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entrepreneurship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64초

지역별 기업가정신 추이 및 결정요인 분석 (Regional Entrepreneurship Trend in Korea and Its Determinants)

  • 김학수;임규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70-486
    • /
    • 2010
  • 본 논문은 2000년대 한국의 16개 시도의 기업가정신 추이를 분석하고 지역별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을 분석했다. 최근 2008년의 기업가정신은 광역시를 중심으로 과거보다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 분석을 통해 연구개발투자, 재산권 보호, 산업집중도, 지방정부 재정지출의 GDP 대비 규모가 기업가정신의 주요한 결정요인임을 확인했다. 연구개발투자 및 재산권 보호의 확대는 기업가정신을 촉진하고 지방정부 규모의 확대는 기업가정신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집중도의 경우 전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특정지역의 산업구조가 특정 산업에 편중될수록 개인사업체의 기업가정신은 위축되는 반면 회사법인사업체의 기업가정신은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 PDF

기업가적 정신이 지역산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on Regional Industry)

  • 전봉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95-407
    • /
    • 2020
  • 이 논문은 지역산업 구조변화 동인으로 기업가적 정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지방 행정수장인 정치인과 신생 중소기업 경영자의 기업가적 활동이 지역산업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관련 연구가 아직 미미한 상황에서 정치인과 경영인이라는 각기 다른 유형의 기업가적 정신과 이에 대한 동기부여를 분석함으로써 부족한 실증연구의 지식격차를 좁히는데 도움을 주었다. 정치인의 기업가적 정신이 전라북도 탄소산업 육성에 미친 영향과 사양화에 접어든 섬유산업에 뛰어든 신생업체 경영인의 기업가정신을 통한 혁신적 성장사례를 통해 지금껏 지역산업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고려되지 않았던 기업가적 정신의 필요성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역량 기반 교육과정 설계를 기반으로 (Development of Regional Problem Solv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 최용석;박종석;백보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5호
    • /
    • pp.187-203
    • /
    • 2022
  • 지역사회의 경제, 사회, 환경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자, 우리 사회는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해 지역문제에서 기회를 발견하고 창의적 도전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청년 인재 육성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은 대체로 상업성에 방점을 두고 있어 지역문제 해결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역량 중심 교육과정 모형(Competency based Curriculum)을 적용하였으며, 총 10인의 전문가 자문을 거쳐 지역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 과정에서 역량 모형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자 델파이 방법론을 추가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총 23개의 지역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역량이 확정되었으며, 역량별 지식(K)-기술(S)-태도(A)는 각각 5개, 9개, 9개로 구성되었다. 이를 Dunham의 문제해결 6단계 모형에 적용하여 Phase 1 문제 발굴, Phase 2 문제 분석, Phase 3 계획, Phase 4 조치, Phase 5 평가 순으로 모듈식 학습지원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에서 자안된 이론적 모형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및 학습지원책을 개발함으로써 이론과 실천을 통합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지역문제 해결형 기업가정신 역량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구체적인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Entrepreneurship Determines Public Empowerment through Good Governance and Public Service Quality

  • ROJIKINNOR, Rojikinnor;GANI, A. Juli Andi;SALEH, Choirul;AMIN, Fadilla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491-497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of the state civil apparatus variable and public empowerment variable in Central Kalimantan province. Samples were taken using judgment sampling techniques. Based on these criteria, it is known that only 332 regional organizational structures that meet the criteria. Thus, the sample size is 332 regional organizational structure. In each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regional apparatus, 3 people were selected from the state civil apparatus and 3 from the community. Also, this study considers the effect of good governance and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as mediating variables. The analysis used in this study is PLS using WarpPLS software. the variables studied were entrepreneurship of the state civil apparatus, good governance, public service quality and public empower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ta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public empowerment. In addition, there is a positiv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good governance and public service quality. also, there is a positive influence of good governance and public service quality on public empowerment. The novelty of this research is the entrepreneurship of the state civil apparatus which is the driving force of public empowerment through good governance and public service quality.

Rethinking Path Dependency and Regional Innovation - Policy Induced 'Government Dependency': The Case of Daedeok, South Korea

  • Lee, Taek-Ku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1권2호
    • /
    • pp.92-106
    • /
    • 2012
  •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behaviours of high-tech start-up firms in response to the policy interventions undertaken to promote regional innovation in South Korea since 1997. High-tech start-ups and their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re increasingly considered by policy makers and academics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 generation of innov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is study started from a basic concern of why government intervention does not necessarily result in an increase of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To explain this concern, we constructed a new conceptual framework of 'government dependency' and apply this to 'Daedeok,'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South Korea, to explore the reproduction of path dependency as an impact induced by innovation policy. This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by remodeling path dependency approaches through a systemic and interactive lens. An empirical study used qualitative interviews of start-up founders to delineate the emergence of a new development path and the extent to which dependency was reproduced in the Daedeok regional innovation system. Empirical analysis suggested that 'reliance' and 'persistence' were the crucial factors in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the government dependency. Some firms accepted dependency as reliance, but others regarded it as policy utilization. Thus, a critical juncture could not be clearly identified in actors' behaviour. It was also unclear if dependency had hindered innovation, but it was shown that the region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strongly influenced the reproduction proces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construct of government dependency can also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policy learning as well as the success of government interventions.

창업생태계 측정모형과 지표개발: 델파이분석을 통한 지역창업생태계 측정지표 개발 (Developing Measurement Model and Indicators for Entrepreneurial Ecosystem: Focusing on Regional E-Ecosystem Indicator via Delphi Analysis)

  • 이우진;오혜미;김도현;김종성;김가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1-15
    • /
    • 2020
  • 창업생태계가 기업가정신 향상의 선행요소로 밝혀지면서 국가에서는 창업생태계 고도화를 사업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고 관련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창업생태계는 창업자, 정부기관 및 투자자와 의 상호관계적인 작용으로 기업가정신 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제성장을 위해 종요한 요소로 관심을 받고 있으나 창업생태계에 대한 정의를 비롯하여 국가별 제도적 및 정치학적 맥락의 상이함으로 인해 측정지표에 대한 비판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창업생태계 지표개발 및 각 지역의 창업생태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창업 분야별 전문가의 FGI 및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현존하는 지표들이 국내 실정에 얼마나 부합한지를 검증하고 면밀한 검토를 통해 국내의 지역창업생태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국내 지역 창업생태계는 정책(Policy), 투자(Finance), 문화(Culture), 시장(Market), 인적자원(Human Capital), 지원(Support), 지식(Knowledge)등 7개 지표와 지표별 각각 2~4개의 하위요소, 하위요소별 각각 1~4개로 구성되어 총 22개의 하위요인, 38개의 세부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의 창업생태계를 진단하고 지역별 강점 특화 및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차별적 정책을 제안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valuation of Creative Space Efficiency in China' Provinces Based on AHP Method

  • Hu, Shan-Shan;Kim, Hyu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4호
    • /
    • pp.52-61
    • /
    • 2020
  • The AHP method was used in 30 provinces of China to construct the index system of creative space efficiency evaluation and determine the weight of each index. The fuzzy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was further used to score the indexes at all levels, and then the total efficiency score was s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just the regional layout of creative space reasonably and implement financial policies accurately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creative space. The results is ranking top in weight of several indicators, which include the number of incubated Startups, the number o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mentors, the survival rate of incubator, the innovative training activities, etc. It was also found that Beijing, Shanghai, Jiangsu, Guangdong and Zhejiang ranked first in the score of creative space efficie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 of the imbalance of the creative space efficiency in China's province, by coordinating the regional pattern, establishing a sound service system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evaluation system.

산업별 창업 결정요인의 세 가지 가설 검증, 2008-2014년 (Three Hypothesis Tests for Determinants of Business Start-up)

  • 이창근
    • 지역연구
    • /
    • 제33권1호
    • /
    • pp.17-2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의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산업별 창업의 결정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요인, 소득 요인, 기술 혁신 요인 외에 지역 요인에도 초점을 맞춰 지역 산업구조 특성 및 지역 노동시장 구조를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산업별 창업 결정 요인에 있어서 창업의 세 가지 이론은 대체로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경기쇠퇴기에 오히려 창업이 증가하였고, 지역 내 소비 뿐 아니라, 1인당 지방재정지출의 경우에도 창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창업을 통한 지역경제 성장을 위해 지방정부의 역할이 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창업보육센터가 제조업 부문에서 창업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중앙 및 지방정부의 창업 지원정책의 일환인 창업보육센터 외에도 다양한 산학 주도형 창업보육시설 또한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업에 있어서 인구증가는 잠재적 수요 창출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요소였으며, 지역 산업구조 특성과 지역 내 인적자본의 영향은 산업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 집적효과가 동(同)산업의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기타 서비스업의 경우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인적자본 변수가 창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모델링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2002~2021 (Current Research Trends in Entrepreneurship Based on Topic Modeling and Keyword Co-occurrence Analysis: 2002~2021)

  • 장성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3호
    • /
    • pp.245-256
    • /
    • 2022
  • 본 연구는 토픽모델링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하여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 동향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에서 'entrepreneurship'을 기본검색어로 설정하고, 2002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한 14,953편의 기업가정신 논문의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VOSview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하였고,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토픽모델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출현단어 분석 결과, 기업가정신과 혁신 클러스터, 기업가정신 교육 클러스터,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지속가능성 클러스터, 기업성과 클러스터, 그리고 지식 및 기술이전 클러스터 등 5개의 클러스터로 구분되었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창업환경 및 경제발전, 국제 기업가정신, 다양한 기업가정신, 벤처기업과 자본조달, 정부정책 및 지원, 사회적 기업가정신, 경영관련 이슈, 지역도시계획 및 개발, 기업가정신 교육, 기업가의 혁신과 성과, 기업가정신 연구, 기업가의 창업의도 등 12개의 토픽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시기별 토픽변화 추이 분석결과, 벤처기업과 자본조달과 기업가의 창업의도에 대한 토픽은 상승토픽으로 나타났고, 국제 기업가정신은 하강토픽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가정신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기업가정신 연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창업교육 및 창업 컨설팅 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tart-up Education and Consulting on Start-up Intention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Start-up Competency)

  • 황균정;경성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23-28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창업자들에 대한 창업교육과 컨설팅 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 영향관계에 있어 창업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하여 광주·전남 지역에서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중분석 결과, 창업교육 및 창업컨설팅은 창업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업역량은 창업교육과 창업컨설팅이 창업의지의 영향관계에서 매개변수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창업교육과 컨설팅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의지를 향상키서 양호한 창업문화를 형성하는 게 연구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