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tanner crab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동해산 붉은대게 (Chionoecetes japonicus)와 너도대게 (Chionoecetes sp.)의 식품성분 비교 (Comparison of Food Components between Red-Tanner Crab, Chionoecetes japonicus and Neodo-Daege, a New Species of Chionoecetes sp. Caught in the East Sea of Korea)

  • 박정흠;민진기;김태진;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2-64
    • /
    • 2003
  • Recently, relatively large amount of a new species of crab belonging to genus Chionoecetes that has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between red-tanner crab (Chionoecetes japonicus) and queen crab (C. opilio) was caught the East Sea of Korea. The new species of crab was tentatively named Neodo-Daege. Amino acid and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edible meat of red-tanner crab and Neodo-Daege were determine.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meats of Neodo-Daege were $79.2{\%}$ in moisture, $17.4{\%}$ in protein, $0.6{\%}$ in lipid, and $1.5{\%}$ in ash. Neodo-Daege was higher in protein and lipid contents, and lower in moisture and ash contents than those of red-tanner crab.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in the meat of Neodo-Daege were higher than those of red-tanner crab, but the profile of amino acids was similar to one another. Among amino acids, glutamic acid, arginine, aspartic acid, lysine and glycine were major components of the crabs.

효소분해의 의한 붉은 대게 자숙액의 품질 및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Red Tanner Crab Cooking Drip Using Commercial Enzymes)

  • 강경태;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22-1030
    • /
    • 2007
  • 붉은 대게 가공부산물로 이용도가 낮은 자숙액을 이용하여 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이의 맛, 영양 및 건강기능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붉은 대게 자숙액은 일반성분 및 안전성면에서 식품가공소재로 이용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1단 가수분해물의 경우 TCA soluble index(TSI), ACE 저해능 및 항산화능을 고려하는 경우 Alcalase로 2.0시간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다. 붉은 대게 자숙액 유래 Alcalase 1단 가수분해물을 기질로 하여 Flavourzyme, Neutrase 및 Protamex로 각각 2시간씩 연속적으로 가수분해시킨 2단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능 및 항산화능은 1단 가수분해물에 비하여 유사하거나 약간 우수하여 2단 가수분해의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붉은 대게 자숙액에 비하여 이를 Alcalase 처리한 가수분해물의 경우 일반성분 및 색조는 차이가 없었으나,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와 같은 맛에 관여하는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증가하였다. 붉은 대게 유래 Alcalase 처리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함량은 11,859.6 mg/100 mL이었고,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10.2%), proline(10.1%) 및 glycine (10.7%) 등이었다.

게 페이스트 첨가 패티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tty with Red-Tanner Crab (Chionoecetes japonicus) Paste)

  • 허민수;최승걸;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37-142
    • /
    • 2005
  • New types of patties were prepared with surimi and crab paste, and then characterized. With an increase of additional ratios of crab paste, the moisture (64.8 to $61.5\%$) of the patties slightly decreased while the ash contents (2.3 to $3.7\%$) increased. The Hunter's color values of the patties decreased in lightness (L value, 58.79 to 54.27) but increased in redness (a value, -2.77 to 3.54). Thus, the patties that had added crab paste appeared slightly more reddish.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additional ratios of crab paste, sensory scores on color and flavor increased whereas the texture score decreased. From the above results, based on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the desirable additional ratio of crab paste for preparing patty was $15\%$. The calcium and phosphorus contents of the patties with the addition of $15\%$ crab paste were 148.8 mg/100 g and 139.6 mg/100 g, respectively, and their ratio (approximately 1:1) was the optimal range in body absorption efficiency. The calcium absorption rate with the $15\%$ additions was 4.9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atty with no additions. Total amino acid content (16,302 mg/100 g) of the $15\%$ additions showed no difference to the patty without additions,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and lysine. Exceptionally, the cysteine content of the patty with the $15\%$ crab paste additions was 2 times higher than that found in the patty without crab paste. The major fatty acids were 16:0, 18:1n-9 and 18:2n-6 of the total lipid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atties with and without crab paste.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crab paste can be used as a crab surimi gel source.

식품가공소재로서 게 페이스트의 식품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Red-tanner Crab (Chionoecetes japonicus) Paste as Food Processing Source)

  • 김혜숙;박찬호;최승걸;한병욱;강경태;심남혁;오현석;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77-1081
    • /
    • 2005
  • 붉은 대게는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으나 생산량이 적고, 감소 추세에 있으며 수율이 낮아 이의 완전 이용이 절실하다. 이러한 일면에서 붉은 대게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붉은 대게 페이스트(paste)의 식품성분 특성 및 게 연제품의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붉은 대게 페이스트는 육에 비하여 단백질 함량은 낮았고, 칼슘과 같은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된 회분 및 조지방은 높았으며,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8.4mg/100g으로 가공 원료로 이용 가능한 범위이었다. 또한, 붉은 대게 페이스트의 경우 육에 비하여 구성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은 크게 차이가 없었고, 칼슘함량은 휠씬 많았다. 붉은 대게 페이스트를 surimi에 대하여 $15\%$ 첨가하여 연제품을 제조한 다음, 이를 무첨가 제품에 대하여 색조, 조직감 및 향을 비교한 결과 색조 및 향의 경우 첨가 제품이 우수하였고, 조직감의 경우 두 제품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게 페이스트는 게 연제품의 기호성 증대 이외에 영양 및 기능성 강화 소재로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게 페이스트 첨가 연제품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urimi Gel with Red-tanner Crab (Chionoecetes japonicus ) Paste)

  • 김혜숙;최승걸;박찬호;한병욱;양수경;강경태;오현석;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103-1108
    • /
    • 2005
  • 붉은 대게는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으나 생산량이 적고, 감소 추세에 있으며 수율이 낮아 이의 완전 이용이 절실하다 이러한 일면에서 붉은 대게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붉은 대게 페이스트(paste)를 이용한 천연 게살 함유 게 연제품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게 페이스트 첨가비율에 따른 연제품의 일반성분, 색조(명도 및 적색도), 조직감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붉은 대게 페이스트를 이용한 연제품의 제조시 게 페이스트의 최적 첨가비율은 $10\%$정도로 판단되었다. 붉은 대게 페이스트를 $10\%$ 첨가하여 제조한 게 연제품은 무첨가 연제품에 비하여 구성아미노산의 경우 총 함량 및 주요 아미노산의 종류는 차이가 없었으나, 함황 아미노산의 함량은 높아 게 특유의 향을 인지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또한 붉은 대게 첨가 연제품은 무첨가 연제품에 비하여 무기질의 경우 칼슘이 훨씬 강화됨과 동시에 인과의 비율이 개선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붉은 대게 페이스트로 연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기존의 인공향 및 색소첨가 게맛살과는 판이하게 다르면서 칼슘 강화 건강 기능성 천연 게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