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bell pepper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홍고추 및 홍피망의 미세공 MA저장 효과 (Effects of MA Storage with Fine Holes For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 이귀현;정천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5-130
    • /
    • 2001
  • The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MA) storage for fresh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were investigated with storing in polyethylene film with various fine holes. During the storage of the both pepper fruits, the weight loss, color change, mold emergence, and firmness were evaluated. The weight loss of pepper fruits packaged without holes on film was less than 3%, even though it was each 50% and 25% for non packaged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The rates of mold emergence of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were reached to each 60% and 50% at the end of storage period as stored in film without holes. However, the rate of mold emergence of pepper fruits was lowered when fruits were stored in MA with low relative humidity (70∼80%). The color and firmness of pepper fruits were not much changed when fruits were stored in MA with high humidity.

  • PDF

NaCl을 이용한 홍고추 및 홍피망의 MA저장 효과 (Effects of MA Storage with NaCl for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 정천순;이귀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13
    • /
    • 2002
  • 생홍고추 및 생홍피망의 장기저장 방법으로 HDPE 및 LDPE포장내에 시료와 함께 서로 다른 양의 NaCl을 삽입함으로써 MA저장 효과를 조사하였다. HDPE 및 LDPE 포장내의 NaCl 함량은 0 g, 15 g, 20 g, 25 g이었으며, 대조구로 무포장이 사용되었다. 홍고추 및 홍피망의 각각 50일 및 35일간 MA저장 동안 주기적으로 중량 변화와 곰팡이 발생율을 조사하였고, 저장 초기와 말기에는 색도와 경도를 측정·비교하였다. NaCl을 포함하지 않은 처리구에 있어 HDPE와 LDPE 포장 모두 홍고추 및 홍피망의 중량 감소율은 각각 4∼5% 및 3∼4%의 범위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대조구인 무포장의 경우 중량 감소율이 저장 말기에 홍고추 및 홍피망 각각 45%와 22%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포장 내에 NaCl을 포함한 경우 홍고추 및 홍피망의 중량 감소율은 각각 19% 및 6% 이하로 무포장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무포장인 홍고추 및 홍피망의 저장에 있어 곰팡이 발생율이 각파 5% 및 12.5%로 매우 낮았으나, NaCl을 포함하지 않는 HDPE 및 LDPE 저장에 있어서는 55∼6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NaCl 함유량이 15 g, 20 g 및 25 g 일 때 HDPE 및 LDPE 포장에 저장된 홍고추 및 홍고추의 곰팡이 발생율은 20∼45%의 범위로 나타났다. NaCl을 포함하지 않는 HDPE와 LDPE 포장내에 저장된 홍고추 및 홍피망의 색도차는 각각 0.74와 1.50 이하로 매우 낮았다. 또한, 15∼25 g의 NaCl을 포함하는 MA 저장된 홍고추 및 홍피망의 색도차도 각각 0.85∼0.88 및 1.56∼1.61의 범위에 있었다. 그러나, 저장습도가 낮은 무포장의 경우 홍고추 및 홍피망의 색도차는 각각 1.15 및 1.78로 다른 처리구보다 매우 컸다. 무포장의 경도감소는 홍고추 및 홍피망이 각각 1.70 kg 및 0.71 kg으로 크게 나타났으나, 무포장에 비해 NaCl을 함유한 HDPE 및 LDPE 포장의 경우 홍고추 및 홍피망의 경도 감소는 각각 0.75∼1.02 kg 및 0.15∼0.49 kg의 범위로 낮게 나타났다.

한국전통 김치의 다양화 및 세계화를 위한 스페인인의 기호도 조사연구 (A Survey of the Preference for Korean Kimchi by Spanish Natives)

  • 이명기;장대자;양혜정;정자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71-875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methods of promoting traditional Korean Kimchi globally. To accomplish this, 99 Spanish natives were surveyed for their sensory evaluation and awareness of Kimchi. The results revealed that a relatively high number (46.9%) of the respondents had eaten Korean Kimchi. After eating the Kimchi, women tended to provide a slightly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than men. Furthermore, when the overall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that were most recognized were its red color, spicy smell and hot taste. In addition, 93.9%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Korean Kimchi was a suitable food based on its spicy flavor>chewing force>appearance>red color>fermented smell. However, 6.1 percent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find Kimchi appetizing due to its hot taste>fermented smell>chewing force. Interestingly, the hot taste was a common selection for the reason that individuals liked or disliked Kimchi. When ranked among traditional Spanish foods, Kimchi was reportedly similar to cooked cabbage, cooked bell peppers, cooked red peppers and Moheu ppikan, pickles, Spanish lettuce, chiseutora and oil pickled cheese, or to various vegetables pickled in vinegar.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facilitate the globalization of Kimchi.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fundamental data that should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a local style of Kimchi for Spain.

강원지역 가지과 작물 바이러스 발생현황 (Incidence of Viral Diseases on Solanaceae Crops in Gangwon Province)

  • 원헌섭;박동권;권순배;조순옥;강성희;이재홍;황세정;정태성;김미경;최홍수;홍대기
    • 식물병연구
    • /
    • 제25권1호
    • /
    • pp.22-28
    • /
    • 2019
  • 강원지역 가지과 작물 주산지에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4년 동안 가지과 작물의 바이러스병 발생현황을 조사하였다. 고추에서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춘천 등 8개 시군에서 CMV, BBWV2, PMMoV, TSWV, PVY가 발생되었다. 토마토는 2017년과 2018년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춘천, 횡성, 철원에서 TSWV와 TYLCV가 확인이 되었다. 특히 TYLCV는 2017년 춘천지역에서 최초로 발생되어 2018년에도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파프리카 발생현황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강릉, 횡성, 철원 등 7개 시군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강원지역 파프리카에서는 CMV, BBWV2, PMMoV, PepMoV, TSWV가 확인이 되었다. BWYV는 조사기간 동안 의심주 및 감염주 모두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는 아직까지 강원도에 이 바이러스에 대한 이병주 및 보독을 한 진딧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강원지역 가지과 작물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의 초기 방제로 안정적인 작물생산과 방제대책 수립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