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regeneration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7초

근린재생을 위한 지역연계형 학교시설 계획방향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Direction of Local Connected School Facilities for the Neighborhood Regeneration)

  • 김지수;유해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5호
    • /
    • pp.71-82
    • /
    • 2020
  • As the number of students continues to decline, alternatives to regional linkage and utilization of school facilities in the region are being sough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rograms and remodeling directions for school facilities for neighborhood regeneration in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reas. To this end, first,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educational courses and policies in Korea. Secon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combined operation of school facilities were analyzed. Thir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ocal-linked school facilities were derived through policies and case analysis. Finally, the direction of the plan considering this was proposed.

베를린의 노후주거지 재생을 위한 근린재생(QM)프로그램 연구 (A Study on the Neighborhood Management(QM) Program for the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Residential Blocks in Berlin)

  • 유해연;박연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969-3982
    • /
    • 2014
  • 본 연구는 노후주거지의 근린재생 정책 및 새로운 계획방향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이를 앞서 진행하고 있는 독일, 베를린의 근린재생프로그램(QM)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향후 국내 노후 저층주거지의 근린재생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독일의 지역재생 정책과 현황을 고찰한 후, QM프로그램의 전략, 자금지원 및 활용계획, 프로그램 적용지역, 지역선정 기준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유형별 특징을 분석한 후 국내 주거지 재생과 관련된 주요 사례를 분석하였다. 현지조사, 면담 및 이론연구가 병행되었다.

전통마을의 빈집 재생, 활용을 통한 지역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일본 담바사사야마시(丹波篠山市) 고민가 재생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ional Revitalization through Regeneration and Utilization of Vacant Houses in Historic Village - Focused on the Traditional Housing Regeneration Project of Tambasasayama in Japan -)

  • 김홍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8
    • /
    • 2020
  • Recently, cultural property policies have changed from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to the utilization of cultural assets. In historic villages, more and more traditional housings have been used as lodging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low birth rates, aging population, declining population due to population outflow to the cities, increasing vacant houses, and aging buildings are tasks of historic villages. To be preserved the historic villages continuously, it is time to review how to regenerate and utilize the growing number of vacant houses. This study targets Tambasasayama city, which is drawing attention to the regeneration and utilization of vacant houses among historic Japanese villages. We want to analyze the operation systems and deregulation of a traditional housing regeneration project in Tambasasayama city and draw suggestions for the regeneration and utilization of vacant houses in traditional villages in South Korea.

도시재생사업 추진방식의 차이점과 정책적 개선방안 - 서울시와 국토부 도시재생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ajor Differences betwee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Execution Methods and Future Policy Improvements Propositions - Centering arou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eoul Metropolitan City-MOLIT Urban Regeneration Project Execution Cases -)

  • 박성원;함광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743-755
    • /
    • 2022
  •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ifferences in urban regeneration independently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and Seoul based on related laws and ordinances, and to draw out the implications of Korean urban regeneration's dire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oul has constantly responded to the revis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Act by adjusting and specifying the contents of ordinances, and especially, there have been efforts to enhance regional characteristics suitably for the circumstances of Seoul. Second, in the urban regeneration of Seoul, the budgets including the matching ratio of national and local subsidies shall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MOLIT in changing designating places after the selec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by the ministry, and this procedure and these implementation methods cause confusion to Seoul and local government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budgets and support methods of the "Gaggum Housing Project" of Seoul and "New Deal Housing Repair Project" of the MOLIT, which caused conflicts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and support standards, and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guidelines. Although the urban regeneration greatly contributed to the revelation and conserv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it might be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s that can enhance citizens' awareness and compensate the efficient contents needed for each region in the future.

신규 창업점포의 밀도 및 다양성 지표를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대상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Sites Using the Density and Diversity Indicators of New Startup Stores)

  • 장성만;박영수
    • 지역연구
    • /
    • 제37권2호
    • /
    • pp.3-16
    • /
    • 2021
  • 본 연구는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신규 창업점포의 밀도 및 다양성 지표를 산출하고, 이를 대조군 그룹과 비교함으로써, 도시 재생사업으로 인한 지역의 활성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로 제시된다. 첫째,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의 신규 창업점포의 밀도가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이를 통해 도시 재생사업은 새로운 유동인구의 유입을 가져올 것이며, 지역 활성화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둘째,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와 대조군의 신규 창업점포의 업종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는 거주자가 아닌 활동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업종의 비율이 높았다. 이는 주간 인구를 유도함으로써, 지역의 활성화를 촉진할 것이다. 셋째, 신규 창업점포의 업종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와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대도시의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는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이 밀집되어 있어 소비자를 위한 다목적 쇼핑을 유도할 것이라 기대되며, 소도시의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는 유사한 업종이 밀집함으로써, 소비자의 비교 쇼핑을 유도할 것이다.

선진국 항만재개발과 도시재생사업의 경험과 정책적 시사점 (The Policy Implications of Port Re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Experiences of Advanced Countries)

  • 진영환
    • 지역연구
    • /
    • 제31권1호
    • /
    • pp.83-101
    • /
    • 2015
  •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산업화시대에 조성되었던 항만들이 노후화되면서 1970년대 부터 항만재개발과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들어서서 부산북항 재개발사업을 시작으로 인천내항의 시민개방과 함께 재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사업은 항만과 도시의 재개발이 통합적으로 추진되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역사성과 장소성의 훼손, 부동산시장 의존형 사업구조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유럽, 미국 등의 성공적인 항만도시 재생사업을 살펴본 결과,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항만과 배후도시를 하나의 패캐지로 한 통합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항만도시 특유의 역사적 지역자산을 최대한 보전, 활용하고 정교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서 수준 높은 수변도시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안정적인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 앵커시설의 유치, 장소 판촉, 재원조달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 도입 등이 정책적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도시재생 사례에 대한 공공디자인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ublic Design Characteristics in Urban Regeneration Cases)

  • 류혜지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47-55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development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by analyz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have been carried out so far according to evaluation items on public design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method was divided into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seven evaluation items for public design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publicness, accessibility, regional identity, aesthetics, communication, functionality, and sustainability. The research subjects were four urban regeneration project cases carried out across the country. Second, among the seven evaluation items for public design characteristics, publicness was all highly applied, but the other six items were applied differently in each case. Third, to increase sustainability, we must use eco-friendly materials and consider sustainable maintenance methods, functionality must be strengthened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comfort of public facilities and public spaces, and communicability must be improved for local tourists. We actively look for way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ccessibility involves incorporating more universal design, aesthetics focuses on adding beauty to spaces and facilities, and regional identity focuses on the unique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We suggest finding a theme and actively using i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Lastly, for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to be successful,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apply not only publicness but also accessibility, local identity, aesthetics, communication, functionality, and sustainability. In the future, public design characteristics should be more actively applied and considered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도시재생정책 초기의 지역밀착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Local-based Community Business in the Early Stages of Urban Regeneration Policy)

  • 한승욱
    • 지역연구
    • /
    • 제37권3호
    • /
    • pp.47-58
    • /
    • 2021
  • 부산광역시는 도시재생특별법이 제정되기 이전인 2010년부터 도시재생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과 희망마을만들기사업과 같은 지역재생사업을 자체 예산으로 추진하면서 도시정책에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참여를 확대해 온 선도적 지자체이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정책 초기에 부산광역시를 거점으로 한 지역밀착형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운영현황과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밀착형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지향점은 '지역 공동체 의식 강화'에 있는 반면, '지역주민간 상부상조 기회 제공'과 '지역 주민들의 지역사회 이해 강화' 등의 파급효과는 낮으며, '충분한 사업자금 확보'와 '필요한 인재 확보'가 운영상의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향후 도시재생정책에서 지역밀착형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조금을 확대하기보다 도시재생사업의 기능조직으로 전환하고 사업참여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ole of Business Improvement Districts (BI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Districts - Based on a case study on BIDs in London, UK -

  • Youngseo Park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9-27
    • /
    • 2023
  • London's BID, introduced in the early 2000s, has grown significantly to fill the gap between government services which have been decreased by the global recession and localism, and the demand for better service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n a global level.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sed two BIDs in London with contras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o find how BID works differently for the regener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regional business district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two BIDs ultimately had the goal of improving the local business environment and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businesses and had a common point of working in close partnership with the public sector such as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depending on the local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trategies of work and the roles and relationships in the partnership with the public sector.

문화자산을 토대로 한 도시재생과 지역발전 -<서울동화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Cultural Asset based Rehabit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Focusing on -)

  • 이병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1-67
    • /
    • 2016
  • 최근의 도시발달은 하드웨어 중심보다 도시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정성적 성장이 중요해지는 성숙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뿐 아니라, 도시 내부의 경쟁력으로서 문화자산의 가치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서 문화자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이라는 측면에서 서울동화축제의 사례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지역발전에 대한 모델을 찾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동화축제의 구성요소들을 문화자산의 세부특징별로 분석하여, 하드웨어적인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휴먼웨어를 중심으로 하는 거버넌스 구조와 다양한 콘텐츠웨어등 생태계 특징에 따라 구분하여, 상호간의 관계와 순환구조를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는 이러한 문화자산의 특징이 물리적 자산과 인문적 자산, 프로그램과 결합하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시너지효과 창출의 근거가 되고 있으며, 기존시설의 강화와 확장을 통한 지역재생형 도시재생과 융합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지역혁신형 도시재생의 가능성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모델은 기존의 물리적 자산뿐 아니라, 축제와 연계된 문화자산을 토대로 도시재생의 방향을 택하고, 축제개최를 위해 다양한 거버넌스들이 결합함으로써, 자생적인 선순환구조를 마련하는 기반이 구축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