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ux extracti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1초

인동(忍冬)의 기철(忌鐵) 및 반철(伴鐵) 추출시(抽出時) 추출물(抽出物)의 변화(變化) (Extract changes of Caulis Lonicerae Japonicae according to with or without Iron)

  • 정덕자;정대화;장미희;박정아;김상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1-287
    • /
    • 2020
  • Objectives : In case of herbs decoction, the ceramic or earthware pots was recommended, but not the metals, particularly iron or aluminum, which could cause unknown chemical reactions. In Korean Medical classics, it has been known that some herbs including Caulis Lonicerae Japonicae (CL) were not recommended to boil with iron po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ysical changes of extracts of CL with or without iron. Methods : CL was decocted with reflux cooling extraction system to prevent evaporation and volatilization. Content of polyphenol was detected by Folin-Denis method and the levels of loganin and chlorogenic acid were evaluated by UPLC. Results : The color of extract with glass beads (GB) is yellowish brown, and the iron beads (IB) is blackish brown. Polyphenol and chlorogenic acid levels were reduced in IB extracts. Conclusions : The color of extract was change to blackish brown, and polyphenol and chlorogenic acid levels were reduced in CL extract with iron. Therefore, iron pots is not suitable for CL extraction.

추출 방법에 따른 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Effects of Extraction Method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Artemisia sp.)

  • 강경명;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49-1254
    • /
    • 2013
  • 3종의 사철쑥, 약쑥, 개똥숙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정 추출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환류냉각추출, 고온가압추출, 저온고압추출 및 초음파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수율은 환류냉각과 고온가압추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총 polyphenol 및 총 flavonoid의 함량 또한 환류냉각 추출물이 각각 사철쑥(260.82 mg GAE/g, 11.52 mg RHE/g), 약쑥(218.62 mg GAE/g, 8.32 mg RHE/g), 개똥쑥(189.23 mg GAE/g, 7.35 mg RHE/g) 순으로 높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쑥의 세 시료 중 모두 환류냉각과 고온가압추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 사철쑥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은 사철쑥(45.48%, 68.29%), 약쑥(45.73%, 61.43%), 개똥쑥(44.25%, 58.19%) 모두 환류냉각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사철쑥 추출물의 지질산패 억제활성은 환류냉각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Phytochemical analysis of Panax species: a review

  • Yang, Yuangui;Ju, Zhengcai;Yang, Yingbo;Zhang, Yanhai;Yang, Li;Wang, Zhengta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1호
    • /
    • pp.1-21
    • /
    • 2021
  • Panax species have gained numerous attentions because of their various biological effects on cardiovascular, kidney, reproductive diseases known for a long time. Recently, advanced analytical methods includ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high-performance thin layer chromatography, gas chromatograph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tandem ultraviolet, diode array detector,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 and mass detector, two-dimensional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igh 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high speed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micellar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high-performance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ambient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 enzyme immunoassay, 1H-NMR, and infrared spectroscopy have been used to identify and evaluate chemical constituents in Panax species. Moreover, Soxhlet extraction, heat reflux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solid phase extraction,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enzyme-assisted extraction, acceleration solvent extraction, matrix solid phase dispersion extraction, and pulsed electric field are discussed. In this review, a total of 219 articles published from 1980 to 2018 are investigated. Panax species including P. notoginseng, P. quinquefolius, sand P. ginseng in the raw and processed forms from different parts, geographical origins, and growing times are studied. Furthermore, the potential biomarkers are screened through the previous articles. It is expected that the review can provide a fundamental for further studies.

추출온도에 따른 이팝나무 과육 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Chionanthus retusus flesh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 최해심;이양숙;서수정;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29-1137
    • /
    • 2017
  • 민간에서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활용도가 낮은 이팝나무 성숙열매 과육의 산업적 활용 증진을 위하여 상이한 추출조건(실온 $25^{\circ}C$, $80^{\circ}C$, $110^{\circ}C$)에서 물을 용매로 추출된 이팝나무 과육 3가지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은 환류추출기를 이용한 80W에서 72.71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가압열수 추출기를 이용 110W 추출물에서 7.608 mg/g을 함유하였다. 수용성 단백질과 환원당의 함량도 110W에서 각각 4.93 mg/g과 46.77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다. DPPH radical 소거율은 1.0 mg/mL에서 모든 추출물이 92% 이상의 소거율을 보였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110W가 88.67%였으며, 80W(87.49%)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110W가 66.16%였으며, pH 3.0에서는 80W에서 37.86%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및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에서도 추출온도가 가장 높은 110W에서 각각 14.95%와 59.45%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온도에 따른 이팝나무 과육의 미백효과를 알아보고자 tyrosinase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환류추출기를 이용한 80W 추출물이 35.31%로 비교적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Collagenase에 대한 저해효과는 1.0 mg/mL에서 110W가 37.78%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elastase 저해활성은 80W 20.39%, 110W 20.33%로 유사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모든 실험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온보다는 높은 온도에서 추출한 이팝나무 과육 추출물에서 유용성분의 함량과 생리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유용성분의 추출이 용이해져 다양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팝나무 과육은 기능성 식품 및 제품을 위한 천연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추출방법에 따른 양파껍질 추출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비교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nion peel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s)

  • 정다솜;백다애;권유리;권기만;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7-274
    • /
    • 2015
  • 추출방법에 따른 양파껍질 추출물의 품질 특성 및 생리 활성 특성을 비교하였다. 환류냉각추출의 수율이 13.21%로 가장 높았고,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압가열추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또한 가압가열추출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alpha}$-Glucosidase 저해 효과는 80.24%로 환류냉각추출이 가장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ACE 저해 효과는 27.05%로 저온고압추출이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가압가열추출이 33.9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환류 냉각추출이 32.47%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errous ion chelating 효과에서는 저온고압추출이 54.7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압가열 추출이 소재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증진을 위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백년초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성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s)

  • 서권일;양기호;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45-359
    • /
    • 1999
  • 백년초(손바닥 선인장)는 제주도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남해안에서 많이 생산되는 선인장의 일종으로 오래전부터 그 임상효능이 알려져 여러 가지 기능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 및 방법에 따른 백년초 추출물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백년초의 항균활성은 대체적으로 환류추출법이 상온에서의 진탕추출법보다 조금 강하게 나타났고, 각 용매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게 나타났고, 특히 Pseudomonas aeruginosa균주에 대해서는 진탕추출법에 의한 추출물이, Escherichia coli O-157균주에는 환류추출법에 의한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다른 시험균주에 비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백년초 물추출물을 Salmonella enteritidis에 처리하였을 때 균체의 표층구조가 허물어지는 심한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백년초 추출물의 첨가시 0.1% BHT의 첨가시 보다는 약하였지만 상당한 정도의 수소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력의 조사에서도 0.1% BHT 첨가시와 같은 정도의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Development of powder with increased rutin content from mulberry leaves for the application of food materials

  • Kim, Hyun-bok;Kim, Jung Bong;Ju, Wan-Taek;Kim, Sun Lim;Lim, Jung D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5권2호
    • /
    • pp.77-82
    • /
    • 2017
  • We studied on improvement method of rutin content using mulberry leaf powder. Mulberry leaves were collected and then hot-air dried and powdered for experiment. As a result, we have developed a pre-treatment method that extracts mulberry leaf powder with water or fermented alcohol with reflux extractor and then increases the rutin content by improving the process. Citric acid (0.1 ~ 1%) and 1000 ml fermented alcohol (50 ~ 95%) or water (10 ~ 50 times) was extracted with 100 g of mulberry leaf powder using a reflux extraction device ($80{\sim}90^{\circ}C$, 1 hour, twice). The extracts were collected, filtered and concentrated. For the recrystallization, the concentrate was dissolved by adding distilled water and allowed to stand at a low temperature. Then, the supernatant was discarded by centrifugation, and only the residue was lyophilized to prepare a final powder. As a result,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citric acid added, the content of rutin was higher in 90% fermented alcohol extract. Whereas, in the case of extracting with water, citric acid 0.5% was added to water 25 times as much as the weight of mulberry leaf powder, and 2274.4 (mg / 100g) of rutin content was highest in the case of refluxing twice at $80^{\circ}C$ for 1 hour. The powder with increased rutin content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various foods as a food additive. In addition,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farm income by promoting consumption of mulberry leaf while satisfying the consumers' desire for functional food intake.

추출방법에 따른 참취(Aster scaber Thunb.)의 페놀화합물 함량과 생리활성 및 소화효소 저해 효과 (Polyphenolic Compounds,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Digestive Enzyme Inhibitory Effect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 김재원;윤광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01-1708
    • /
    • 2014
  • 참취의 활용 및 생리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정 추출방법을 알아보고자 상온교반, 환류냉각, 가압가열, 저온고압 및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두벌 째 수확 참취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 수율은 환류냉각추출, 초음파추출, 가압가열추출, 상온추출, 저온고압추출 순으로 높았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저온고압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상압가열, 고온고압, 초음파추출에서는 대등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페놀화합물 정량의 경우 chlorogenic acid 함량은 가압가열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cynarin 함량의 경우 환류냉각, 저온고압 및 초음파 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astragalin 함량의 경우 저온고압추출에서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Xanthine oxidase(XO),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의 경우 저온고압추출 및 초음파 추출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소화효소 저해활성(${\alpha}$-amylase, trypsin, lipase)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저온고압 및 초음파 추출물에서 소재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증진을 위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추출방법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 및 소화효소 저해 효과 (Antioxidant and digestive enzyme inhibitory effects of Eisenia bicyclis extracted by different methods)

  • 김진학;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7-103
    • /
    • 2016
  • 미역과에 속하는 대황 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탄수화물 및 단백질 소화효소 저해능을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환류냉각추출물(RE), 초음파추출물(SE), 고온가압추출물(AE), 저온고압추출물(LE)의 수율과 주요 성분함량은 AE, RE, SE, LE 순으로 높았다. 고온가압추출물(AE)의 수율, 라미나린, 후코이단,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5.21%, 39.03%, 24.75%, 115.68 mg GAE/g, 36.67 mg RHE/g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500 mg% 농도에서 AE(86.60%), RE(83.09%), SE(84.41%), LE(80.45%) 순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50 mg% 농도에서 모두 98%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실험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AE, RE, SE, LE 순으로 높았으며, 500 mg% 농도에서 추출방법에 관계없이 98%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탄수화물 소화효소 중 amylase 저해 효과는 50 mg% 농도에서 AE(64.76%), RE(58.57%), SE(54.76%), LE(45.48%)순으로 나타났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는 5 mg% 농도에서 AE(86.71%), RE(81.87%), SE(75.21%), LE(72.65%) 순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분해 효소 중 trypsin 저해 효과는 50 mg% 농도에서 AE(24.37%), RE(22.76%), SE(19.97%), LE(15.95%)순으로 나타났으며, ${\alpha}$-Chymotrypsin 저해효과는 50 mg% 농도에서 AE(49.05%), RE(43.60%), SE(40.63%), LE(38.10%) 순이었으며, 대황 추출방법은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하는 고온가압 추출방법이 가장 양호하였다.

비자(Torreya nucifera) 추출물의 생리활성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orreya nucifera Seed Extracts)

  • 전호성;이양숙;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8
    • /
    • 2009
  • 식용 및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비자나무(T. nucifera) 종자인 비자(榧子)를 천연 항산화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물 추출물(WE)과 에탄올 추출물(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tyrosinase 저해,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등 항산화적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방법과 용매를 달리한 비자의 수율은 $100^{\circ}C$ 이상의 고온과 압력이 가해진 HWE가 7.08 g/100 g으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자의 HWE는 35.47mg/g의 플라보노이드와 112.95 mg/g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비자의 각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저해율은 2.0 mg/mL의 농도에서 $5.62{\sim}28.71%$로 WE에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의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pH 1.2의 2.0 mg/mL의 조건에서 HWE가 94.30 %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보였으며, pH 1.2와 3.0에서 비자의 세 가지 추출물 모두 약 9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HWE에서 33.58%로 WE (17.70%)와 EE(24.16%)보다 약 $1.4{\sim}2$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0.1 mg/mL의 농도에서 $66.46{\sim}89.72%$로 WE에서 높았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전자공여능이 감소하였다(p<0.05). Xanthine oxidase 저해는 HWE에서 89.29%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0.5 mg/mL의 농도에서도 WE와 HWE는 75%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비자는 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다량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 추출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하여 기능성식품이나 제품의 첨가물 또는 의약품 재료로 개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한방생약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