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evelopment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3초

주택재개발사업 시행단계의 위험요인 분석 (Risk Factor Analysis in the Implementation Phase of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 안정민;정인수;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97-105
    • /
    • 2011
  • 주택재개발사업에는 다수의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사업기간 동안 분쟁의 발생은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들의 의견조율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주택재개발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조합이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시행단계의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주택재개발사업 시행단계에서 발생했던 분쟁사례와 관련 연구를 검토 및 분석하여 50개의 단계별 위험요인을 식별하였으며,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총 26개의 최종 위험요인을 선별하였다. 위험요인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AHP기법을 이용한 각 위험요인의 중요도를 산출하였으며, 각 단계의 중요도를 합산하여 최종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관리처분계획단계의 '관리처분계획의 부적정성'과 사업시행인가단계의 '사업시행계획의 부적정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위험요인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에 위험요인을 인지하여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주택재개발사업의 시행단계 위험요인을 적극 관리한다면 사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내항 입지의 비교분석과 유형화를 통한 재개발 방향 모색 (Planning the Redesign of Inner Harbor by Comparative Analysis and Typological Approach)

  • 김주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491-500
    • /
    • 2018
  • 산업화 초기부터 발전해온 내항은 이후 변화한 산업물류 환경 속에 쇠락해왔으나 재개발을 통해 새로운 용도로 변모하면서 다시 도시적 활기의 중심이 되기도 한다. 우리나라도 내항 재개발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지역 재생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 내항의 개발은 도시와 해양 사이에 위치한 내항의 독특한 입지 특성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인식을 토대로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내항지역 사례들을 선정하고 이들의 입지를 두 가지 개념, 즉 관문적 개념과 중심지이론적 개념을 통해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내항의 여건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두 가지 개념을 통해 유형화함으로써 각 내항의 특성에 맞는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립적인 입지, 시가지와 해안의 분리 등으로 인해 내항이 가지는 잠재력이 충분히 구현되기 어려운 사례가 많음이 드러났으며, 그에 대한 인식과 대처가 없이는 효과적인 재개발이 쉽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내항을 별도의 또 다른 가용지로 보기 보다는 해양과 내륙을 매개하는 입지, 기존 시가지와 연계된 입지로 보고 접근하는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내항 지역의 개발을 해양문화시대, 도시재생 시대에 필요한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중장기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도시정비사건 소송의 본안전항변사유와 본안쟁점사항에 관한 분석 - 인용률 및 행렬표식 분석기법을 활용한 - (Analysis by Defensive Process Prerequisite and Offensive Cause of Action on the Merits of Lawsuit Cases in Urban and Housing Redevelopment - Based on Affirm-Rate and Staircase Matrix Tables -)

  • 김요한;정보선;이상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04-114
    • /
    • 2019
  • 본 연구는 부동산건설 관련된 대표적 소송인 도시정비사업의 시행주체인 조합설립과 관련된 소송의 승소요인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조합설립인가 쟁송에 대한 전국의 제1심 행정법원 판결 441건을 분석대상으로 본안전항변사유와 본안전쟁점사항을 구분하여 계량법학적으로 승소확률표에 의한 빈도분석 및 계단식 예측방법에 의한 행렬표식 분석을 실행하였다. 인용률을 활용한 분석결과로 본안전항변사유와 관련하여 과거법률관계 항변, 인가고유하자아님 항변, 조합원지위 또는 소유권 없음 항변, 제소시간 도과 항변, 법률상이익 없음 항변 등, 본안쟁점사항과 관련하여 동의율하자산정, 동의서관련하자, 구역지정전승인, 총회관련하자, 구역지정하자 등의 순서로 빈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계단식 예측방식에 의한 행렬표식 분석을 통해 핵심예측변수인 '과거법률관계'와 '조합원지위 또는 소유권 없음'을 이용하여 본안승소판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승패소구분을 위한 기준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정비사업에서 참여자별 소송결과의 예측가능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분쟁해결의 빈도를 낮춰 과다한 사회적 비용을 방지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컨조인트 분석(Conjoint analysis)을 이용한 한강 변 스카이라인 형태 선호도 분석 연구 - 한강 변 압구정 아파트지구를 중심으로 - (A Conjoint Analysis on the Preference Analysis of the Han River Skyline Focus on the Apgujeong Apartment District in the Han River Embankments, Seoul)

  • 강송희;장창희;이제승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3권2호
    • /
    • pp.79-92
    • /
    • 2023
  • 서울의 이미지에 큰 영향을 주는 한강 스카이라인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며, 한강 주변 아파트 단지재건축 계획에서 스카이라인 형태에 대한 고려가 중요해지고 있다. 서울시는 한강 연접부 아파트 높이 제한 기준을 없애고 대상지 특성에 맞는 적절한 높이를 계획해 유연하고 창의적인 스카이라인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스카이라인 분석 방법은 구체적인 스카이라인 속성과 수준을 고려하지 않아, 새로운 서울의 스카이라인 계획을 위한 구체적인 선호 스카이라인 형태 제시에 한계가 있다. 또한, 디지털 트윈 3D 모델링 프로그램의 발전에도 아직까지 선호 형태를 반영하면서 도시 스카이라인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일부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스카이라인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3D 모델링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선호되는 스카이라인 형태 결정에 각 속성의 중요성을 평가할 수 있는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다. 한강을 따라 위치한 재개발 계획이 있거나 곧 재개발이 들어가는 압구정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한 선호 스카이라인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디지털 트윈 3D 모델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호 스카이라인 형태의 기준을 제안한다. 또한, 이 개발 과정에서 컨조인트 분석이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도자공방운영의 활성화 연구 (Activation of the ceramic workshop in Operations Research)

  • 김성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07-512
    • /
    • 2014
  • 문화가 공급하는 자와 수요자와의 감정의 공유가 있어야 가능한 것임을 감안해 보더라도 수요자가 그 코드를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다면 문화의 형성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활발한 도자공예 문화의 보급은 교육의 힘으로 가능하다 할 수 있다. 우리의 도자공예문화 역시 이러한 의미에서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하고 재정비 필요하다. 시대적 지역적인 도자공예가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 및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교육 방법이나 활성화 방안으로 공방 운영에 교육의 중요성을 토대로 도자공방 활성화 방안을 연구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지하철 4호선 R250m 인접구간 도시개발정비에 따른 궤도방진설계 (Case of track improvement in the area of redevelopment project surrounding around Seoul Metro Lin.4(R=250m))

  • 공선용;김상진;양태경;백찬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4-329
    • /
    • 2010
  • The surroundings around subway are becoming more lively for project of CBD (an redevelopment project), however vibrations which are made through passing train cold spread buildings around. The structure-borne noise could be generated at the same time that makes people including developers and th citizens have negative viewpoint on railway. Especially, Seoul Metro 1-4 lines ar built alongside the road nearby houses and business district. That could make plenty of public resentments because of the structure-borne noise. Seoul Metro should make active alternative plans for their future urban environment projects which will be conducted. The case was Railway Facility which were conducted to minimize structure-borne noise from sharp curved track section (4 line, Sinyongsan~Ichon, R 250m). The section is adjacent to house district as near as 6.6m related with pusing international city project, the 4th urban environment project around international building, near Yongsan station. The interval of sleepers would be downsized in half with breaking existing case, and pad stiffness is reduced 4 ton from 10 ton. That makes structure-borne noise minimized because of vibrations are lowered about 19.1-23.0db. The structure above has remained for a year and a half from October, 2008, and had not any trouble to perform excellence with 80million ton rail accumulated tonnage.

  • PDF

미국 공공주택의 진화: 초이스 네이버후드 계획의 생활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The Evolution of Public Housing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Social Services in Choice Neighborhood Initiatives)

  • 강승범
    • 토지주택연구
    • /
    • 제9권2호
    • /
    • pp.21-3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design and early implementation results of Choice Neighborhoods(Choice) initiative, which is the most recent version of public housing policies in the United States designed and implemented under the Obama administration. The Choice initiative aims to support a wide range of strategies locally driven to address problems in disadvantaged neighborhoods with an emphasis on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ransforming those neighborhoods. In this study, first, I briefly review the history of public housing policies since 1937, particularly focusing on limitations of HOPE VI(Housing Opportunity for People Everywhere) projects to understand the context behind the advent of the program. Second, I introduce the overall design of the Choice program and point out how this programs' design differs from previous public housing programs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federal guidelines for the Choice program.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introducing social services given to existing residents in public housing and their neighborhoods in redevelopment processes. These social services are intended to address poverty-related problems that public housing residents often confront, to help them break out of the cycle of poverty, and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s of relocation triggered by redevelopment. Third, to examine how this program has been implemented and has revealed limitations so far, I review an interim evaluation report based on five cities. This study ends with discussing policy implications for public housing providers and housing policy-makers in South Korea.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도시재생사업 다각화 방안 (Diversific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Regional Characteristics)

  • 조승연;천지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2호
    • /
    • pp.137-143
    • /
    • 2011
  • 본 연구는 현행 도시재생관련 법제가 수도권 대도시의 주거지에 주로 중점을 두고 있어 비수도권 및 지방도시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인식에 따라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제도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구규모와 지리적 위치 등을 고려하여 13개 사례지구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문헌연구와 지역전문가에 대한 심층자문을 통해 지역별 도시재생의 현황과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도시에서 공통적으로 과다한 정비지구지정, 물리적 정비사업의 정체 등의 과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각 지역의 인구 지리적 특징 및 민간참여가능성, 재정자립도 등을 고려할 때 물리적 정비의 방향, 정비 주체, 재정 및 전문가 지원, 도시재생사업의 범위 등의 차별화를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전개가 시급하다.

부산시 북항의 항만 재개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 하펜시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formation Proposal for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 Focused on comparison with Hafencity in Germany -)

  • 이선주;김성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63-74
    • /
    • 2007
  • In this Century, most of ports have been changing in order to keep up with change of the world. The ports are became larger and integrated with high technology because containers which pass through the ports are sharply increasing. Not to turn over the world wide competition of the ports, a renewal of Bukhang in Busan was promoted firstly in Korea. In this study, final draft renewal plan of Bukhang in Busan at this stage was compared with renewal plan of Haffencity in Germany in order to propose improved renewal plan of Bukhang in Busan. Renewal plan of Haffencity in Germany was very similar with Bukhang in Busan in terms of renewal period and direction. From the results of these comparisons, it was concluded that participation of private enterprise and international capital should be invested. Also, the facility plan of Bukhang was suggested to vitalize citizen's participation and embodimentof renewal plan. Prior to making a development plan enough consideration on th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is needed for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SSD). Also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should have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create the most Korean appearance.

  • PDF

도시하천경관복원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청계천 복원사업을 사례로 - (A Consideration on the Approach of Urban Stream Landscape Restoration - The Case of the Chungkye Stream Restoration Project -)

  • 신동훈;이규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9-48
    • /
    • 2004
  • In the 1960s, polluted urban streams were covered and paved in concrete. Rivers became sewers buried under road. As a result, wildlife habitat was lost and the open stream space was gone. In the 1990s, there was a movement for restoring urban stream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inhabitants. Chungkye Stream, whose covering began from early 1950s and ended in 1977, is now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together with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CBD) Redevelopment Plan. However, as the construction proceeds, several problems were raised, and serious controversies resul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approach of the Chungkye Stream Restoration Project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a site survey, and to present the improved alternative. Ultimately,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present references or guidelines for similar urban stream restoration projects. The Chungkye Stream Restoration Project has some of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 construction should be done based on the long-term urban redevelopment plan. Second, the construction period should be extended to restore urban streams. Third, the cultural asset conservation plan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fulfill the anticipated purpose,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need to be sol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