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bone mineral densit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폐경전 무월경 여성에 있어서 골밀도 측정에 관한 연구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ausal Amenorrheic Women with Hypogonadism)

  • 박기현;이병석;이보연;조동제;송찬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9권1호
    • /
    • pp.49-56
    • /
    • 1992
  •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to assess whether the patients with premonopausal hypogonadism, comprised of 19 patients with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HH), 55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POF), 23 with hyperprolactinemia(HPLN), and 8 with Sheehan's syndrome. All aged from 20 to 39, were associated with some decrease in regional bone mass compared with that of 63 normal-associated with some decrease in regional bone mass compared with that of 63 normal-cycling control women matched with age and sex. Measurement of bone mineral density was carried out using Dual photon absorptiometry at four sites; femur neck, ward's triangle, trochanter and spine(L2-L4). Bone mineral density at all four sit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atients with HH(p<0.01), POF(p<0.01). In hyperprolactinemic patients, the decrease in bone mass was significant at femur neck and Ward's triangle(p<0.05). The patients with POF were noted to b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bone loss when their duration of amenorrhea exceeded one year. In this study, the degree of loss of bone mass and the affected sites seem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various types of hypogonadism and POF was noted have caused the appearance of loss of bone mass earlier than other thpes of hypogondism we experienced.

  • PDF

$^{99m}Tc$-MDP 골스캔에서 골다공증을 시사하는 소견 ([ $^{99m}Tc$ ]-MDP Bone Scintigraphy Findings Representing Osteoporosis)

  • 남대근;문태건;김지홍;손석만;김인주;김용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61-167
    • /
    • 2001
  • 목적: 골스캔은 다양한 골격계 질환을 평가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검사방법이다. 골격계를 침범하는 대사성 골질환은 골대사의 증가와 연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스캔을 시행한 정상 여성에서 골스캔상의 섭취 증가와 골밀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밀도와 골스캔을 동시에 시행한 79명의 여자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동반 여부와 골스캔 소견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각 부위별 골밀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골스캔의 7가지 소견 중 장골과 두개골 및 하악골의 섭취는 증가하였고, 늑연골 접합부의 섭취는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 이들 소견중 두개골 및 하악골의 섭취 증가 소견은 요추와 대퇴경부 골밀도의 감소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여성에서 골스캔상 두개골 및 하악골의 섭취증가 소견은 요추와 대퇴경부의 골밀도 감소와 관련이 있었고 이러한 사실은 폐경 후 여성에서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을 시사하는 소견이 될 수 있다.

  • PDF

난소적출로 유발된 골다공증 백서에 대한 수중운동의 효과 (The Effects of Aquatic Exercise on the Osteoporosis of Rats Caused by Ovariectomy)

  • 김찬규;김은정;김계엽;김성현;김종만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06
  • Osteoporosis is the most prevalent metabolic bone disease and is characterized by diminished bone strength predisposing to an increased risk of fracture.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1) to examine the effect of aquatic exercise on osteoporosis caused by an ovariectomy in the rats, and (2) to elucidate involvement of histopathologic findings in mediating these a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Body weight of the subjects increased after the experi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Group I (sham operated) and Group II (control group). 2. In respect to the length, circumference and weight of the femu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other groups (p>.05). 3. With the osteocalcin level used as one of the bone formation indexes the bone mineral density increased in every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II and Group IV.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aquatic exercise treatment is effectiv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 PDF

장기간의 복합운동이 골다공증 노인의 신체부위별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Long-term Combined Exercise has Effect on Regional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of the Elderly with Osteoporosis)

  • 최필병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355-369
    • /
    • 2011
  • 본 연구는 장기간의 복합운동이 골다공증 노인의 신체부위별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함으로써 골다공증 노인의 골밀도 개선과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 지침을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S·K타워 실버타운에 입주하여 거주하는 골다공증 노인 여성 31명으로 규칙적인 복합운동군(n=16)과 통제군(n=15)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으로 동적 및 정적 스트레칭으로 이루어진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각각 10분씩 실시하고, 본 운동에서 유산소운동으로 자전거와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30~45분(예비 심박수; HRR 40%~60%) 동안 실시하였으며, 무산소운동으로는 대근육 단련을 위한 7가지 웨이트트레이닝(1RM * 50-70%; 8-10회 * 2세트 ~ 10-15회 * 1세트)을 주당 5일 1년간 시행하였다. 통제군은 실험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 S·K타워에서 규칙적인 운동 및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TV 시청이나 회원과의 담소를 나누는 정도의 좌업생활을 하였다. 또한 이들은 실험 전, 중, 후에 신체 부위별 골밀도(상지, 하지, 골반, 척추, 체간 및 T-score)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혈압, 혈중지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체 부위별 골밀도에서는 골반, 척추, 체간 및 T-score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중 혈압(SBP, DBP)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혈중지질의 변인 중 TC, TG, LDL-C 및 HDL-C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장기간 실시하는 복합운동은 골다공증 노인에게 있어 골반, 척추, 체간의 골밀도 및 T-score 개선과 함께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을 감소시킴에 따라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과 골절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골다공증과 만성질환의 다각적인 연구를 통하여 만성질환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 감소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Incidence of and Factors for Self-reported Fragility Fractures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in Rural Korea: An 11-Year Follow-up Study

  • Ahn, Soon-Ki;Kam, Sin;Chun, Byung-Yeo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7권6호
    • /
    • pp.289-297
    • /
    • 2014
  • Objectives: This community-based cohor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and factors related to self-reported fragility fractures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living in rural Korea. Methods: The osteoporosis cohort recruited 430 women 40 to 69 years old in 1999, and 396 of these women were followed over 11 years. In 1999, questionnaires from all participants assessed general characteristics, medical history, lifestyle, menstrual and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2010, self-reported fractures and the date, site, and cause of these fractures were recorde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 were used to calculate hazard ratios (HRs). Results: Seventy-six participants among 3949.7 person-years experienced fragility fractures during the 11-year follow-up. The incidence of fragility fractures was 1924.2 per 100 000 person-years (95% confidence interval [CI], 1491.6 to 2356.8). In the multivariate model, low body mass index (HR, 2.66; 95% CI, 1.13 to 6.24), a parental history of osteoporosis (HR, 2.03; 95% CI, 1.18 to 3.49), and postmenopausal status (HR, 3.50; 95% CI, 1.05 to 11.67)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fragility fracture. Conclusions: Fracture prevention programs are needed among postmenopausal, rural, Korean women with a low body mass index and parental history of osteoporosis Korea.

A pooled Bayes test of independence using restricted pooling model for contingency tables from small areas

  • Jo, Aejeong;Kim, Dal H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9권5호
    • /
    • pp.547-559
    • /
    • 2022
  • For a chi-squared test, which is a statistical method used to test the independence of a contingency table of two factors, the expected frequency of each cell must be greater than 5. The percentage of cells with an expected frequency below 5 must be less than 20% of all cells.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regional expected frequency is below 5 in general small area studies. Even in large-scale surveys, it is difficult to forecast the expected frequency to be greater than 5 when there is small area estimation with subgroup analysis. Another statistical method to test independence is to use the Bayes factor, but since there is a high ratio of data dependency due to the nature of the Bayesian approach, the low expected frequency tends to decrease the precision of the test result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will borrow information from area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nd pool the data statistically to propose a pooled Bayes test of independence in target areas. Jo et al. (2021) suggested hierarchical Bayesian pooling models for small area estimation of categorical data, and we will introduce the pooled Bayes factors calculated by expanding their restricted pooling model. We applied the pooled Bayes factors using 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mass index data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and compared them with chi-squared tests often used in tests of independence.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에서 골다공증 평가를 위한 다중검출 CT의 이용: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과의 비교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in Patients with Femoral Neck Fracture for Assessing Osteoporosis: Comparison with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이효정;황지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173-181
    • /
    • 2021
  • 목적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평가를 위해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이하 MDCT)에서의 감쇠 계수(Hounsfield unit; 이하 HU)와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이하 DXA)을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6년 6월부터 12월까지 MDCT와 DXA를 모두 시행한 42명의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가 본 연구의 대상으로 포함되었다. MDCT에서는 정상 대퇴골 경부의 해면골에서 HU를 측정하였으며 DXA에서는 동 부위의 골밀도 및 T 값을 얻었다. HU와 골밀도 및 T 값의 상관관계를 Spearma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의 골밀도와 T 값의 평균은 각각 0.650 g/cm2과 -2.4이었다.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환자 군의 HU의 평균은 각각 131.9, 98.9, 41.3이었다. HU는 골밀도(r2 = 0.670; p < 0.001) 및 T 값(r2 = 0.676; p < 0.001) 모두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감쇠계수의 측정은 골다공증 선별검사를 위한 유용한 진단적 도구가 될 수 있다.

멸치젓에서 추출한 칼슘이 흰쥐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Extracted from Salted Anchovy (Engraulis japonicus) on Calcium Metabolism of the Rat)

  • 김향숙;최은옥;김만도;최영현;김병우;김수연;황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2-187
    • /
    • 2013
  • 멸치젓으로부터 추출한 칼슘이 체내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상으로 칼슘급원을 달리하여 섭취시킨 후 체내의 골격대사에 관련된 지표를 비교 평가하였다. 식이구성은 탄산칼슘군(calcium carbonate, CC), 젖산칼슘군(calcium lactate, CL), 해조칼슘군(seaweed calcium, SC), 멸치칼슘(anchovy calcium, AC), 저칼슘(low calcium, LC)군으로 총 5군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종료까지의 체중은 탄산칼슘을 섭취한 CC군과 AC군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LC군에서 체중 증가가 낮았고 식이섭취량도 LC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정상칼슘군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칼슘 섭취량은 LC군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정상칼슘군들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칼슘 흡수율은 LC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식이 칼슘수준이 적을수록 흡수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칼슘 보유량은 저칼슘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CC군, CL군, AC군은 S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혈중 ALP 수준은 LC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반면 정상칼슘군에서는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CC군과 AC군에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칼시토닌 농도는 LC군에서 정상칼슘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p<0.05) 요중 DPD수치는 LC군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CC군과 AC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대퇴골의 체중 100 g당 습윤무게는 실험군간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건조무게는 정상칼슘군보다 LC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대퇴골의 골밀도는 LC군에서 정상칼슘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p<0.05), 동일한 정상수준의 칼슘이 공급된 실험군 사이에서는 CL군에서 AC, CC, SC보다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지만 감소경향을 보였다. 실험동물의 칼슘대사에 관련된 호르몬의 변화나 대퇴골의 골밀도 결과로 보아 멸치젓에서 추출한 칼슘은 기존에 사용해오던 탄산칼슘 수준으로 칼슘대사에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멸치 부산물을 활용한 칼슘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