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pepper leave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상용식품중 칼슘과 수산함량에 관한연구 (A Study on Oxalic Acid and Calcium Content in Korean Foods)

  • 김을상;임경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4호
    • /
    • pp.104-110
    • /
    • 1977
  • Vegetables are liberally taken to enhance the mineral, vitamin, and rouphage value of the diet. And calcium is an essential mineral at all ages, although the daily requirement varies with physiological status of the individual. On the other hand, oxalic acid is an unwanted constituent of several clinical disorder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calcium as well as the oxalic acid content of the various calcium, foods. Oxalic acid, calcium, calcium/oxalic acid ratio and available calcium have been determined in 31 kinds of the Korean common vegetabl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st content of oxalic acid has been recorded in Amaranth. spinach and beet. It is respectively 1,100mg%, 619mg%, 550mg% in fresh sample. It is comparatively high in Leek, leavels of perilla, Mugwort, Chyi-leaves, green red pepper, Burdock. 2. Many vegetables have been calculated as below 2.0 in the calcium/oxalic acid ratio. 3. Avaiable calciumis much in Malaolitoria, Lettuce, Green onion whole, Green garlic, Wild onion, Cabbage and Radish root. 4. A food calendar is suggested as a guide to the proper selection of food items for normal individuals and for those suffering from urolithiasis, cardiovascular disease or calcium deficiency status.

  • PDF

고령소비자를 위한 칼슘 강화 식단 개발 (Development of Calcium Enriched Menu for the Aged)

  • 김혜영;공희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70-678
    • /
    • 200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calcium enriched menu for the aged and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acceptances of the menus. four kinds of the menu were developed with emphasis on calcium enriched food materials of red pepper leaves seasoned vegetables for menu1, shrimp for menu2, anchovy for menu3, seaweed for menu4. one portion of calorie, polysaccharide, protein, fats and calcium for the aged were calculated as 567kcal, 92.8g, 21.3g, 12.6g 223.1mg, respectively based on the recommended daily allowances for adults. Calcium content increased in the lowest value of all(p<0.05). The hunter lightness(L) values of barely rice in menu 1, radish soup in menu 1, chopped roast chicken in menu 4 and radish salad in menu 2 had significantly the highest values of all(p<0.05). The calcium enriched menus for the aged were successfully developed and these data could be used as basic informations for the improvement in health and life of the aged.

옥천대 흑색셰일 및 점판암 분포지역 암석-토양-농작물 시스템에서의 As및 관련 원소들의 분산과 이동 (Migration and Enrichment of Arsenic in Rock-Soil-Crop Plant System in Areas Covered with Black Shale and Slates of Okchon Zone)

  • 이지민;전효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4호
    • /
    • pp.295-304
    • /
    • 2003
  • 옥천대의 흑색셰일 및 점판암이 존재하는 덕평-추부 지역의 암석-토양-작물계에서의 As의 부화정도, 분산양상, 환경지구화학적 관점에서 판단되는 잠재적 위해도의 평가를 위하여 암석, 토양 및 농작물시료를 채취하여 INAA, ICP-AES, ICP-MS를 이용하여 As을 포함한 잠재적 특성원소의 화학분석을 수행하였다. 암석분석의 결과 덕평 및 추부지역의 흑색셰일에서 As의 평균 함량은 각각 23 mg/kg, 57 mg/kg 로 전 세계 계일 및 흑색셰일의 평균값보다 부화된 값을 나타하였다. 이외에도 Ba, Cr, Mn, Mo, Ni, Se, U 및 V가 매우 부화된 양상을 보였다. 흑색셰일로부터 유래된 토양중의 As는 덕평지역의 밭토양은 28 mg/kg, 추부지역의 밭토양과 논토양은 33 mg/kg와 23 mg/kg로 농작물에 독성을 줄 수 있는 토양중의 잠재적 독성원소들의 최대 허용한계치(tolerable level) 보다도 부화된 값을 나타냈다. 토양시료들에 대한 As의 함량과 Mo, Se, U, Cu, Sb, Tl 간에는 비교적 좋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흑색 셰일 기반암 지역의 토양에서 재배된 농작물 시료에 대한 화학분석 결과, 벼의 줄기와 잎에 As의 축적이 매우 커서 덕평과 추부지역에서 각각 1.14 mg/kg와 1.35 mg/kg의 함량을 보인다. 토양내의 원소 함량과 작물 내로의 흡수정도인 생물학적 흡수계수(BAC, biological absorption coefficient)의 산출결과, As는 벼줄기와 잎>옥수수 잎>고추>콩잎=깻잎>옥수수 줄기>옥수수 열매의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As가 열매와 같은 cereal products보다 잎과 식물에 토양으로부터 더 많은 양이 농축된다는 것을 추론학 수 있다.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geochemical behaviour of heavy metals around the abandoned Songcheon Au-Ag mine, Korea

  • Lim Hye-sook;Lee Jin-Soo;Chon Hyo-Teak;Sager Manfred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sion technology
    • /
    • pp.544-547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levels and dispersion patterns of arsenic and heavy metals and to estimate the bioaccessible fraction of the metals in soil and plant samples in the vicinity of the abandoned Songcheon Au-Ag mine. Tailings, soils, plants (Chinese cabbage, red pepper, soybean, radish, sesame leaves, green onion, lettuce, potato leaves, angelica and groundsel) and waters were collected around the mine site. After appropriate preparation, all samples were analyzed for As, Cd, Cu, Pb and Zn by ICP-AES and ICP-MS. Elevated levels of As and heavy metals were found in tailings. Mean concentrations of As in agricultural soils were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 Especially, maximum level of As in farmland soil was 513 mg/kg.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As and Zn were found in Chinese cabbage (6.7 mg/kg and 359 mg/kg, respectively). Concentrations of As, Cd, and Zn in most stream waters which are used for drinking water around this mine area were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s regulated in Korea. Maximum levels of As, Cd and Zn in stream waters were 0.78 mg/L, 0.19 mg/L and 5.4 mg/L,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ine tailings can be the main contamination sources of As and heavy metals in the soil-water system in the mine area. The average of estimated bioaccessible fraction of As in farmland soils were $3.7\%$ (in simulated stomach) and $10.8\%$ (in simulated small intestine). The highest value of bioaccessible fraction of metal in farmland soils was $46.5\%$ for Cd.

  • PDF

김치의 선도유지를 위한 천연보존제의 탐색 (Screening of Natural Preservatives to Inhibit Kimchi Fermentation)

  • 문광덕;변정아;김석중;한대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7-263
    • /
    • 1995
  • As a primary step to develop natural preservative for extending the shelf-life of kimchi, the effect of 102 edible plants, 21 antimicrobial agents and related compounds on kimchi fermentation was studied. Among 42 oriental medicinal plants tested, Baical skullcap and Assam indigo were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for maintaining the fresh state of kimchi. Although Bugbane, Red mangolia, Bushy sophora, Szechuan pepper, Chinese quince and Scisandre significantly inhibit the growth of Lactobacilli, their effect was not high enough to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kimchi preservative. When the effect of 32 herbs and spices was tested, peppermint, cinnamon, lemon balm, clove, hop, rosemary, sage, horseradish and thyme show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kimchi microorganisms. Among them, the effect of clove ranked top. When it was added to fresh kimchi, initial cfu value ($2.4{\times}10^{6}cfu/g$) changed little even after 2 day's fermentation ($2.6{\times}10^{6}cfu/g$). Sensory test was not a good criteria to evaluate the effect of herbs and spices, since their highly specific flavors affected the taste of kimchies. Twenty eight fruits, vegetables and related plants were tested, but only leaves of pine tree, persimmon and oak leaves showed a significant bactericidal effect, finally contributing to the storage of kimchi. In addition, when 21 natural preservatives and other compounds were added individually to fresh kimchi, nisin and caffeic acid could inhibit fermentation.

  • PDF

"도문대작(屠門大嚼)"을 통해 본 조선중기 지역별 산출 식품과 향토음식 (A study on Regional foods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through Domundaejac)

  • 차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9-395
    • /
    • 2003
  • Regional foods is influenced by weather, local and social environment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at regional foods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through Domundaejac. Some of representative dishes of the Hansung and Kyonggi-do Area is duck(rice cake) of seasonally celebrated days, hangua(korea confectionary) and rice wine. Typical foods in Chungchong-do Area is included persimmon, jujube, watermelon and wax gourd. Some of the well-known food in Kangwon-do Area is pear, bangpungchuk(gruel), sukebyung(rice cake), woongjijunggua(korea confectionary) and sanat-kimchi(picked mustard leaves and stem) that is seemed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section. Some of the famous dishes in Cholla-do Area is backsanja(korea confectionary), tea, chuksun kimchi(bamboo shoot pickle), citrus fruits and ear shell. Kyongsan-do Area ia famous persimmon, bamboo fruit, dasik(korea confectionary) and yakban(glutinous rice cake). Hwanghae-do Area is famed pear and choshi as assumed the eatly form of gochujang(thick soypaste mixed with red pepper). Representative dishes are deljjuk(blue berry), herring, sangat-kimchi(picked mustard leaves and sterm) in Hamgyong-do Area and daemandu(big dumpling) in Pyongan-do Area. The coast area is famous for using lots of sea food. Fresh seafood is consumed raw, and clams, fish and seaweed are liberally added to soups and other dishes. The East coast is catched salmon, flatfish, codfish, sandfish and mackerel The West coast is catched yellow corvenia, lobster, tiny shrimp and large-eyed herring. The South coast is catched sea mussel, codfish and laver.

셀레늄과 게르마늄 강화 배추와 고추 생산기술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the Production of Selenium and Germanium-enriched Chinese Cabbage and Pepper)

  • 윤형권;장성호;서태철;황화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0-185
    • /
    • 2007
  • 셀레늄과 게르마늄 처리 시 배추(봄, 가을배추)와 고추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셀레늄처리에 의한 봄배추와 가을배추의 생체중은 차이가 없었고 Ge 처리시 높은 농도에서 생체중이 감소하였으나 고추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배추의 셀레늄 처리 경우 비타민 C 함량은 Se $4mg{\cdot}L^{-1}$ 10회 처리가 무 처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게르마늄 처리 경우 Ge $4mg{\cdot}L^{-1}$ 10회 처리와 Ge $8mg{\cdot}L^{-1}$ 5회 처리에서 증가하였다. 고추에서 셀레늄 처리에 의해 Se $2mg{\cdot}L^{-1}$ 20회 처리가 높았으며 홍고추가 풋고추에 비교하여 비타민 C 함량이 약 2배가량 많았다. 봄, 가을배추 부위별 셀레늄함량은 외엽>중엽>내엽 순으로 많았고 엽육부위가 중륵에 비해 높았으며 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게르마늄 처리 시 가을 배추 잎에서 모든 처리구가 무 처리에 비해 높았다.

에스필과 수산화동 혼용에 의한 오이, 토마토, 고추 흰가루병의 친환경 방제 효과 (Envrionment-Friendly Effects of Espil and Copper Hydroxide for Prevention of Powdery Mildew on Cucumber, Tomato, and Red Pepper)

  • 소재우;한경숙;이성찬;이중섭;박종한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95-100
    • /
    • 2014
  • 본 연구는 에스필과 수산화동의 혼용에 의한 오이, 토마토, 고추의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오이 흰가루병에서 에스필과 수산화동의 혼용 처리는 4 : 1 혼용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8.9%와 방제효과 69.9%, 8 : 1 혼용 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8.1%와 방제효과 71.1%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토마토 흰가루병에서 에스필과 수산화동의 혼용 처리는 4 : 1 혼용 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2.4%와 방제효과 85.3%, 8 : 1 혼용 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4.3%와 방제효과 83.0%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고추 흰가루병에서 에스필과 수산화동의 혼용 처리는 4 : 1 혼용 처리구에서 발병엽률 17.7%와 방제효과 76.4%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에스필과 수산화동 혼용처리에 의한 오이와 토마토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는 4 : 1 혹은 8 : 1 혼용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고, 고추 흰가루병에서는 4 : 1 혼용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방제 방법으로 구명되었다.

누리대 뿌리 추출물의 고추 탄저병에 대한 항균 및 생장 촉진 활성 검정 (Determination of Antifungal Activity on Pepper Anthracnose and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of Pleurospermum camtschaticum Root Extract)

  • 이인규;백영선;이윤수
    • 식물병연구
    • /
    • 제29권3호
    • /
    • pp.268-27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누리대(Pleurospermum camtschaticum) 뿌리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유기농업자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정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누리대 뿌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소거능 활성 및 환원력을 확인하였고, 고추 탄저병을 유발하는 Colletotrichum coccodes, Colletotrichum dematium에 대한 항진균 검정과 고추 종자발아 및 유묘기 생장 촉진 검정을 진행하였다. 생장 촉진 검정이 끝난 직후 처리구별 고추 잎을 채집하여, 고추 잎내의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 검정 결과, 201.92±2.10 μg/ml에서 DPPH를 50% 이상 제거하였으며 환원력 검정 결과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누리대 뿌리 추출물을 10%, 30%, 50%, 100% 비율로 희석 후에 고추 탄저병 2종(C. coccodes, C. dematium)에 대하여 균사 생장 억제 검정을 진행하였다. 누리대 뿌리 추출물 10% 비율은 2종의 탄저균에 대하여 평균 57.1% 생장 억제율을 기록하였고, 30%, 50% 비율은 농도의존적으로 억제율이 증가하였으며, 원액인 100%에서는 70.3%로 강한 균사생장의 억제력을 보였다. 고추 열매에서의 탄저균 억제 검정 결과, 앞서 실험한 균사 생장 억제 검정과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탄저균만 접종한 처리구에 비하여 누리대 뿌리 추출물 50%, 100%에서 병반 면적이 80% 이상 감소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전 실험과 동일하게 원액인 100%을 포함한 10%, 30%, 50% 비율을 이용하여 고추 종자 발아 검정 및 고추 유묘기 생장 촉진 검정을 진행하였다. 농도가 낮을수록 종자의 발아가 촉진되었으며, 100% 비율에서는 종자 발아가 억제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고추 유묘기 생장 촉진 검정에서는 10% 비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약 2배 이상의 생장 차이를 보였으며, 반대로 100% 비율에서는 생장이 억제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누리대 뿌리 추출물을 종자 및 식물체에 처리 시 추출물의 농도가 낮을수록 종자 발아촉진 및 식물 생장촉진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묘기 생장 촉진 검정이 끝난 후 처리구별 고추 잎을 채집하여 병원균 항균 활성과 관련이 있는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10% 비율과 원액인 100% 비율 사이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누리대 뿌리 추출물의 향후 유기농자재로서 두 가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의 농도가 저농도일수록 작물 생장을 촉진시키는 작물 생육용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의 농도가 고농도일수록 탄저균 균사 생장 억제에 효과적이기에 병해 관리용으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지만, 종자 발아억제 및 작물에 대한 약해가 심하게 발생하였기에, 병해 관리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물생장의 영향이 없도록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로 토양 내의 누리대 뿌리 추출물 처리 시 유기물 변화 및 microbiome 연구를 통하여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면 토양 개량제로서의 가능성 또한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상당한 잠재력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호 간척지 토양의 염농도별 밭작물의 염해 평가 (Assessment of Salt Damage for Upland-Crops in Dae-Ho Reclaimed Soil)

  • 이승헌;류순호;설수일;안열;정영상;이상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58-363
    • /
    • 2000
  • 대호 간척지에서 제염진행 기간 중 우선 도입 가능한 작물을 선발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호 간척지에서 염농도별로 채취한 토양을 사용하여 8가지 작물(배추, 무, 토마토, 고추, 메밀, 콩, 참깨, 들깨)을 Pot 재배하여 염농도별 장해정도를 평가하였다. 토양 포화침출액의 염농도는 1, 3, 9, 14 및 $16\;dS{\cdot}m^{-1}$ 의 5수준으로 하고 1998년 10월 작물을 파종하여 11월 수확하기까지 37일간 재배하였다. 파종 후 2주, 4주, 그리고 작물체 수확 직전에(5주) 각 작물의 최대초장, 본엽수를 조사하였고, 수확 후 생체중을 조사하였다. 공시작물의 출아율은 5개 수준 모든 염농도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작물 생육상태(초장, 엽수)의 경시적 변화는 염농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참깨의 경우 초기에는 출아율이 비교적 높았으나 3주 이후에는 모든 염농도 수준에서 고사하였다. 수확 후 작물의 건물중도 염농도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염류장해가 없을 때의 생장량 대비 건물중의 50%가 감소되는 염농도는 무; $14.2\;dS{\cdot}m^{-1}$, 배추; $11.4\;dS{\cdot}m^{-1}$, 고추; $10.2\;dS{\cdot}m^{-1}$, 메밀과 들깨; $8.9\;dS{\cdot}m^{-1}$, 콩; $8.6\;dS{\cdot}m^{-1}$, 그리고 토마토; $6.8\;dS{\cdot}m^{-1}$ 이었다. 생육 저해가 시작되는 범위 이상의 염농도에서 메밀은 염농도가 $1\;dS{\cdot}m^{-1}$ 높아질 때 건물 감소율이 7.7% 이었다. 그 다음이 들깨로 6.5% 이었고, 배추는 5.9%, 무는 5.6%, 콩은 5.2%, 그리고 토마토와 고추는 4.9%의 건물중 감소율을 보였다. 참깨를 제외한 7가지 공시 작물 모두 시험기간 중 생존이 가능한 염농도는 $15.4\;{\sim}\;23.1\;dS{\cdot}m^{-1}$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