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ux extracti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1초

다양한 용매를 이용한 대두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 Extracts by using Various Solvents)

  • 김지영;맹영선;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35-639
    • /
    • 1995
  • 본 연구는 대두로부터 항산화성 물질의 효과적인 추출 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대두로부터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클로로포름, 벤젠, 에틸 아세테이트,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을 사용하여 $30^{\circ}C$에서 상온 추출 및 $85^{\circ}C$에서 환류추출을 행하여 추출된 각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대두유 산화시 과산화물가와 난황레시틴 리포좀 산화시 형성된 TBARS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추출물을 대두유에 첨가시켜 항산화효과를 관찰한 경우 날대두 용매 추출물이 탈지대두 용매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가 뛰어 나며, 볶은 과정을 거친 대두군에서는 탈지대두군이 항산화효과가 높았다. 상온추출물보다는 환류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대두유 산화뿐만 아니라 난황레시틴 현탁액의 관산화 반응에서도 역시 동일하였다. 여러가지 용매에 의한 추출물중에서 가장 큰 항산화효과를 나타낸 것은 볶은 탈지대두의 메탄올 추출물이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은 전반적으로 항산화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성분의 추출에 가장 좋은 용매로 생각되었으나, 추출물의 난황레시틴 리포좀의 과산화 억제 정도는 메탄올 추출물보다는 물 추출물의 경우가 더 효과가 좋았다.

  • PDF

구기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ycium chinense Extracts)

  • 김현구;나경민;예수향;한호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2-357
    • /
    • 2004
  • 구기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구기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구기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은 water 추출액에서 5.0 $^{\circ}$Brix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액의 탁도는 50$\%$ ethanol 추출 시 가장 높았고, 75$\%$ ethanol 추출 시 가장 낮았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ethanol 함량이 감소할수록 산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당의 함량은 fructose 4.53$\~$5.22 mg$\%$, glucose2.79$\~$4.40 mg$\%$, sucrose 0.35$\~$l.18 mg$\%$ 로 나타났으며, water 추출액이 다른 추출 용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총폴리페놀의 추출 용매별 함량은 50$\%$ ethanol 추출액에서 2.9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water 추출액이 75$\%$ ethanol 추출액 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구기자추출액은 50$\%$ ethanol에서 66.97$\%$로 나타나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폴리페놀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37.3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ufonis Venenum by Using TLC, HPLC, and LC-MS for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Lee, Hyo-Jae;Koung, Fan-Pei;Kwon, Ki-Rok;Kang, Dae-In;Cohen, Lorenzo;Yang, Pei-Ying;Yoo, Hwa-Seu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2-65
    • /
    • 2012
  • Objectives: Toad venom, called Chan-Su, is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secreted from the auricular and the skin glands of the Bufo bufo gargarizanz Cantor or B. melanosticus Schneider and has been widely used in China, Korea and other parts of Asia for the treatment of pain, heart conditions, and cancer. We examined the concentrations of the main chemical constituents within a commercially available toad venom product and compared the levels for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Methods: Toad venom was extracted using either cold or hot water, ethanol (EtOH), methanol (MeOH), or ethyl acetate (EtOAc), was fractionated using precipitation or reflux, and was then analyzed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TLC), and liquid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LC-MS). Individual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s of the retention times, the ultraviolet spectra, and mass spectras and differences in chemical constituents for different solvents and extraction methods are presented. Results: Components with authentic standards, including serotonin and bufodienolides (cinobufagen, bufalin, cinobufalin, and resibufogenin), were detected. The water extract of toad venom contained the greatest amount of serotonin ($75.7{\pm}0.1$ mg/g), but very small amounts of bufodienolides ($3.8{\pm}0.0$ mg/g). In contrast, the use of MeOH or EtOH extraction solutions resulted in 5-26 times higher concentrations of bufodienolides, with only trace amounts of serotonin. The relative and the absolute concentrations of the component also varied based on the extraction method; i.e., EtOH extracts yielded the greatest total amounts of bufodienolides, and EtOAc precipitation had the lowest amounts of bufodienolides. Conclusions: Toad venom consists of serotonin and several bufodienolides, and the choice of solvent to extract chemical the constituents is important as a way to enrich the purported active components for treating different conditions.

결명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 나경민;한호석;예수향;김현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99-505
    • /
    • 2004
  • 결명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결명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결명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도는 water 추출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의 ethanol 공노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50% ethanol에서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산도가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0.08{\sim}0.11mg%$, glucose $0.09{\sim}0.32%$, sucrose $0.08{\sim}1.26mg%$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50% ethanol 추출액에서 2.0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75% ethanol 추출액은 0.02%로 다른 용매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50% ethanol에서 66.,39%로 나타나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폴리페놀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50.5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chiznadra chinensis Extracts)

  • 김현구;나경민;예수향;한호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84-490
    • /
    • 2004
  • 오미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오미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오미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도는 Water 추출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의 ethanol 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50% ethanol에서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산도가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1.24{\sim}4.42mg%$, glucose $3.65{\sim}4.71mg%$, sucrose $0.89{\sim}1.69mg%$로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당질의 대부분을 glucose와 fructose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50% ethanol 추출액은 0.98%, 75% ethanol 추출액은 0.89%, water 추출액은 0.58%로 나타나 50% ethanol 추출액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water에 비해 유기용매 추출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water 추출액 60.87%, 50% ethanol 추출액 57.24%, 75% ethanol 추출액 55.61%로 나타나 용매별 전자공여능 효과가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water 추출액이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다. SOD 유사환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33.65%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연근별 산양삼의 일반성분 및 항산화 효과 (Proximate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ultivated Wild Panax ginseng)

  • 이근;최광수;이주열;윤소정;김우기;이형재;백무열;황재관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3호
    • /
    • pp.208-214
    • /
    • 2017
  • 산양삼의 연근별 특징을 분석한 결과 3년근에서는 ginsenoside 등의 성분이 활발하게 생성되고, 연령이 늘어갈 수록 부피 성장이 중점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성다당체 함량,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능 모두 3년근 산양삼이 다른 연근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3년근의 경우 단위 중량당 더 많은 양의 성분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파종 후 장기간 재배보다는 단시간에 수확하는 것이 재배를 하는 임업인이나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인 모두에게 유리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ginsenoside의 함량 및 다른 생리활성 성분들의 양으로 연근별 산양삼의 특징을 비교 할 경우 비록 부피는 작지만 가격이 싸고 개체수가 많은 3년근을 이용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산업적으로 이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평창산 산양삼에 한정된 항산화 결과로서 국내 다른 지역에서 자생하는 연근별 산양삼에 대한 세부적인 기능성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한다.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최적 추출조건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of Anthocyanins in Soybean (Glycine max) with Black Seed Coats)

  • 정명근;황영선;이현진;최수산나;임정대;강성택;한원영;백인열;김현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10-117
    • /
    • 2008
  • 검정콩 품질평가의 한 기준이 되는 안토시아닌의 함량평가를 위한 분석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최적의 추출용매 및 추출방법을 확립하고, 주요재배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최적 추출용매를 검토한 결과 1% HCl - $H_2O$로부터 1% HCl - 80% MeOH용액까지 통계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산술적으로 1% HCl - 60% MeOH 용액으로 추출하였을 때 총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7.72 mg/g으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추출용매에 메탄을 함량이 높아질수록 안토시아닌 피크의 분리도가 극히 불량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종합적 견지에서 볼 때 1% HCl - 20% MeOH를 이용하여 안토시아닌을 추출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최적 추출방법 및 추출시간을 검토한 결과 상온 12시간 추출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추출시간이 24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추출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소량 감소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국내외 주요 재배 검정콩 품종별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 색소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총 안토시아닌의 함량 범위는 1.58-10.62 mg/g으로 조사되었고, 조사된 품종 중 검정 올콩이 10.62 mg으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낸 흑청콩 대비 약 7배 높은 안토시아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폐수처리 슬럿지와 퇴비 및 목탄의 화학적 특성과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Sludge, Compost and Charcoal)

  • 임기표;위승곤
    • 펄프종이기술
    • /
    • 제35권1호
    • /
    • pp.27-32
    • /
    • 2003
  • To understand the chemical structure of sewer sludge in comparison with commercial compost and charcoal used as a soil improver, it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ir ash contents and metal ions, and to elucidate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ir residuals after a sequential treatment of alcohol-benzene(1:2) extraction in Soxhlet, 3% HCl reflux and 79% H₂SO₄ hydrolysis, using CHNS analyzer and solid C-13 NMR spectromete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sh content of sludge was about 46% that is higher than those of compost (17%) and charcoal (4%). 2. The residual of sludge after a sequential treatment of HCl and H₂SO₄ hydrolyses had high ash content about 23%, too. 3. The sludge seems to be suitable to the soil improver because the content of heavy metal ions in sludge was near the compost and below the organic fertilizer standard. 4. Elemental composition of sludge residual after HCl-H₂SO₄ hydrolyes was C/sub 56/H/sub 91/O/sub 12/N₂S = (C/sub 6/H/sub 10/O/sub 5/)/sub 7/(C/sub 6/H₄)/sub 7/C₂H/sub 43/O₂N₂S, similar to C/sub 103/H/sub 122/O/sub 33/N/sub 6/S = (C/sub 6/H/sub 10/O/sub 5/)/sub 6/(C/sub 6/H₄)/sub 10/C/sub 7/H/sub 22/O₃N/sub 6/S of compost. 5. The sludge residual had proved to have both considerable aliphatic and aromatic groups, but the compost residual to have mainly aliphatic groups and the charcoal to have mainly aromatic groups, through the peak analysis of solid C-13 NMR charts. 6. So, the sewer sludge is proved to have a considerable amount of aromaticity like in woody biomass containing lignin.

노루오줌으로부터 Bergenin의 함량 분석 및 에탄올 추출물의 자궁경부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Quantitative Analysis of Bergenin in Astilbe rubra and Growth Inhibition Effect of Ethanol Extract on Hela Cells)

  • 김아현;노종현;우경완;강주은;심미옥;김민석;함성호;조현우
    • 생약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7-54
    • /
    • 2018
  • Astilbe rubra (AR) is a perennial, belongs to the Saxifragaceae family, it contains tannin and triterpene. AR has been used in republic korea to improve toxication, fever, pain and convulsion. Recently, number of natural products have been analyzed for potential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cancer,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medication. Consequently, we investigated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of Astilbe rubra water extract (WAC), ethanol extract (EAC) and bergenin on Hela cell (human adenocarcinoma cell). From whole plant of A. rubra, bergenin was isol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and its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1H$, $^{13}C$ NMR and IT TOF-ESI MS. High extraction efficiency of bergenin was shown at 0.95% under 60 min reflux extraction with 50% MeOH. The MTS assay showed that EAC (ethanol extract) treatment increased cell death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EAC treatment on Hela cell increased apoptotic cell death and caspase-3 activity. Results suggest that EAC has growth inhibition effect on Hela cells, but not WAC and bergenin. $500{\mu}g/mL$ EAC treatment inhibited Hela cell at $60.2{\pm}1.5%$.

고비로부터 Cinnamtannin B-1의 분리 및 함량 분석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Cinnamtannin B-1 from Osmunda japonica Thunb)

  • 김민석;우경완;이기호;이현주;이선유;강병만;전병훈;조정희;조현우
    • 생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32-236
    • /
    • 2016
  •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Osmunda japonica Thunb has been used as hemostasis and antipyretic treatment. The main compound "cinnamtannin B-1" was obtained by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 and its structure was determined by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1H$, $^{13}C$ NMR, and IT-TOF-ESI MS. Ash, moisture and extract content and acidinsoluble ash were monitored as identification test to establish the analytical methods. The optimum reflux extraction condition was 100% methanol extracted 30 min for 2 times.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HPLC method exhibited that the main compound at 24.7 min and its content was 0.96% in methanol ext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