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inement

검색결과 1,673건 처리시간 0.035초

평판휨 문제에서 적합변이요소를 이용한 적응적 체눈 h-세분화 (Adaptive Mesh h-Refinement using Compatible Transition Elements in Plate Bending Problems)

  • 최창근;박용명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15
    • /
    • 1990
  • In this study, an adaptive mesh h-refinement procedure was presented in plate bending problems. By introducing the transition elements for the procedure, same drawbacks due to the irregular nodes are eliminated which are generated in the consequence of local mesh refinement in common adaptive h-version performed by single type of quadrilateral elements. For the above objective, compatible 5-node through 7-node transition plate bending elements are developed by including variable number of midside nodes. Using the Zienkiewicn-Zhu error estimator, some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adaptive h-refinement using the transition elements.

  • PDF

h-분할법에 의한 사각형 유한요소망의 적응적 구성 (An Adaptive Construction of Quadrilateral Finite Elements Using H-Refinement)

  • 채수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11호
    • /
    • pp.2932-2943
    • /
    • 1994
  • An efficient approach to the automatic construction of effective quadrilateral finite element meshes for two-dimensional analysis is presented. The procedure is composed of, firstly, an initial mesh generation and, secondly, an h-version of adaptive refinement based on error analysis. As for an initial mesh generation scheme, a modified looping algorithm has been employed. For the adaptive refinement process, an error indicator obtained by computing the residual error of the equilibrium equations in the energy norm with a relaxation factor has been employed. Examples of mesh generation and self-adaptive mesh improvements are given. These example solutions demonstrate that an effective mesh for a given error tolerance can be obtained in a few steps of the analysis processes.

A Method of Service Refinement for Network-Centric Operational Environment

  • Lee, Haejin;Kang, Dongs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97-105
    • /
    • 2016
  • Network-Centric Operational Environment(NCOE) service becomes critical in today's military environment network because reusability of service and interaction are be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well in business process. However, the refinement of service by semantic similarity and functional similarity at the business process was not detailed yet. In order to enhance accuracy of refining of business service, in this study, the authors introduce a method for refining service by semantic similarity and functional similarity in BPMN model. The business process are designed in a BPMN model. In this model, candidated services are refined through binding related activities by the analysis result of semantic similarity based on word-net and functional similarity based on properties specification between activities. Then, the services are identified through refining the candidated service. The proposed method is expected to enhance the service identification with accuracy and modularity. It also can accelerate more standardized service refinement developments by the proposed method.

기하학적 해싱을 이용한 딜러니 개선 알고리듬의 가속화 (Acceleration of Delaunay Refinement Algorithm by Geometric Hashing)

  • 김동욱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10-117
    • /
    • 2017
  • Delaunay refinement algorithm is a classical method to generate quality triangular meshes when point cloud and/or constrained edges are given in two- or three-dimensional space. It computes the Delaunay triangulation for given points and edges to obtain an initial solution, and update the triangulation by inserting steiner points one by one to get an improved quality triangulation. This process repeats until it satisfies given quality criteria. The efficiency of the algorithm depends on the criteria and point insertion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accelerate the Delaunay refinement algorithm by applying geometric hashing technique called bucketing when inserting a new steiner point so that it can localize necessary computation. We have tested the proposed method with a few types of data sets, and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strong linear time behavior.

Variable-node axisymmetric solid element and its application to adaptive mesh refinement

  • Choi, Chang-Koon;Lee, Eun-Jin;Lee, Wan-Hoo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11권4호
    • /
    • pp.443-460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n effective application of a variable-node axisymmetric solid element designated as AQV (Axisymmetric Quadrilateral Variable-node element). The variable-node element with physical midside nodes helps to overcome some problems in connecting the different layer patterns on a quadrilateral mesh in the adaptive h-refinement. This element alleviates the necessity of imposing displacement constraints on irregular (hanging) nodes in order to enforce the inter-element compatibility. Therefore, the elements with variable mid-side nodes can be used effectively in the local mesh refinement for the axisymmetric structures which have stress concentrations. A modified Gaussian quadrature should be adopted to evaluate the stiffness matrices of the variable-node elements mainly because of the slope discontinuity of assumed displacement within the elements. Some numerical examples show the usefulness of variable-node axisymmetric elements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백로그 팩토링을 이용한 백로그 상세화에서 재사용의 지원 (Support of Reuse in Backlog Refinement with Backlog Factoring)

  • 김지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337-343
    • /
    • 2014
  • 소프트웨어 재사용과 애자일 방법의 통합에 새로운 방안을 찾으려는 여러 노력들이 있다. 본 논문은 스크럼과 같은 애자일 방법에서 재사용과의 통합을 연구한다. 애자일 방법은 잦은 요구사항의 변경을 수용하며, 소프트웨어 재사용은 개발 노력의 단축과 같은 장점이 있다. 스크럼 방법은 산업체에서 빠르게 수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크럼 방법에서는 적극적인 재사용이 강조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통합 연구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라인 공학에 애자일 프랙티스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스크럼의 반복개발과 백로그 상세화 활동은 재사용을 촉진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사용을 위한 스프린트의 특성과 구성요소를 식별하고 확장 백로그 정련 스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애자일 방법에서의 재사용 지원을 위한 스크럼의 백로그 상세화에서 백로그 팩토링을 통합 할 수 있었다. 아울러, 제안된 방법을 인터넷 쇼핑몰 어플리케이션 응용에 적용하고 프로토타이핑을 통하여 백로그 상세화에서의 제품 백로그 재사용을 얻을 수 있었다.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자연요소 균열해석을 위한 균열선단 그리드 세분화기법 (A Near-tip Grid Refinement for the Effective and Reliable Crack Analysis by Natural Element Method)

  • 조진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183-190
    • /
    • 2019
  • 본 논문은 균열선단 그리드 세분화기법을 소개하고 자연요소법을 이용한 균열해석에 이 기법을 적용함으로서 그 유효성을 고찰하였다. 유한요소법에 있어서의 국부적 h-세분화와 같이 높은 응력 특이성을 보이는 균열선단 주위를 따라 자연요소법 그리드를 국부적으로 세분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소개되는 그리드 세분화기법은 2단계로 구성되며, 1단계에서는 그리드 점들이 추가되고 2단계에서는 균열선단 절점을 공유하는 델라우니 삼각형들이 나뉘게 된다. 제안하는 그리드 세분화기법의 타당성과 균열해석에서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대칭 엣지 균열을 갖는 평면 변형률 상태의 사각 평판을 해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의 상대비교를 위해 균일한 자연요소 그리드를 이용한 균열해석도 수행하였으며, 균열선단이 세분화된 그리드는 균일한 그리드와는 달리 이론해와 조밀한 그리드와 유사한 균열선단 응력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총 그리드 절점수에 대한 해석결과의 전역 상대오차에서도 세분화된 그리드가 균일한 그리드에 비해 높은 수렴율 나타내었다.

고급강 제조 반응 모델의 검토 : Part. 2. 종합 모델 및 단일 반응 모델 (A Review of Kinetic Model for Production of Highgrade Steel : Part. 2. Complex Reaction Model and Single Reaction Model)

  • 김정인;김선중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0권1호
    • /
    • pp.14-25
    • /
    • 2021
  • 고품질 철강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차 정련 공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공정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용강, 슬래그 및 비금속 개재물의 조성은 정련 공정이 평형 상태가 아님을 의미하며, 정련 공정에서는 용강, 슬래그, 비금속 개재물, 내화물 및 합금 원소 간의 동시 다발적 반응이 일어난다. 다양한 상들의 비평형 상태에서 복잡한 반응을 고려하기 위해, 이전 연구자들은 실험을 통해 도출된 반응 속도 수식들을 기반으로 kinetic 기반의 고급강 제조 정련 시뮬레이션 모델을 발표하였다. 정밀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발을 위해 보고된 2차 정련 모델들의 분석 및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로 발표된 정련 공정 관련 종합 모델들 및 단일 반응 모델들에 대하여 검토하고 소개하였다.

Rietveld Refinement 방법을 응용한 장석 혼합시료의 정량분석 연구 (Quantitative Analysis of Feldspar Mixture Samples Using the Rietveld Refinement Method)

  • 심상헌;안중호;김수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2-79
    • /
    • 1994
  • 앨바이트 (albite) 와 석영, 그리고 미사장석 (microcline)과 앨바이트의 표준 혼합물 시료를 마련하여 이들에 대해 Rietveld refinement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분석 및 결정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Rietveld refinement 방법을 이용한 정량분석 결과의 표준편차는 앨바이트와 석영의 표준 혼합물 시료의 분석시에는 4 wt %, 미사장석과 앨바이트의 표준 혼합물 시료의 분석시에는 1 wt %인데 이것은 분리된 피크를 이용하는 기존의 XRD 정량분석법의 결과에 비해 훨씬 향상된 것이다. 또한, 정량분석과 동시에 얻어지는 각 구성광물의 단위포상수값도 정확하게 측정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앨바이트와 석영의 표준 혼합물처럼 서로 다른 결정입자의 배열 특징을 가진 광물로 구성된 시료의 정량분석 결과에는 실제 무게비와 비교할 때 규칙적인 편이현상이 나타난다. 관찰된 결정입자의 배열현상지수(preferred orientation parameter)와 R-값은 결정입자의 특정방향으로의 배열효과가 미치는 영향이 Rietveld refinement 분석시에 완벽하게 계산될 수 없기 때문에 규칙적인 편이가 발생하는 것임을 지시해 준다. Dollase-March 및 Rietveld-Toraya 함수와 같은 결정입자의 배열현상 보정방법은 정확한 단위포상수 (unit-cell parameter)의 측정에는 도움을 주지만 정량분석결과를 향상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료중에서 결정입자의 배열현상을 뚜렷히 보이는 광물의 무게비는 실제값보다 약간 크게 측정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결정입자의 외형 때문에 마운트된 시료표면에서 일어나는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Rietveld refinement 방법은 분말 X-선 회절도형의 피크들을 분리할 필요없이 회절도형전체를 한꺼번에 분석함으로써 피크의 중첩현상을 극복할 수 있고, 기존의 XRD 정량분석법에 비하여 입자의 배열현상의 문제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refinement된 정확한 단위포상수값이 회절도형의 비례상수와 함께 정량화하는 식에 사용되므로, Rietveld refinement를 이용한 정량분석법은 매우 정확한 광물학적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