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 of Gwan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6초

치아종 제거후 시행한 자가치아이식술 (TOOTH TRANSPLANTATION AFTER SURGICAL REMOVAL OF ODONTOMA: A CASE REPORT)

  • 김종운;김수관;김수흥;정태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3호
    • /
    • pp.244-247
    • /
    • 2001
  • 본 증례는 치아종제거후 병소하방에 존재하던 매복된 하악 좌측측절치를 원래 맹출되어야 할 부위로 자가치아이식 하였다. 수술후 12주에 치근흡수 소견이 관찰되어 근관치료가 시행되었다. 근관치료후 염증성흡수 소견은 중단되었으며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 PDF

회전요동하는 원통내의 유동특성 - 수치해석 및 실험 (Fluid Flow in a Circular Cylinder Subject to Circulatory Oscillation-Numerical Analysis and Experiment)

  • 서용권;박준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0권12호
    • /
    • pp.3970-3979
    • /
    • 1996
  • A fluid flow inside a circular cylinder subject to horizontal, circular oscillation is analyzed numerically and experimentally. The steady streaming velocities at the edges of the boundary layers on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cylinder obtained in the previous paper are used as the boundary conditions in the governing equations for the steady flow motion in the interior region. The Stokes' drift velocity obtained in the previous paper also constitutes the Lagrangian velocity which is used in the momentum equations. It turns out that the interior steady flow is composed of one cell, ascending at the center and descending near the side surface, at the streaming Reynolds number 2500. However, at the streaming Reynolds number 25, the flow field is divided into two cells resulting in a descending flow at the center. The experimentally visualized flow patterns at the bottom surface agree well with the analytical solutions. The visualization experiment also confirms the flow direction as well as the center position of the cell obtained by the numerical solutions.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the Novel Azomethine Metal Complexes for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 김성민;김진순;신동명;김영관;하윤경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7호
    • /
    • pp.743-747
    • /
    • 2001
  • New azomethine metal complexes were synthesized systematically and characterized. Beryllium, magnesium, or zinc ions were used as a central metal cation and aromatic azomethines (L1-L4) were employed as a chelating anionic ligand. Emission peaks o f the complexes in both solution and solid states were observed mostly at the region of 400-500 nm in the luminescence spectra, where blue light was emitted. Three of them (BeL1 (Ⅰ), ZnL2 (Ⅱ), and ZnL3 (Ⅲ)) were sublimable and thus were applied to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OLED) as an emitting layer, respectively. The device including the emitting layer of Ⅰ exhibited white emission with the broad luminescence spectral range. The device with the emitting layer of Ⅱ showed blue luminescence with the maximum emission peak at 460 nm. Their ionization potentials, electron affinities, and electrochemical band gaps were investigated with cyclic voltammetry. The electrochemical gaps of 2.98 for I, 2.70 for Ⅱ, and 2.63 eV for Ⅲ were found to be consistent with their respective optical band gaps of 3.01, 2.95 and 2.61 eV within an experimental error. The structure of OLED manufactured in this study reveals that these complexes can work as electron transporting materials as well.

석탄-물 슬러리 액적의 증발 및 점화현상 해석 (Ignition and combustion phenomena of a coal-water slurry droplet)

  • 안국영;백승욱;김관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0권2호
    • /
    • pp.632-640
    • /
    • 1996
  • 석탄슬러리 액적은 석유와 취급의 유사성 때문에 석유 대체에너지로서 중용하게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석유계의 연료와 비슥한 방법으로 분무연소 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의 중유사용 연소장치를 최소한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석탄슬러리 액적의 연소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혼합되는 연료의 종류 또는 연소 및 열전달기수에 대한 해석 방법이 다양하여 아직 체계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논란의 여지도 없다.

차세대 로터 블레이드(NRSB-1)의 제자리 비행 성능 해석 (Numerical Evaluation of Hovering Performance of Next Generation Rotor Blade(Nrsb-1))

  • 이관중;황창전;김재무;주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69-74
    • /
    • 2003
  • Vane tip 개념을 도입하여 소음 특성을 개선하도록 설계된 차세대 로터 블레이드(NRSB-I)의 공력 성능을 기존의 BERP 블레이드와 비교하기 위하여, 제자리 비행에 대한 점성 압축성 계산을 수행하였다. 깃끝 영역의 면적감소에 의하여 설계된 로터 블레이드의 절대 추력이 6-7% 정도 감소하지만, 동력계수의 감소폭이 더 크기 때문에 제자리 비행 성능상의 손실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깃끝 절단부에서 발생한 와류는 블레이드 표면을 지날 때 확산에 의하여 그 강도가 현저하게 약화되므로, 설계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절단부 위치에 펜스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메라 추적 기반 레이저 포인터 시스템의 실시간 처리와 상호작용 개선을 위한 제안 (Proposal on the Enhancement of Real-time Processing and Interaction in a Camera-tracked Laser Pointer System)

  • 임종관;손영일;파록 샤리피;권동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332-336
    • /
    • 2008
  • 본 논문에서 카메라 추적 기반 레이저 포인터 시스템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그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한다. 영상정보에 기반한 해당 시스템의 반응시간을 향상시키고, 청중에게 성가신 시각정보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이저 포인터의 기능을 이원화 하였다. 이를 위해 기능성 관심 영역을 정의하고 이에 따른 새로운 상호작용을 소개하였다. 끝으로 위 아이디어에 기반한 시스템의 성능을 점검하는 실험을 진행하여 신뢰도, 정확도, 잠복기 및 유용도 측면에서 성능을 측정하였다.

  • PDF

지하철 터널 환경에서 2.65GHz 대역신호의 경로손실 특성 (Path Loss Characteristics in Subway Tunnel at 2.65GHz)

  • 조한신;김도윤;육종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0A호
    • /
    • pp.1014-101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측정을 통해 지하철 터널환경에서 위성 DMB 상용주파수 대역인 2.65 GHz 신호의 전파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터널 구조에 따른 경로손실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직선터널과 곡선터널 및 직선, 곡선구간이 함께 존재하는 혼합터널 내에서 수신 전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을 수행한 모든 터널의 가시영역 경로손실 지수-는 $1.31{\sim}2.19$로서, 실외 셀룰라 환경의 경로손실 지수$(3{\sim}4)$와 비교했을 때 터널의 가시영역은 신호의 감쇄가 매우 적은 채널환경임을 알 수 있었다. 직선터널과 곡률반경이 500m, 200m인 두 곡선터널 비가시 영역의 경로 손실 지수는 각각 1.94, 2.92, 4.34로서 곡률반경이 작을수록 경로손실이 급격하게 발생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혼합터널의 곡선구간에 대한 경로손실 지수는 5.88로서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선터널의 경로손실 지수 4.34 보다 큰 값을 보였다. 이를 통해 터널 환경에서의 경로손실 지수는 곡률 반경뿐만 아니라 송신기와 비가시영역 사이에 존재하는 가시영역의 거리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마이크로셀룰라 환경에서의 차세대 이등 통신을 위한 전파 전파 특성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for Mobile Communications beyond 3G in Microcellular Environments)

  • 조한신;육종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30-43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이동 통신을 위한 전파 전파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3.4, 5.3, 6.4 GHz 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셀 형태의 주거 및 도로 지역에서 측정된 경로 손실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주거 지역 형태인 아파트 지역과 주택 지역의 경로 손실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COST231-Hata모델과도 비교하였다. 측정 결과 동일한 주파수에 대하여 두 주거 지역의 표준 편차는 주거 지역에 따른 경향이 없는 반면, 경로 손실 지수는 아파트 지역이 큰 경향을 보였다. 마이크로 셀 형태의 도로 지역은 가시 구간과 비가시 구간으로 구분하여 측정을 수행하고 경로 손실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시 구간의 경우 3.4, 5.3, 6.4 GHz 모두에 대해 측정을 통한 경로 손실 값은 이론적인 경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breakpoint의 위치는 이론값에 비해 6 % 정도 감소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가시 구간의 경우 가시 영역에서 비가시 영역으로 전환되는 지점에서 수신 전력이 급속하게 감소하며 가시 영역에 비해 비가시 영역의 경로 손실 지수가 큰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송신단에서 코너까지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비가시 영역에서의 경로 손실 지수와 코너 손실이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토에서 하악골 신연 6주후 신연양에 따른 두개하악관절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HISTOPATHOLOGIC CHANGES OF THE CRANIOMANDIBULAR JOI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DISTRACTION AFTER 6 WEEKS OF DISTRACTION OSTEOGENESIS IN RABBITS)

  • 김현호;김수관;임성철;정해만;김생곤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2호
    • /
    • pp.79-8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istopathologic changes in the bilateral craniomandibular joints after allowing 6 weeks of consolidation by varying the amount of distraction in rabbit mandible. Eight rabbits weighing about 2 to 3 kg were used. After corticotomy was performed on the left mandibular body between the first premolar and the second premolar region, a unilateral fixation device was placed. Then, a 7-day period was allowed without distraction of the device. The mandible was lengthened 0.5 mm/day. Corticotomy and lengthening of mandible were not performed in control group. After the completion of the lengthening process, a 6-week-consolidation period was allowed. Then, the rabbits were sacrificed, and histologic examination of the craniomandibular joints was performed. Prolifera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raniomandibular joints in all groups.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distraction, hypertrophy of the cartilage layer became more severe, bone formed was dense and enchondral ossification was clearly shown in subchondral bone. Hypertrophy of the cartilage layer was also seen in the non-distracted side as the distracted sid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hen physical force is applied constantly to joints, the proliferation of articular cartilage and bone formation are present. When more than 6 weeks of consolidation period is allowed at the time of performing distraction for more than 5 mm, articular changes, especially, in the contralateral side should also be noted.

하지조신경 전달마취 후 발생한 안면신경마비 (Facial Nerve Paralysis Following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A Case Report-)

  • 김수관;이상호;김식조;김현호;윤광철;최희연;박오주;최영옥;김상호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1-24
    • /
    • 2004
  • Facial nerve paralysis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a local anaesthetic can be alarming. By reading reports of such incidents, dentists who find themselves in similar situations will be able to reassure their patients and act accordingly. This article reviews the classifications of anesthetic complication, local complications, etiology, prevention, treatment of facial nerve paralysis fe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a local anaesthetic. A thorough knowledge of the relevant anatomy pertinent to the various injections used in dental surgery is essenti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