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al Asset based Rehabit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Focusing on -

문화자산을 토대로 한 도시재생과 지역발전 -<서울동화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 Lee, Byung-min (Department of Digital Culture & Contents, Konkuk University)
  •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6.02.24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Urban development-related growth in recent years has become a qualitative growth based on regional identity, rather than a hardware-based growth. For this purpose, strategic approaches to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of the city are required for competitiveness of the city. In this paper, I seek a model for urban regener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empirical case studies of cultural assets and utilize the 'Seoul Fairy Tale Festival' in terms of strengthening regional competitiveness. By analyzing detailed elements of the 'Seoul Fairy Tale Festival' case, the hardware infrastructure, software and governance structures, diverse contentsware, ecosystem characteristics centered on the humanware, and circular structure was studied. As a feature of cultural assets, combined with the management of physical assets and operations of several programs, was the basis for creating a synergy effect of creating an identity for the reg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 regional-rehabilitation type of urban regeneration that is based on the expansion of existing facilities, and a regional-innovation type of urban regeneration that is based on a fusion of characteristics. This analysis is significant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large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ultural assets associated with the festival, as well as physical assets and by combining various governance stakeholders for the festival, it can be concluded that it provided an indigenous virtuous cycle.

최근의 도시발달은 하드웨어 중심보다 도시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정성적 성장이 중요해지는 성숙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뿐 아니라, 도시 내부의 경쟁력으로서 문화자산의 가치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서 문화자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이라는 측면에서 서울동화축제의 사례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지역발전에 대한 모델을 찾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동화축제의 구성요소들을 문화자산의 세부특징별로 분석하여, 하드웨어적인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휴먼웨어를 중심으로 하는 거버넌스 구조와 다양한 콘텐츠웨어등 생태계 특징에 따라 구분하여, 상호간의 관계와 순환구조를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는 이러한 문화자산의 특징이 물리적 자산과 인문적 자산, 프로그램과 결합하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시너지효과 창출의 근거가 되고 있으며, 기존시설의 강화와 확장을 통한 지역재생형 도시재생과 융합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지역혁신형 도시재생의 가능성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모델은 기존의 물리적 자산뿐 아니라, 축제와 연계된 문화자산을 토대로 도시재생의 방향을 택하고, 축제개최를 위해 다양한 거버넌스들이 결합함으로써, 자생적인 선순환구조를 마련하는 기반이 구축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 2012, 지역거점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추진실태 및 향후 과제.
  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 세계동화축제 개최 연구용역 보고서, 광진구.
  3. 기윤환, 2011, 인천시 지역고유의 문화자산을 활용한 지역밀착형 도시재생방안연구, 인천발전연구원.
  4. 김인선 외, 2010, "도시재생을 위한 컬처노믹스적 접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6(5) (통권259호), pp.285-296.
  5. 김정아, 2012, "창조도시와 마을만들기", 부산시 창조도시본부 워크숍 발표자료(2012. 2. 24).
  6. 김준연.남영우, 2012, "도시재생사업의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방향성 제고에 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7(3), 통권21호, pp.167-176.
  7. 김혜민, 2011,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창조적 도시재생 정책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정책연구 1(2) 통권2호,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연수원, pp.25-54.
  8. 남기범.송정은, 2014, "창조경제정책 논의와 지역발전",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32-645.
  9. 도시재생 네트워크, 2009, 뉴욕 런던 서울의 도시재생 이야기.
  10. 백선혜, 2004,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 도입과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대한지리학회지 39(6) 통권105호, pp.888-906.
  11. 서울동화축제추진위원회, 2015, 2015 서울동화축제 자체 평가보고서.
  12. 서울특별시, 2014, 어린이 문화마을 컨설팅 연구.
  13. 신동호, 2015, "독일 루르지역의 도시재생정책:오버하우젠시와 겔젠키르헨시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pp.60-75
  14. 이민화, 2010, "지속가능한 지역재생정책의 추진방향 - 일본 지역재생정책 검토를 통하여", 한국지역개발학회 춘계학술대회, 한국지역개발학회.
  15. 이병민, 2012, "콘텐츠 생태계 중심 창조적 문화도시의 발전방향", 인문콘텐츠 25, pp.9-38.
  16. 이병민 외, 2013, 창조경제시대 한국형 지역재생모델 수립을 위한 인문학적 접근방안 모색,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7. 이병민.이원호, 2013, "창의적 대학의 역할을 통한 지역발전의 특징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7(2), pp.201-216.
  18. 이병민.이원호, 2014,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의 문화변동과 지역발전: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215-230.
  19. 이선영.남진, 2015, "도시재생 수단으로서 지역자산의 의미와 활용실태 분석", 국토계획 50(3), pp.123-151. https://doi.org/10.17208/jkpa.2015.04.50.3.123
  20. 이소영 외, 2012,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이왕건 외, 2011, 지역자산 활용형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2. 정수희.이병민, 2014, "창조적 장소자산으로서 예술자산의 유형과 사례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pp.28-44.
  23. 조광호, 2013, 문화를 통한 지역 구도심 재생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4. 조명래, 2010, "문화적 도시재생과 공공성의 회복-한국적 도시재생에 대한 비판적 성찰," 부산발전연구원 주관 공공예술/건축/디자인 세미나자료(2010.6.17)
  25. 주성재.김희수, 2015, "지명의 브랜드 가치: 경제지리학적 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4), pp.431-449.
  26. 최병두, 2014, "한국의 창조경제와 창조도시에 관한 정책과 담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01-623.
  27. 허진아, 2011, "뉴욕 하이라인의 지역재생 사례를 통한 공공디자인 방향 모색", 조형미디어학 14(3), 한국일러스트학회, pp.189-196.
  28. Aitchison, C., & Evans, T., 2003, "The cultural industries and a model of sustainable regeneration: manufacturing 'pop' in the Rhondda Valleys of South Wales", Managing Leisure, vol 8, pp.133-144, Routledge. https://doi.org/10.1080/1360671032000123663
  29. Cooke, P., Lazzeretti, P., 2008, Creative Cities, Cultural Clusters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 Cheltenham, UK and Northampton, MA, USA: Edward Elgar.
  30. del Corral, M., 2005, Cultural industries: towards a policy framework, UNESCO, Presentation of Asia-Pacific Creative Communities:A Strategy for the 21st Century, Jodhpur(India).
  31. Hesmondhalgh, D, 2012, The Cultural Industries, Sage Publications, 3rd edition.
  32. Syker, H., Roberts, P., 2012, Urban Regeneration, Syker, H.(eds.), SAGE Publications Ltd.
  33. http://culturemap.org.au/page/what-cultural-asset (최종열람일: 2016년 2월 1일)
  34. http://www.seoul.go.kr (최종열람일: 2016년 2월 12일)
  35. http://www.gwangjin.go.kr (최종열람일: 2016년 2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