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mud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8초

레드머드를 대체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양생방법에 따른 압축강도 특성 (Characteristic of Compressive Strength with Respect to Curing Conditions in Cement Mortar of Content Red Mud)

  • 황병일;강혜주;이후석;강석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14
    • /
    • 2017
  • Red mud is an inorganic by-product produced from the mineral processing of alumina from Bauxite or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 with respect to cur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red mud content. The results best of best showed that the water curing compressive strength better than atmospheric curing, steam curing.

  • PDF

레드머드를 이용한 바닥컬러콘크리트의 현장적용 (Application of the Color concrete with Red mud to the Floor Construction)

  • 김태청;김종;전충근;연규원;윤기원;신동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7-30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of red muds, which were industrial wastes fired at 800℃, with a coloring agen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The slumpflow, air content and unit weight volume were satisfied with each target values. The setting time was shortened on the case that 3 % of the red coloring agent and fired red mud were simultaneously replaced about 1 hour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which was 6 % of the red coloring agent was individually used. For the length change ratio caused by drying shrinkage and depth of neutralization on hardened concrete, they were declined when 3 % of the red coloring agent and fired red mud were simultaneously replac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On the measurement of forming colors, the case that 3 % of the red coloring agent and fired red mud were simultaneously replaced was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

  • PDF

레드머드 내 철 자원 회수 가능성 고찰 (A Study for Recoverability of Iron Resource in Red Mud)

  • 김봉주;권장순;고용권;박천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3호
    • /
    • pp.297-306
    • /
    • 2020
  • 보오크사이트로부터 알루미나를 생산하는 Bayer 공정 부산물인 레드머드는 높은 pH와 나트륨(Na)의 함량으로 폐기물로 분류되어, 발생량을 줄이거나 재활용하는 공정의 개발은 환경적으로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에서는 레드머드 내 다량 함유된 철(Fe)을 자원가치를 갖는 품위(56wt.%) 이상으로 향상시키고자 레드머드에 활성탄과 황을 혼합하여 마이크로웨이브 가열 시험을 수행하였다. 가열 소성과정에서 레드머드 혼합물 분말시료는 유리화된 다공성 구조의 결합체로 변화되었으며, X-선 회절분석을 통하여 산출물은 침철석, 영가철(Fe0, iron), 자류철석(Fe1-xS) 및 황철석(FeS2) 등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가열 소성 결과물은 왕수분해를 통하여 Fe을 용해시키고, NaCl을 첨가하여 Fe을 침전 회수하였다. 레드머드 내 Fe의 회수는 시험 조건별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단순히 레드머드를 마이크로웨이브 가열한 시료 내 Fe은 그 함량이 49.0wt.% 였다. 그러나, 활성탄을 첨가한 시료 및 활성탄과 황을 첨가한 레드머드 시료의 가열 소성 결과물 내 Fe의 함량은 각각 58.0wt.%, 59.5wt.% 로서 철 자원가치 품위인 56wt.%를 초과하였다.

점도 및 침전지수에 의한 액상화 레드머드의 분산 특성평가 (Evaluation of Dispersion Characteristics for Liquefied Red Mud by Viscosity and Sediment Index)

  • 강석표;강혜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17-525
    • /
    • 2017
  • 레드머드(Red mud)는 보오크사이트 원광석으로부터 수산화알루미늄($Al(OH)_3$) 및 산화알루미늄($Al_2O_3$)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산업부산물로 Bayer Process를 통하여 함수율 50%의 슬러지 상태로 국내에서 연간 약 30만톤이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함수율 50%의 레드머드 슬러지를 가열 공정없이 건설산업 현장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정 혼합수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상화하고 점도, 입도, 침전지수와 같은 분산특성을 검토하였다. 본 논문의 범위에 한정하여 액상화 레드머드의 안정적인 분산을 위해서는 초기 점도를 2000cP에서 8000cP을 적용하고 목표 침전지수를 20%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폴리올레핀에 대한 적니의 첨가효과 (Effect of Red Mud Addition to Polyolefin)

  • 이근영;김정호
    • 청정기술
    • /
    • 제6권2호
    • /
    • pp.93-99
    • /
    • 2000
  • 적니(Red mud)를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및 PP/LDPE의 블렌드에 Filler로서 첨가한 후 적니첨가량 및 가동방법이 인장물성 및 내충격강도 등에 주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PP의 경우는 적니를 첨가한 후 입출을 1회이상 반복할 경우 인장강도, 신율 및 파단시까지의 흡수에너지 등이 증가하였다. 단순 반복 압출이 아닌 마스터 배치 이용시는 인장강도 등이 더욱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LDPE에 적니를 첨가할 경우는 10%첨가시 인장탄성율과 내충격강도가 증가하였으나 20% 첨가시는 다시 감소하였다. 이 경우 EVA를 내충격 보강제로 동시에 첨가하면 내충격강도는 다시 증가하였다. PP/LDPE 블렌드에 적니를 첨가할 경우 50/50 블렌드에 적니 20%가 첨가될 경우 내충격강도가 저하되었으나 PP와 LDPE의 상용화제인 EPR을 5% 첨가함에 의해 내충격강도는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적니를 PP 등에 Filler로서 첨가할 경우 가공방법이 기계적 물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마스터 배치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가공방법의 하나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레드머드 대체율에 따른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공 및 백화특성 (Pore and Efflorescence Characteristics of Alkali Activated Slag-Red Mud Cement Mortar depending on Red Mud Content)

  • 강석표;강혜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1-26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레드머드 대체율에 따른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기공특성, 흡수율, 용출특성 및 백화 특성을 검토하여 알칼리활성화 슬래그 시멘트에 나트륨계 자극제인 레드머드를 사용함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백화특성을 확인하였다.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에서 레드머드 대체율이 높아질수록 10~100nm 직경의 기공은 증가하였으며 백화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의 백화물질은 $Na_2SO_4$가 가장 많이 생성되며 다음으로 $Na_2CO_3$로 백화의 발생원인은 레드머드에서 공급되는 Na+인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부산물 레드머드 첨가량에 따른 소성온도별 레드머드 세라믹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Red mud Ceramics according to Sintering Temperature and Contents of Red Mud from Industrial Byproducts)

  • 강석표;강혜주;이민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01-409
    • /
    • 2019
  • 본 논문은 고갈되고 있는 천연자원의 대체 원료로서 알루미나 산업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레드머드를 재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레드머드를 소성하여 세라믹 소재로 적용하기 위하여 실험실 환경에서 레드머드를 배합 및 온도에 따라 레드머드 세라믹을 제조하여 점토벽돌 제조용 원료로서 기초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범위에서는 레드머드 배합조건별 KS L 4201와 압축강도 및 흡수율을 비교하였을 때 1종의 경우 2개의 조건, 2종의 경우가 3개의 조건에서 규격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드머드를 점토벽돌 원료로 활용할 경우 레드머드 첨가량은 10%이하 소성온도는 $1200^{\circ}C$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레드머드를 점토벽돌 원료로서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료와 소성온도가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흙포장재의 현장 적용평가 (Field Application Assessment of Alkali-Activated Slag-Red Mud Soil Mixed Pavement)

  • 강혜주;황병일;김재환;강석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7-108
    • /
    • 2017
  • In this search, by evaluating the field applicability of soil mixed pavement of Red mud is mixed into the soil mixed pavement field applicability, and tries to present the basic data about the site application of recycling of red mud and low carbon construction material to.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soil concrete organization standards (SPS-KSCICO-001: 2003) meets the criteria for parking lot, making use of red mud, natural color as well as the natural loess is expressed.

  • PDF

레드머드를 활용한 알루미노 규산염계 무기결합재의 양생온도별 경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rdening Characteristics of Alumino-Silicate Inorganic Binder Using Red-Mud according to Curing Temperature)

  • 이영원;강석표;이준;김재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9-262
    • /
    • 2012
  • Recently, as the national policy of green growth is promoted, construction field also makes an effort to reduce CO2 gas released when producing cement continuously. In other words, as the method solv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s exhaustion, lots of mineral material compounds such as blast furnace slag powder which is industrial by-product, fly ash, red mud, etc. are examined to bo used as the substitute good of cem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ardening characteristics of alumino-silicate inorganic binder using red-mud used as a accelerator of industrial by-product such as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powder according to curing temperature. As a result, it is effective to use red-mud as the accelerator of inorganic binder with other additory accelerators.

  • PDF

Red mud에서 유가금속 회수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Recovery of value metals from red mud)

  • 임기혁;김진욱;정유진;홍성길;손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77-279
    • /
    • 2011
  • Red mud는 Bauxite 광물을 정제하여 알루미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업 고형 폐기물이다. Red mud 내에는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다양한 금속 성분과 희토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하지만 적절한 처리법이 없어 현재 산업폐기물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방치되고 있는 red mud 내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물질은 수질 및 토양 등의 환경오염을 유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논문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유가 금속을 회수 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