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uced -division values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odium Salt of Isobutyric Acid on Ruminal Fermentation and Nutrient Utilization in a Wheat Straw Based Low Protein Diet Fed to Crossbred Cattle

  • Misra, A.K.;Thakur, S.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479-484
    • /
    • 2001
  •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odium salt of isobutyric acid in low protein (10% CP) wheat straw based diet on nutrient utilization and rumen fermentation was studied in ruminally fistulated male crossbred cattle. The study included a 7 day metabolism and a 3 day rumen fermentation trials. The cattle were distributed into two equal groups of 4 each. The animals of control group were fed a basal diet consisting of wheat straw, concentrate mixture and green maize fodder in 40:40:20 proportion whereas branched chain volatile fatty acid (BCFA) supplemented group received a basal diet + isobutyric acid at 0.75 percent of basal diet. The duration of study was 36 days. The feed intake between experimental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nd the average total DMI (% BW) was 2.01 and $2.28kg\;day^{-1}$ in control and BCFA supplemented diets.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BCFA improved (p<0.05) the DM, OM, NDF and cellulose digestibility by 4.46, 6.63, 10.57 and 11.31 per cent over those fed control diet. The total N retention on BCFA supplementation was improved (p<0.01) due to decreased (p<0.05) urinary N excretion. The concentrations of ruminal total N was 37.07 and $34.77mg\;100ml^{-1}$ in control and BCFA fed groups, respectively. Dietary supplementation BCFA significantly (p<0.01) reduced the ruminal ammonia N concentration as compared to control and the mean values ($mg\;100ml^{-1}$) were 13.18 and 9.42 in control and BCFA fed groups. The total VFA concentration was higher (p<0.01) in BCFA supplemented group (101.14 mM) than the control (93.05 mM). Among the VFAs, the molar proportion of acetate was higher (p<0.01) in BCFA supplemented group (71.07 mM) as compared to control (64.98 mM).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propionate and butyrate remained unchanged. Amino acids composition of bacterial hydrolysates was similar in both the groups. Ruminal outflow rate of liquid digesta was higher (p<0.01) in BCFA fed group ($67.56l\;day^{-1}$) than control ($52.73l\;day^{-1}$). It is concluded that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Na-salt of isobutyric acid in low protein diet improved the nutrient utilization and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도파관식 고출력 헬륨 플라즈마의 개발과 분광학적 특성 연구 (Development and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the high-power wave guide He Plasma)

  • 이종만;조성일;우진춘;박용남
    • 분석과학
    • /
    • 제25권5호
    • /
    • pp.265-272
    • /
    • 2012
  • 기존의 Okamoto cavity를 변형시킨 WR-340 도파관을 사용한 cavity를 제작하고 고출력(2.45 GHz, 2 kW)의 헬륨, 질소 및 아르곤 마이크로파 플라즈마(MIP; Microwave Induced Plasma)를 성공적으로 형성시켰다. 플라즈마 생성의 주요한 요인들은 내부전도체의 직경과 내부전도체와 외부전도체간의 간격, 내부전도체 끝과 토치의 위치 등이 있으며 그 중 헬륨 마이크로파 플라즈마에 대하여 cavity의 디자인을 최적화시키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용 mini 토치와 자체 제작한 나선형흐름토치를 비교 연구한 결과, 헬륨 플라즈마 기체 흐름량은 약 25 L/min~30 L/min로서 서로 비슷하였다. 토치 상단부에 석영관을 덧씌워 공기유입을 막은 결과, 340 nm 근처의 NH분자선들이 없어지거나 감소하였다. 플라즈마의 온도 및 전자밀도를 측정한 결과, 4,350 K의 들뜸 온도와 $3.67{\times}10^{11}/cm^3$의 전자밀도를 얻었다. 이 값들은 기존의 다른 마이크로파 플라즈마와 비슷하거나 약간 작은 값이다. 고출력의 플라즈마로서 수용액을 직접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현재 Cl의 검출한계는 116 mg/L 수준으로서 아직 분석적인 최적화가 필요한 단계이다.

난황 유래 인지철로 합성한 리포좀의 물리적 특성과 안정성 (Physical Property and Stability of Liposome Prepared from Egg Yolk Phospholipids at Various Storage Conditions)

  • 박선현;김명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9-554
    • /
    • 2008
  • 난황 유래의 인지질을 주원료로 리포좀을 제조하여 서로 다른 저장조건에서의 리포좀의 물리적인 안정성을 연구하였다. 리포좀 용액의 pH를 달리하여 저장한 후 리포좀 입자크기와 리포좀 용액의 제타전위와 형광도를 측정한 결과, 리포좀은 pH 1-2에서 입자크기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pH 4 이하에서 제타전위의 절대값이 감소하였으며 리포좀의 내부에 포집한 수용성물질의 손실량 지표인 형광도의 측정치 또한 pH 2-4에서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산성의 저장조건에서는 리포좀이 불안정함을 추론할 수 있다. 저장 온도별 리포좀의 안정성 평가에서는 $4^{\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 10일째부터 입자의 크기 변화가 있었고 20, $35^{\circ}C$에서 저장할 경우, 저장기간 40일째 이후부터 입자의 크기변화가 있었다. 제타전위는 3가지 온도조건에서 동일하게 저장 말기에 측정값의 절대값이 미세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50^{\circ}C$에서 저장된 리포좀의 형광도 측정실험에서 포집된 SRB의 누출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H 6 이하의 산성의 조건에서 리포좀은 불안정하며 $50^{\circ}C$와 같이 높은 온도에서 인지질로 구성된 리포좀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난황 유래 인지질로 구성된 리포좀을 이용한 진단용 시약 개발 및 포집 특성 연구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m2O3 첨가가 MLCC용 $BaTiO3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m2O3 addition on dielectric property of barium titanate ceramics for MLCCs)

  • 김진성;이희수;강도원;김정욱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5-29
    • /
    • 2010
  •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고 $Tm_2O_3$가 첨가된 MLCC용 $BaTiO_3$ 유전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환원분위기, $1320^{\circ}C$의 온도조건에서 2시간 동안 소결하였다. 유전특성 측정과 미세구조 관찰을 통하여, $Tm_2O_3$ 첨가에 따라 $BaTiO_3$ 세라믹의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각 유전체의 상분석을 통하여 이차상 유무를 확인하였다. 1 mol%의 $Tm_2O_3$를 첨가한 유전체 시편이 유전특성이 가장 우수한 반면에 2 mol% 이상의 $Tm_2O_3$를 첨가한 시편의 유전상수는 1 mol%를 첨가한 시편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유전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grain 크기 및 pyrochlore 이차상 형성은 미세구조분석과 결정구조분석에 의해 조사되었다. 또한, 이들 데이터를 대표적 희토류인 $Er_2O_3$를 첨가한 유전체 시편과 비교하였고 유전특성과 관련이 있는 pyrochlore상의 형성을 상분석으로써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는 세라믹 커패시터의 유전특성이 도핑에 따른 이차상과 $BaTiO_3$ tetragonality의 변화와 관련되어있다고 판단된다.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의 발가락벌리기 운동 시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의 효과 (The Effects of Ultrasound Imaging Visual Feedback During Toe-Spread-Out Exercise in Subjects With Hallux Valgus)

  • 강선영;정성대;심재훈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1-28
    • /
    • 2016
  • Background: The toe-spread-out (TSO) exercise has been introduced as a strengthening exercise for the abductor hallucis muscle in subjects with hallux valgus. Visual biofeedback using ultrasound imaging during exercise, may increase the ability to selectively contract the abductor hallucis muscle, compared with exercise alone.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ltrasound imaging visual feedback during the TSO exercise with respect to its influence on the angle of the first metatarsophalangeal joint (1st MPJ) and the cross-sectional area (CSA) of the abductor hallucis muscle in subjects with hallux valgus. Methods: Twenty-five healthy young subjects with a mean average age of 22.5 years, and a standard deviation of 2.3 yea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Hallux valgus was defined as an angles greater than $15^{\circ}$ angle of 1st MPJ. Goniometric measurement was used to determine the angle of 1st MPJ. In addition, an ultrasound system was used to collect the CSA of the abductor hallucis muscle in each foot. The angle of the 1st MPJ and CSA of the abductor hallucis were measured in three positions; the resting position, during TSO exercise, and during TSO exercise in conjunction with real-time ultrasound imaging feedback. All data analyzed using a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with Bonferroni correction in order to compare the dependent variables in all three positions. Statistical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up as p<.05. Results: The angle of the 1st MPJ was noted to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CSA of the abductor hallucis to be significantly greater during TSO exercise used in conjunction with ultrasound imaging visual feedback, compared to when the values were recorded during TSO exercise alone (p<.05).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pplication of ultrasound imaging visual feedback during TSO exercise is more effective in contracting selectively the abductor hallucis than the use of exercise alone.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특성 (Autogeneous Shrinkage Characteristics of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 김성욱;최성;이광명;박정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95-301
    • /
    • 2011
  • 최근 고성능 감수제, 실리카 퓸과 강섬유 등을 사용하여 제조한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의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UHPC는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조직이 치밀하여 내구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지만 W/B가 낮고 단위 시멘트량이 많기 때문에 초기 수화열과 자기수축이 많이 발생하여 재령 초기에 균열 발생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UHPC의 초기 수축균열은 수축 저감제 및 팽창재의 자기수축 보상 효과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축 저감제 및 팽창재를 혼입한 UHPC의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여 재령 초기 강성 변화를 추정하였고, 수축 실험을 통하여 수축 저감제 및 팽창재가 UHPC의 자기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UHPC의 자기 수축 실험 결과로부터 자기수축 예측 모델의 재료 상수를 결정하였다. 결론적으로 수축 저감제 및 팽창재를 혼입함에 따라 UHPC 강성이 신속하게 발현되며, 자기수축 저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ematicidal Activity of Kojic Acid Produced by Aspergillus oryzae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 Kim, Tae Yoon;Jang, Ja Yeong;Jeon, Sun Jeong;Lee, Hye Won;Bae, Chang-Hwan;Yeo, Joo Hong;Lee, Hyang Burm;Kim, In Seon;Park, Hae Woong;Kim, Jin-Che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8호
    • /
    • pp.1383-1391
    • /
    • 2016
  • The fungal strain EML-DML3PNa1 isolated from leaf of white dogwood (Cornus alba L.) showed strong nematicidal activity with juvenile mortality of 87.6% at a concentration of 20% fermentation broth filtrate at 3 days after treatment. The active fungal strain was identified as Aspergillus oryzae, which belongs to section Flavi,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ITS rDNA, calmodulin (CaM), and β-tubulin (BenA) genes. The strain reduced the pH value to 5.62 after 7 days of incubation. Organic acid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citric acid (515.0 mg/kg), malic acid (506.6 mg/kg), and fumaric acid (21.7 mg/kg). The three organic acids showed moderate nematicidal activities, but the mixture of citric acid, malic acid, and fumaric acid did not exhibit the full nematicidal activity of the culture filtrate of EML- DML3PNa1.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coupled with 1H- and 13C-NMR and EI-MS analyses led to identification of kojic acid as the major nematicidal metabolite. Kojic acid exhibited dose-dependent mortality and inhibited the hatchability of M. incognita, showing EC50 values of 195.2 μg/ml and 238.3 μg/ml, respectively, at 72 h post-expos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oryzae EML-DML3PNa1 and kojic acid have potential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M. incognita.

습식전기집진기를 활용한 입자상 물질 및 황산화물 저감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educt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Sulfur Dioxide Using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 김종립;오원철;이원주;최재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98-90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강화되는 황산화물 및 입자상물질의 배출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한 후처리장치로 습식전기집진기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선박용 중유(HFO, 황함유량 약 2.1%)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용 4행정 디젤엔진(STX-MAN B&W)을 활용하였으며, 연돌에 설치된 습식전기집진기 입/출구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미세먼지 측정을 위해서는 광학식 계측기(OPA-102) 및 중량농도측정방식(Method 5 Isokinetic Train)을 이용하였으며, 황산화물 계측을 위해서는 FT-IR(DX-4000)을 사용하였다. 엔진부하는 50%, 75%, 100%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로, 엔진부하가 50%에서 100%로 변화함에 따라 미세먼지 저감 효율은 모든 부하 조건에서 94~98% 정도의 높은 저감 효율을 나타내었다. 추가적으로 습식전기집진기 퀜칭존에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과정 중 세정액에 의한 이산화황(SO2) 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감율은 엔진부하에 따라 55%~81%로 확인되었다.

매실 와인의 제조공정에 따른 아미그달린(amygdalin) 함량의 변화와 품질 특성 (Change in amygdalin contents of maesil (Prunus mume) wine according to preparation steps and its characteristics)

  • 조정원;김병용;최수진;정진부;김현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2-47
    • /
    • 2019
  • 매실청을 제조한 후 매실을 제거하지 않은 매실청(MW1)과 매실을 제거한 매실청(MW2)을 발효하여 매실 와인을 제조하였다. 매실청은 당침 기간이 증가하면서 아미그달린 함량은 증가하였다. 매실 와인 제조과정별 아미그달린 함량을 비교하면, MW1이 MW2보다 모든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아미그달린을 함유하고 있었다. 매실청의 희석부터 효모의 첨가까지는 아미그달린 함량의 변화는 유의적이나 공정별 차이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MW1의 경우 1차 발효 후 아미그달린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후 2차 발효와 병입까지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MW2는 효모 첨가 후 1차와 2차 발효를 거쳐 병입될 때까지 미미하지만 유의적으로 아미그달린 함량이 감소하였다. 완성된 매실 와인의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아미그달린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MW1이 MW2보다 아미그달린 함량에 있어 빠른 감소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매실 와인들의 알코올 함량은 숙성 초기에 10.11-10.94%이었으며, 3개월 숙성 후 9.87-10.30%를 나타내었고, 처리군들 사이에서 또는 숙성기간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pH와 적정산도는 숙성기간이 연장되면서 유의적인 변화가 없거나 소폭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MW2에 비해 MW1의 pH는 낮고, 적정산도는 높았다. 색 특성은 숙성기간이 증가하면서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였지만, MW1이 MW2보다 밝은 색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낮은 도수의 술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최근 술 소비 패턴과 최소한의 아미그달린 함량을 고려할 때, 전통적으로 높은 알코올 농도의 담금주에 매실을 재어 침출하는 침출주 형태보다는 효모에 의해 매실청을 발효시켜 제조하는 매실 발효주(와인)이 매실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pH조건에서 가열처리에 의한 시나핀산의 화학 안정성 및 생리활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stability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inapinic acid by heat treatment under different pH conditions)

  • 허윤선;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16-62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pH 환경에서 식품의 가공 및 조리과정 중에 빈번히 적용되는 가열처리 과정을 적용하여 시나핀산의 화학 안정성, 산화방지활성 및 세포독성 등의 생리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95℃에서 각 시간별로 가열처리한 시나핀산은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더 많이 분해되었으며 pH가 상승할수록 더 신속하게 분해되었다. 가열처리에 의해 시나핀산의 ABTS 라디칼소거능 및 FRAP 환원능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특히 pH 7과 8에서는 가열처리 시간에 유의적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HCT116 인간 대장암세포에 대한 시나핀산의 세포독성 평가에서 가열처리 전의 시나핀산은 500 μM 농도까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 pH 8에서 가열처리한 후에는 해당 농도에서 유의적인 세포독성을 발현하였으며 세포 내 glutathione 수치 또한 감소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시나핀산의 화학 안정성 및 생리활성이 가열처리와 pH 환경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시나핀산이 함유된 식품을 알칼리 조건에서 가열처리 시 성분의 손실 및 활성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