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ve thinking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초

반성적 사고를 통해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천: 프로젝트접근법을 통해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Project Approach in Classroom Context)

  • 안효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2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6 preservice teachers'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children and teaching while they implemented the Project Approach. Using qualitativ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 and group reflections, interviews, classroom observations, and videotaping.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observing children in context and the meaning of learning through the Project Approach.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their identitie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on their theories and practices.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 중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flective Thinking on Verbal Interac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신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428-439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반성적 사고가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2명이 예비교사가 선정되었고, 각 예비교사마다 3차시의 과학 수업을 하였으며, 연구자가 매 차시 과학 수업을 녹화 녹음하였다. 녹음된 자료 중 1차시와 3차시의 자료만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전사하였다. 예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한 결과, 수업이 진행될수록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작용 빈도의 증가는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과 수업 준비도에 따라 다른 패턴을 보였다. 또한 예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질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업이 진행될수록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거나 열린 사고를 유발하는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학생들에게 닫힌 사고를 유발하는 낮은 수준의 상호작용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변화 역시 예비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과학 수업에서 반성적 사고를 통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에 효과는 있었으나, 예비교사 개인의 특성 특히,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과 준비도에 따라 효과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반성방법의 차이가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flective Thinking Methods on Improvement of Pre-service Geography Teacher's Teaching Knowledge)

  • 이소영;오정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9-476
    • /
    • 2011
  • 본 연구는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차 모의수업 결과를 토대로 통일한 수준에 있는 데 명의 예비교사들을 선정한 후, 각각 상이한 반성을 거쳐 2차 모의수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 때 각각의 수업에 대한 동료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지식 구비정도를 파악했고, 1차 및 2차 수업 간의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수업전문지식의 변화 양상을 파악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와 2차 모의수업을 비교해본 결과 모든 예비교사의 평균점수가 상승했지만, 반성하지 않거나 자기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 비해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의 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다음으로 자기반성을 통해 반성적 성찰지를 작성한 예비교사의 경우 반성적 사고는 가능했지만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지는 데에는 한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내용지식의 향상은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게만 나타났다. 특히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에서 유의미한 통계 값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내용이나 상황영역 부문은 예비교사 스스로의 자기반성 및 반복적 수업 실연을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지만,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은 조력자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초임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 Teachers' Mentoring Characteristics and Mente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Collaborative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 박지훈;남정희;강유진;박종석;손정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5-128
    • /
    • 2019
  • 이 연구는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직경력 7년 이상의 멘토 4명과 초임중등과학교사 4명을 선정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들은 멘토 및 멘티 저널, 멘티교사의 5차시 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수업평가지,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사전 설문, 중간 설문과 사후 설문, 일대일 멘토링 효과 설문 등이었다.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은 멘토교사의 상호작용 방법과 수업 피드백에 의한 지원의 내용과 빈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멘티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자발적 반성과 지원에 의한 반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은 RTO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의 교수 실행에서의 문제점을 멘티교사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대화를 유도하는 멘토교사는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멘토교사의 반성적 사고 유도 질문은 멘티교사의 자발적 반성을 이끌어 내었으며, 자발적 반성은 멘토교사의 지원에 대한 반성 및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켰다. 또한 멘토교사가 수업 피드백을 통한 지원을 제공할 때 멘티교사 스스로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할 경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한 반성적 사고 촉진 교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Learning Program for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timu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 최지윤;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1호
    • /
    • pp.104-112
    • /
    • 2013
  • We examined the strategies to stimulate the reflective thinking using science notebook for the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is one of the core skills for the future. The strategies we derived have four steps which are input, output, solving mission and reflection as my own mirror. We applied the strategies to the 6th grade class for autumn semester in order to examine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the result. We could observe that students looked into their own learning and had a time to look back their activities in the class. We could also confirmed that science notebook would be effective to improve the problem solving as stimulating the reflective thinking. In addition, we could specify the strategy of using science notebook in the class. At a 'input' stage, students should be able to choose their own learning style as their preference and teacher need to give them proper feedback. Interaction with peers should be emphasized during the activities as 'question attack' and 'question defense' in 'output' stage and 'solving mission' stage. You should suggest the students various method to record their thought from looking back their classroom activities instead of mere writing. We also examine the students achievement from the students' notebook and Meta Cognitive Awareness test. As a result, students who had studied using science notebook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higher achievement than controlled students.

중학교 3학년 수학 영재 학생들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적용: 쓰나미를 소재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ally-Gifted Students by Using Mathematical Modeling -Focus on Tsunami-)

  • 서지희;윤종국;이광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785-799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 수업이 수학 영재 학생들에게 문제해결의 기회를 제공하고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통해 다양한 수학적 사고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중학교 3학년 수학 영재 학생들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자료를 적용하여 사례연구를 통해 수학적 모델링의 단계별 활동과정을 살펴보고 각 단계에서 어떠한 수학적 사고능력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다양한 수학적 사고능력이 나타났는데 문제를 이해하는 실세계 탐구과정에서는 정보의 조직화 능력이, 상황모델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직관적 통찰능력, 공간화/시각화 능력, 수학적 추론 능력, 반성적 사고 능력이 나타났다. 수학모델 개발과정에서는 수학적 추상화 능력, 공간화/시각화 능력, 수학적 추론 능력, 반성적 사고가 나타났으며 모델적용 과정에서는 일반화 및 적용 능력과 반성적 사고가 나타났다. 모델링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반성적 사고능력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Models and Modeling Behavior: A Look at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Biology Majors

  • Partosa, Jocelyn D.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81-1294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the types of models that biology majors use and how they go about making their models in learning key concepts in biology such as the cell membrane, cytoskeleton and cell structure. Initially, a total of 44 biology students from all year levels enrolled in the second semester of calendar year 2008-2009 were asked to make their respective models of the cell membrane, cytoskeleton and cell structure. They were also asked to answer an open-ended questionnaire. Of the 44, only 20 (five from each year level) were randomly selected for a one-on-one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generated models from all year levels were mostly analogies, some textbook definitions and occasional drawings. In making their model, students first read the text; second, outline similarities in structure and function or both; and third, make the model. Data suggest that models are good diagnostic tools for identifying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In this case, students mostly demonstrate the ability to recognize similarities in structure and function between the concept and their model. Some senior students demonstrated integration and reflective thinking in making their models. Thus, more opportunities for student-generated models must be available if students were to develop integration and reflective thinking in their models.

비전공자를 위한 컴퓨팅 사고력의 개념적 고찰 (A Conceptual Study on Computational Thinking for Non-majors)

  • 홍미선;조정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51-158
    • /
    • 2021
  • 본 논문은 컴퓨터 전공자가 아닌 비전공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컴퓨팅 사고력의 개념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컴퓨팅 사고력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첫째, 문제해결적 관점에서 문제발견, 창출 능력에 대한 관점으로 확장하여 인간다운 사고 즉 창의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는 사고력으로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컴퓨팅 사고력의 개념을 인지적 측면뿐 아니라 정서적인 동기와 태도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다. 셋째, 학습자의 성찰 능력의 향상을 돕는 컴퓨팅 사고로 개념을 확장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수 방법의 체계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컴퓨팅 사고력 교육의 목적, 교수 방법적 측면에서 다양한 시도에 기초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예비과학교사의 수업 실행에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이 반성 분야와 반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flective Thinking Facilitation Program on Reflection Areas and Level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 김현정;홍훈기;홍지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87-110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이 교육실습기간 중 수업 실행에서 보이는 반성의 분야와 수준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두 7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4명의 예비과학교사는 반성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가로 제공받았다.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성은 주로 수업 운영에 관련된 분야인 주의 집중 및 동기 유발 방식, 교수 활동에 대한 반성과 개선, 상호작용 등에서 나타났으며, 과학과 교육과정의 이해 및 재구성과 차시 예고에 대한 반성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예비과학교사들은 일반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과학교사들에 비해 반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예비과학교사들이 반성을 보인 글들은 대부분 기술적 반성에 해당했으며,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예비과학교사들은 기술적 반성 뿐 아니라 높은 수준의 반성인 대화적 반성도 많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사전 교육프로그램과 반성저널쓰기, 교사들의 수업평가 및 피드백은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성의 빈도와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과학 모의 수업에 대한 반성 저널 쓰기와 토론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생산적 반성 증진 (Facilitating Productive Reflec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rough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Discussion about Science Peer Teaching Practice)

  • 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2호
    • /
    • pp.113-126
    • /
    • 2013
  •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imed to increase productive reflec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rough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discussion after science peer teaching practice. 'Productive reflection' involves consideration and analysis of interrelationships among aspects of teaching including learners and learning, subject matter knowledge, assessment, and instruction. During 8 week efforts, productive reflection has increased gradually in both individual journal and class discussion. However half of individual journals didn't show productive reflection even in the final stage. This implicated that development of reflective thinking is an achievable but progressive change. By describing the progress in discussion and participants' responses on journal writing and discussion activity, this study shed light on practical ways of enhancing reflective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