ways resembles Cinderella story. This study, the author took 6 versions, some from books, some from internet. The main story of those 6 version is consist of the death of mother, stepmother and step sister, the maltreat of the stepmother to the heroine, tiding over the critical moments with the help of the dead mother and others, getting married with the king and happy of the heroine, death of the heroine by the slander of stepmother, posing as a queen of the stepsister, reincarnation of the dead heroine, meeting with the king again, and punishment and the stepmother and stepsister. The main theme of this narrative is a conflict in the polygamic family and is followed by the pattern of the Cinderella tale such as the distinct contrast of Good and Evil. This tale also teaches teachings of Buddha such as the punitive justice, the promotion of virtue and reproval of vice, and forgiveness. And otherwise it gives the people the courage and hope to overcome fortitude in their life.

한국 영화 속의 동양 미학적 의미 연구 - <신과 함께-죄와 벌>을 중심으로 - (A meaning Study of the Oriental Aesthetics of South Korean Films - Taking Along with the Gods : The Two Worlds as an Example -)

  • 석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87-94
    • /
    • 2019
  • 한국 영화는 섬세한 서사, 함축적인 감정 표현, 아름다운 장면으로 동양 미학 독특적인 묘미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영화 서사학 이론을 활용하여 한국 영화 <신과 함께 -죄와 벌>에서 나타난 동양 미학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영화는 가족애를 주제로 한 판타지 영화이다. 아시아에서 많이 알리는 불교의 인과응보와 환생륜회를 영화의 틀로 하며 가족애를 영화의 핵심으로 하였다. 그리고 놀라운 시각 효과로 지옥의 세계를 그려졌는데 스릴러의 메인라인에서 가족애를 표현했다.

아시아 문화권에서의 상실과 슬픔 (Loss and Grief in Asian Culture)

  • 홍영선;염창환;이경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권1호
    • /
    • pp.1-5
    • /
    • 1998
  • Grief is the ordinarily self-limited complex of symptoms and processes that constitute the acute reaction to a significant loss. And it is the reaction of the dying as well as the bereaved. Every culture has had its own ways of grief and mourning. The definition of healthy grief and mourning, in terms of both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length of time it should continue, mostly depend upon the type of culture as well as the type of religion. So the manner of grief and mourning greatly differs from culture to culture. In the most of the Asian countries, influenced by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death is traditionally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life cycle transition. In Chinese culture, many rituals have evolved to help family members deal with their loss, over the past five thousand years. Confucianism taught the virtues of filial piety and righteousness. These rules and many customs added since the time of Cofucius, have been loyally followed and practiced by many Asian people. However, Buddhists have different ideas. They believe in karma and reincarnation and in predetermination of one's present life by good or bad deeds in the present life and past lives. Display of uncontrollable emotion is not encouraged. Continuity of family relations after death is very important. The ancient practice of the ancestor worship is still followed in many Asian households. Many Buddhist do not practice ancestor worship; family members honor the deceased by placing a memorial plate in the temple for continued chanting purposes. The mourning rituals have been dramatically curtailed in the past 50 years. For exampl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forces have shaped the current mourning practices of Chinese in different countries. There are many clinical implications in helping Asian to deal better with the emotional strains of the experience of loss. The therapiest must respect the cultural framework through which the client perceives family los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