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Sites Using the Density and Diversity Indicators of New Startup Stores

신규 창업점포의 밀도 및 다양성 지표를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대상지 평가에 관한 연구

  • 장성만 (국립목포대학교 도시및지역개발학과) ;
  • 박영수 (국립목포대학교 도시및지역개발학과)
  • Received : 2021.04.16
  • Accepted : 2021.06.15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various indicators of new stores targeting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compared them with the control group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revitalization of areas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taking pla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density of new start-up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rough this, urban regeneration areas will bring about an influx of new floating populations and will act as a positive factor in local revitalization. Second,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based on the business type of new start-up sto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rban regeneration areas have a high proportion of industries targeting the active population, not residents. This will promote local activation by attracting the daytime population. Third,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based on the diversity of the business types of newly established sto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rban regeneration areas in metropolitan cities will induce multipurpose shopping for consumers as stores selling different products are concentrated. On the other hand, urban regeneration areas in small cities will induce consumers to compare shopping as stores selling similar products are concentrated.

본 연구는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신규 창업점포의 밀도 및 다양성 지표를 산출하고, 이를 대조군 그룹과 비교함으로써, 도시 재생사업으로 인한 지역의 활성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로 제시된다. 첫째,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의 신규 창업점포의 밀도가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이를 통해 도시 재생사업은 새로운 유동인구의 유입을 가져올 것이며, 지역 활성화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둘째,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와 대조군의 신규 창업점포의 업종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는 거주자가 아닌 활동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업종의 비율이 높았다. 이는 주간 인구를 유도함으로써, 지역의 활성화를 촉진할 것이다. 셋째, 신규 창업점포의 업종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와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대도시의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는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이 밀집되어 있어 소비자를 위한 다목적 쇼핑을 유도할 것이라 기대되며, 소도시의 도시 재생사업 대상지는 유사한 업종이 밀집함으로써, 소비자의 비교 쇼핑을 유도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대한민국 교육부와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NRF-2017S1A5B5A02026190) (21CTAP-C164289-01).

References

  1. 김민석.이광영.이우형. (2012). 창조도시 개념을 통한 지방도시의 원도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시 원도심 중심으로.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1(4), 53-66. https://doi.org/10.21195/jidr.2012.11.4.004
  2. 김소민.정혜진. (2017). 도시재생 활성화 수단으로서의 창업분석: 도시재생선도지역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107-120.
  3. 김용훈.양승우. (2017). 서울 삼청동길의 보행인구 데이터를 활용한 구간별 상업가로 활성화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길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8(1), 63-77.
  4. 김태현.고진수. (2015). 잠재소비인구가 점포밀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의 음식 및 주점업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6(3), 101-115.
  5. 김현철.안영수. (2019). 상점 밀도와 업종 다양성을 이용한 서울시 골목상권의 동태적 변화 모니터링 연구. 서울도시연구, 20(4), 149-170.
  6. 노태욱.강창덕. (2009). 도시환경이 주거용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서울시 강북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학연구, 15(1), 81-101.
  7. 이민정.김양중. (2019). 지역상권내 할인마트가 소상공인 이윤에 미치는 영향: 충남사례를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21(2), 1-21.
  8. 이우종.구자훈.이주림.김아름.김어진.전한보미.박주영, 국유민.오종구. (2017).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사업운영 매뉴얼.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9. 이정란. (2017). 업종다양성에 따른 상권의 형성 과정 및 변화 특성 (Doctoral dissertation, 서울대학교 대학원).
  10. 이정란.최막중. (2018). 동종과 이종의 도.소매 업종구성에 따른 상권 변화의 특성.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2), 137-154.
  11. 윤나영.최창규. (2013). 서울시 상업가로 보행량과 보행 환경 요인의 관련성 실증 분석. 국토계획, 48(4), 135-150.
  12. 이경민.하승현.정경훈.정창무. (2014). 대형상업시설 입지가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원시 소매업 및 음식업 점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0(4), 49-56.
  13. 이새나리.김흥순. (2017). 상업가로 활성화 지표 도출에 관한 연구-신촌, 이태원, 신사동 가로수길, 홍대 지역가로방문객을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지, 51(2).
  14. 이창효. (2017). 신생기업 생존과 설립지역 특성에 대한 관계 실증분석: 신생기업 설립지역의 산업활동 특성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2(5), 131-151. https://doi.org/10.17208/jkpa.2017.10.52.5.131
  15. 임하나.성은영.최창규. (2017). 상업시설의 다양성과 가로활력과의 관련성 실증분석-서울시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을 구분하여. 도시설계, 18(6).
  16. 채구묵. (2014). 사회과학 통계분석. 파주: 양서원.
  17. 한슬기.김정빈. (2016). 도시재생사업 내 민간 비즈니스 참여와 역할: 영국 도시재생 거버넌스와 주도적 디벨로퍼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7(3), 25-44.
  18. Arentze, T. A., Oppewal, H., & Timmermans, H. J. (2005). A multipurpose shopping trip model to assess retail agglomeration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2(1), 109-115. https://doi.org/10.1509/jmkr.42.1.109.56884
  19. Bucklin, L. P. (1967). The concept of mass in intra-urban shopping. Journal of Marketing, 31(4), 37-42. https://doi.org/10.2307/1249464
  20. Dellaert, B. G., Arentze, T. A., Bierlaire, M., Borgers, A. W., & Timmermans, H. J. (1998). Investigating consumers' tendency to combine multiple shopping purposes and destin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5(2), 177-188. https://doi.org/10.1177/002224379803500204
  21. Eaton, B. C., & Lipsey, R. G. (1979). Comparison shopping and the clustering of homogeneous firm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19(4), 421-435. https://doi.org/10.1111/j.1467-9787.1979.tb00610.x
  22. Hanson, S. (1980). Spatial diversification and multipurpose travel: implications for choice theory. Geographical Analysis, 12(3), 245-257. https://doi.org/10.1111/j.1538-4632.1980.tb00034.x
  23. Leszczyc, P. T. P., Sinha, A., & Sahgal, A. (2004). The effect of multi-purpose shopping on pricing and location strategy for grocery stores. Journal of Retailing, 80(2), 85-99. https://doi.org/10.1016/j.jretai.2004.04.006
  24. Nelson, P. (1970). Information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78(2), 311-329. https://doi.org/10.1086/259630
  25. O'Kelly, M. E. (1981). A model of the demand for retail facilities, incorporating multistop, multipurpose trips. Geographical Analysis, 13(2), 134-148. https://doi.org/10.1111/j.1538-4632.1981.tb00721.x
  26. Teller, C. (2008). Shopping streets versus shopping malls-determinants of agglomeration format attractiveness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 18(4), 381-403. https://doi.org/10.1080/09593960802299452
  27. Teller, C., & Elms, J. R. (2012). Urban place marketing and retail agglomeration customer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8(5-6), 546-567. https://doi.org/10.1080/0267257x.2010.517710
  28. Wolinsky, A. (1983). Retail trade concentration due to consumers' imperfect information. The Bell Journal of Economics, 275-282. https://doi.org/10.2307/3003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