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ginseng tail roo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팽화처리가 홍미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uff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Tail Root)

  • 홍희도;김영찬;김성수;심건섭;한찬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147-153
    • /
    • 2007
  • 팽화처리가 홍미삼의 사포닌 성분, 당류, 페놀성분, 미세구조 및 소화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미삼의 추출된 조사포닌 함량은 팽화처리후 약 26.5% 증가하였다. 사포닌 조성에서 팽화홍미삼은 홍미삼에 비해 $Rb_1$, $Rb_2$, Rc, Re, $Rg_1$함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Rd와 $Rg_3$함량은 증가하였고, 특히 $Rg_3$함량은 0.49 mg/g에서 0.72 mg/g로 증가하였다. 가용성 총당은 팽화전후 비슷하였고, 산성다당체 함량은 각각 7.15, 6.44%로 팽화후 다소 감소하였다. 총페놀함량은 7.86%에서 9.94%로 증가하였다. 개별 페놀산의 경우 gentisic acid는 홍미삼에서만, salicylic acid는 팽화후 홍미삼에서만 검출되었고, gallic acid, p-coumaric acid, caffeic acid 및 ferulic acid 등은 팽화로 크게 감소한 반면 syringic acid는 약 6배 증가하였다. 팽화후 홍미삼의 절단면 미세구조는 팽화전보다 훨씬 균일화한 입자모양을 나타내었으며, 팽화전후 펩신소화율은 각각 22.4, 46.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본 결과는 팽화처리에 의해 홍미삼의 생리활성성분의 증가와 기호성 및 소화율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팽화처리에 의한 홍미삼의 휘발성 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 Contents in a Red Ginseng Tail Root by Puffing)

  • 한찬규;최상윤;김성수;심건섭;신동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311-314
    • /
    • 2008
  • 팽화처리가 홍미삼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정된 63 종의 화합물 중 팽화처리 후에는 59 종이 검출되었으며 terpene 계 화합물 및 furan계 화합물은 팽화처리에 의하여 대부분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alcohol계, aldehyde계 및 acid계 화합물은 대부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terpine계 화합물이 분석된 전체 휘발성 성분 함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Candida payapsilosis가 홍삼엑기스의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ndide parapsilosis on the Changes in Various Components of Korea Red Ginseng Extract)

  • 양재원;노길봉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60-65
    • /
    • 1989
  • 부패된 홍미삼엑기스로부터 분리동정한 내삼투압성 효모인 C. parapsilosis가 홍미삼엑기스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 parapsilosis를 배양하면서 pH의 변화, ginsenoside의 함량, 지방산, phenol 화합물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엑기스를 소량 첨가하였을 때는 배지의 pH에 다소 영향을 주었으나 엑기스를 다량(10~20%) 첨가하였을 때는 pH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C. parapsilosis는 홍삼엑기스의 사포닌의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사포닌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사포닌 중량 첨가에 따른 생육 촉진경향 혹은 저해현상도 없었다. C. parapsilosis의 홍미삼엑기스의 유리당 이용 패턴은 glucose, fructose 등 단당류를 먼저 흡수 이용하고 다음에 sucrose, maltose 등을 2차적으로 이용하였다. 홍미삼엑기스의 대부분의 지방산은 C. parapsilosis 생육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중결합이 없는 stearic acid, palmitic acid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페놀화합물 중 maltol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그 외에 vanillic acid, m-coumaic acid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아미노산은 배양 전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특히 arginine은 완전 소진되었다.

  • PDF

Antihypertensiv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by enrichment of ginsenoside Rg3 and arginine-fructose

  • Lee, Kyung Hee;Bae, In Young;Park, Song I.;Park, Jong-Dae;Lee, Hyeon Gy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237-244
    • /
    • 2016
  • Background: Ginsenoside Rg3 and arginine-fructose (Arg-Fru) are known as the hypotensive compounds of Panax ginseng; however, their efficacy on antihypertension has not been reported yet to our best knowledge. Thus, hypotensive components-enriched fraction of red ginseng (HCEF-RG) was prepared from fine root concentrate (FR) and their antihypertensive effects were investigated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Methods: Male SHR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control (Wistar Kyoto, SHR); FR 500; FR 1,000; HCEF-RG 500; and HCEF-RG 1,000; samples (mg/kg body weight) were orally administered every day for 8 wk. Blood pressure was monitored at 1 wk, 2 wk, 3 wk, 4 wk, 6 wk, and 8 wk by tail cuff method. At 8 wk after samples administration, mice were killed for the measurement of renin activity (RA),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ngiotensin II, and nitric oxide (NO) levels in plasma. Results: HCEF-RG with four-fold more Rg3 and 24-fold more Arg-Fru contents was successfully prepared from reacted mixtures of FR and persimmon vinegar (12 times against FR, v/v) at $80^{\circ}C$ for 18 h. Both FR 1,000 and HCEF-RG 1,000 showed lowered systolic blood pressure than SHR control group and HCEF-RG 1,000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diastolic blood pressure. RA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all treated groups, while angiotensin II did not affect by FR and HCEF-RG treatment. However,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nd NO in FR 1,000 and HCEF-RG 1,00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SHR control group. Conclusion: HCEF-RG is more effective and useful for alleviating hypertension than FR, implying the health benefit of Rg3 and Arg-Fru.

한국인삼(韓國人蔘)의 Saponin에 관(關)한 연구(硏究)제3보(第三報) -산지별(産地別), 부위별(部位別), 재배기간별(栽培期間別) 인삼(人蔘) 및 가공중(加工中) Saponin함량(含量)에 관(關)하여- (Saponin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Part III) -Saponins of ginseng by the cultivating locations, sampling seasons, plant parts, growing stages and the processings-)

  • 조성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2호
    • /
    • pp.188-204
    • /
    • 1977
  • 인삼(人蔘)의 유효성분(有效成分)으로 알려진 saponin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전개(展開)하여 Digital Densitometer를 사용(使用)하여 한국인삼(韓國人蔘)의 산지별(産地別), 부위별(部位別), 재배연도별(栽培年度別) saponin함량(含量) 및 그 saponin fraction의 조성비(組成比)를 정량(定量)하고, 홍삼(紅蔘) 및 인삼(人蔘)엑기스 제조중(製造中) 일어나는 saponin함량(含量)의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산지별(産地別) saponin 함량(含量)에는 별로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panaxad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군(群)과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군(群)의 조성비(組成比)는 ($1.7{\sim}2.6$) : 1정도였다. 2. 부위별(部位別)로 볼 때, saponin함량(含量)은 미삼(尾蔘)이 12.7%로서 3.3%인 백삼(白蔘)의 4배에 가까운 높은 값을보였다. 그리고 saponin fraction별(別)로 볼 때, panaxad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도 미삼(尾蔘)이 백삼(白蔘)보다 많으나,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은 반대(反對)로 미삼(尾蓼)이 백삼(白蔘)보다 적었다. TLC의 2차원전개결과(次元展開結果), ginsenoside-Rd는 백삼(白蔘)에만 나타나고, 미삼(尾蔘)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반면(反面), Rf와 $Rg_1$은 미삼(尾蔘)에서는 분리(分離)되었으나, 백삼(白蔘)에서는 $Rg_1$만이 존재하고, Rf는 분리(分離)되지 않았다 3. 재배연도별(栽培年度別) 근부(根部)의 saponin함량(含量)은 재배기간(栽培其間)에 따라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찾아볼 수 없으나, 인삼근당평균(人蔘根當平均) saponin함량(含量)은 2년근(年根)이 90.3mg, 3년근(年根)이 254.2mg. 4년근(年根)이 404.2mg, 5년근(年根)이 996.9mg, 6년근(年根)이 1377.1mg으로 재배기간(栽培其間)이 길어질수록 현저(顯著)하게 높았다. 그리고 인삼지상부(人蔘地上部)의 saponin함량(含量)도 재배기간(栽培其間)에 길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傾向)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saponin fraction별(別)볼 때는 $5{\sim}6$년(年)의 수확기(收穫期)에 가까워질수록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4. 홍삼제조중(紅蔘製造中)의 saponin fraction별(別) panaxad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의 조성비(組成比)도 건삼(乾蔘)에 비(比)하여 홍삼(紅蔘)이 낮아졌으나,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의 조성비(組成比)는 건삼(乾蔘)에 비(比)하여 홍삼(紅蔘)이 오히려 높았다. 홍삼(紅蔘)의 Thin layer chromatogram에는 건삼(乾蔘)의 그것에 나타나지 않았던 수개(數個)의 미확인(未確認) spot를 더 볼 수 있었다. 5. Ethanol과 물로 미삼(尾蔘)을 추출(抽出)하여, 29.9%의 인삼(人蔘)엑기스를 얻었는데, 이 엑기스에는 미삼(尾蔘)으로부터 추출수율(抽出收率)이 94.2%에 상당(相當)하는 saponin이 이행(移行)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