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s of the villag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6초

마을단위 보건요원의 활동이 사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화지역사회 보건시범사업지역에서- (The Influence of Family Health Workers' Activities on Health Program Performance -Evaluative Research in the The Kang Wha Community Health Demonstration Project-)

  • 서경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1권1호
    • /
    • pp.24-30
    • /
    • 197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se effects of Family Health Workers' activities on the performance of a child immunization program as part of the evaluative research in the community health demonstration project in Kang Wha. Frequent shortcomings of evaluative research are problems in setting evaluative indices,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influences of socioeconomic changes due to lack of control and failure of demonstrating association between activity input and program performanc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frequent shortcoming of evaluative research by isolating the effects of Family Health Workers' activities on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through controlling other variables which also influenced the program performance. The target population consisted of 1240 children who were born between Jan. 1971 and Dec. 1975 in Sunwon Myun, and Naega Myun in Kwang Wha Gun, Kyonggi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in part through 20 Family Health Workers who interviewed the mothers of these children in their villages during Nov. 1977. Part of the data were obtained by summarizing Family Health Workers daily activity records. All data were grouped for each birth cohort according to the 20 villages. Dependent variable of the model is the measle immuinization rate of each villag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haracteristics of baby, mother, household, travel time to the health subcenter, to Kang Wha Town, and the mean member of visits to the household by Family Health Workers as well as their other related activities and the year of birth of children according to village. The model was analys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 The summarized results show that overall $R^2$ were 39.3% and mean number of Family Health Worker household visits, mean age of mother and mean 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explaining the immunization rate. Therefore Family Health Workers' activities are one of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influencing the increased immunization rate of children in villages of the project area.

  • PDF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모색 (Searching for Laws and Systems to Revitalize Private Archives)

  • 손동유
    • 기록학연구
    • /
    • 제69호
    • /
    • pp.7-33
    • /
    • 2021
  • 공공기록물 관리법 제정과 시행 초기부터 지방기록관의 필요성 및 지방기록관 설립에 관한 논의는 꾸준히 있어왔다. 지방기록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록은 물론이고 주민들이 생산, 소장하였거나 주민생활을 담고 있는 기록 등 민간기록을 포함한다. 학계의 논의와 함께 지방자치와 분권을 위한 운동차원의 노력도 있어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많은 관심과 논의가 있는 민간 아카이빙은 이러한 기록관리계의 역사적 흐름에서 보아야 한다. 이와 더불어 민간 아카이빙이 사회적 관심사가 된 데에는 공공기록물 관리법, 정보공개법 등 제도의 마련, 디지털 환경의 정착, 마을공동체 활동의 의미와 가치 확산 등 인프라, 방법론, 의식의 발전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민간기록 관련 국가기관은 여러 기관이 있으며, 업무수행의 근거도 상이하고 소속된 중앙행정기관도 다수이다. 따라서 국가기록원이 중심이 되어 '민간기록 관리기관 협의체'를 구성하여, 첫째, 소장정보와 기록의 협력, 둘째, 기관 간 업무와 기능 조율, 셋째, 범국가적 민간기록관리체계 구축을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모처럼 맞이한 지금의 기회를 임기응변식으로 대응하지 말고 장기적 안목으로 체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음식디미방』에 나타난 술의 다양성과 그 사회적 의미 (The Diversification of Alcoholic Drinks in Uymsikdimibang and its Social Meaning)

  • 배영동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4권
    • /
    • pp.102-122
    • /
    • 2001
  • Uymsikdimibang(음식디미방) - a book written around 1670 and implying the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taste of food and drink - records many kinds of alcoholic drinks. it is obviously a practical problem to explain the process of brewing alcoholic drinks. However, if we intend to approach the alcoholic drinks on the practical aspect, we can not explain why many kinds of alcoholic drinks were brewed. I acknowledge only that it was true to have brewed rice wine easily on the basis of the increase of the production of rice and the two-crop farming system of rice and barley in a paddy field as well as, for many kinds of alcoholic drinks to have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brewage since the middle and second half of Chosun. It is not until we approach the alcoholic drinks of those days on the level of meaning, value, and symbol that we can get a correct answer as to why Uymsikdimibang records many kinds of alcoholic drinks. In the second half of Chosun, confucian ideology was firmly established in country village societies, the idea of clan rules was instituted, and patriarchal system was organized. Such a social atmosphere was to emphasize the practice of confucian moral principle such as performing religious service on one's ancestors and receiving a guest, and in the course of it, the alcoholic drinks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materials all the more. It seems that the subdivision and elaborateness of the meaning of the alcoholic drinks were in progress. As a result, I think that the alcoholic drinks would vary in kind and be graded. From ancient times, the alcoholic drinks were men's favorite food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authority and prestige given to the alcoholic drinks was increasingly promoted by the rise of the social position of men in the second half of Chosun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 ideology. Subsequently, the alcoholic drinks became symbols which represented even the family's tradition and dignity. Therefore, men born of the nobility(Yangban) tried to brew the various and dignified alcoholic drinks relatively. Through the brewage such as this, they endeavored to maintain their privilege. I think that the diversification of alcoholic drinks was developed in the process of a series of social-institutional change.

민속과 기록의 만남, '민속기록학'을 제창한다 (A Conjunction of Folklife and Archival Science : New Dimension for Folklife Archival Science)

  • 김덕묵
    • 기록학연구
    • /
    • 제34호
    • /
    • pp.165-219
    • /
    • 2012
  • 민속학과 기록학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을 중심에 놓고 양자의 특기(特技)를 수렴하여 전문적인 학문체계로 만들어보고자 하는 것이 '민속기록학'이다. 민속기록학이란 양자를 절충하여 공동체에서 일어나는 생활문화의 기록 보존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탐구한다. 민속기록학은 가족, 마을, 향토사회, 현대 도시사회의 각종 공동체를 전문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전략이다. 그동안 기록학의 일부에서 민간영역이나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해 관심을 가졌으나 구체적인 실천방법과 경험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반면 민속학에서는 공동체 문화에 대한 현장관찰이나 조사방법에 대해 경험과 지식이 있으나 기록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전략, 마음가짐이 부족하였다. 양자의 장점을 결합할 때 공동체의 기록화와 아카이브 전략은 한층 탄력을 받을 수 있으며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다.

<소쇄원30영(소쇄원삼십영(瀟灑園三十詠))>을 통하여 본 소쇄원 외원(外園)의 공간구성 (A Study on Exterior Configuration of Soswaewon in <30 Poems of Soswaewon>)

  • 천득염;정지윤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85-92
    • /
    • 201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outer garden of Soswaewon that appears in Gyeong-Ji Yang's "30 Poems of Soswaewon" and examine its significance and symbols. These poems by Gyeong-Ji Yang are important historical records that portray the appearance of Soswaewon and the space outside it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Unlike "48 Poems of Soswaewon" or "Soswaewondo," these poems arenot limited to Soswaewon and its surroundings; theyalso include areas from the village entrance upwardto the peak of the mountain behind the village. These poems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parts. Jiseok-ri and Changam-dong in poems 1 and 2 provide first impressions of the village in which the main Soswaewon garden is located, whereas poems 3 to 8 and poems 10 to 12 describe the space inside Soswaewon. Poems 13 to 30 depict the beautiful scenery around the outer garden of Soswaewon. In general, about 30% of the compilation in "30 Poems of Soswaewon" celebrates the inner Soswaewon, and the remaining 70% depicts the scenery around Soswaewon (i.e., views of the outer garden). It is presumed that Gyeong-Ji Yang employed this structure to achieve some type of order. Between the "48 Poems of Soswaewon" - also describing Soswaewon - and "Soswaewondo," which is a woodprint drawing of Soswaewon, "30 Poems of Soswaewon" offers the widest coverage of Soswaewon. Compared to "48 Poems of Soswaewon," which addresses the scene inside Soswaewon, new buildings such as the Jaeweoldang, Buhweondang, and Hancheonsa appear in "30 Poems of Soswaewon." Thus, the latter covers a much wider range. Chimgye Munbang - Gwangpunggak, Yangdandongo - Aeyangdang, Byeongseogjuggeun - Jajukchong, etc. are mentioned in both compilations. The use of a wide range of natural objects in these 30 poems, including mountains, birds, and the sky (instead of trees and flowers), shows that the author perceived Soswaewon as an area with a much higher and wider view than that of a typical living space. Moreover, natural regression ideologies, or seclusion ideologies, are evident.

일개 종합병원을 이용한 농.어촌지역 퇴원환자의 질병분포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Disease Distribution of patients discharged from a general hospital in a farming and fishing village region)

  • 유은영;김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863-4872
    • /
    • 2010
  • 본 연구는 농 어촌지역 환자들을 대상으로 질병양상을 살펴보고 의료이용 실태를 분석하여 농 어촌지역 의료 관련 기관의 보건의료서비스 계획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 하고자 시행되었다. 노령화가 진행된 농 어촌지역 G도 G군에 소재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2009년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 동안 퇴원환자 2,365건 전수의 의무기록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환자의 성별은 남자 55.3%, 여자 44.7%, 연령별은 70세 이상 후기 고령자가 42%로 나타냈다. 입원유형별로는 외래경유 입원환자가 65.5%이며, 진료과목으로는 내과 49.7%, 정형외과 16.7%, 신경외과 13.8% 순이었다. 주 진단명(3단 분류)별 10대 다 빈도에서 S00-T98 18.4%, J00-J99 15.5%, I00-I99 11.5% 순이었다. 평균재원일수는 14.8일이었으며, 주 진단명을 포함한 상병개수는 평균 5.6개이었다. 주 진단명(3단 분류) 다빈도 10대에서 성별, 보험유형별, 입원경로, 연령별 분포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월별 주 진단명(3단 분류) 다 빈도 10대 분류 분포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 진단명(3단 분류) 다 빈도 10대분류에 따른 평균재원일수와 상병개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농 어촌지역의 질병분포는 작업환경과 연중 신체적 무리가 가는 노동행위에 따른 외상성 질환 및 호흡기 질환과 노령화에 따른 각종 만성질환 등 이었다.

모션켑쳐(Motion Capture)를 이용한 무형문화재의 기록화 방안에 대한 제연구 (Methods of Motion Captur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Japan)

  • 박원모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6권
    • /
    • pp.335-346
    • /
    • 2003
  •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computer, Motion Capture system, recently used in the entertainment and computer graphics, is emerging as a new recording method. Motion Capture is a system that records time-varying position of sensors which are attached to a objects and translates it to 3-D coordinate on computer. The motion of object displays the time-varying positions of each sensors that are graphed, or the line connected man-shaped model's movements on the computer monitor. And by adding computer graphic character to it, the various angled images, which are difficult to be perceived on the stage, can be easily recorded. Recently in Japan, Motion Capture system is being actively studied in order to use it in recording and preserving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dance and art. Especially, Warabiza in Tazawako art village at Akita plays the leading role in this area through the project to symbolize and establish the archive of cultural dance, further, Ritsumeikan Univ. is develops the system for coupling the motion capture system to Labanotation. This article introduces the motion capture and it's related studies in Japan, which are being actively studied as a new recording method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강증산의 강세지(降世地)인 정읍시(井邑市)에 나타난 구천상제(九天上帝) 신앙과 그 양상 - 전북 정읍시 망제봉·객망리·시루산의 암시 및 정읍 관련 천지공사와 관련하여 - (The Gucheon Sangje Faith and Its Relation to Jeongeup County, the Birthplace of Kang Jeungsan)

  • 고남식
    • 대순사상논총
    • /
    • 제40집
    • /
    • pp.187-242
    • /
    • 2022
  • 강증산(1871~1909)의 강세지인 현 정읍시(井邑市)의 지명과 지형들은 각종 정읍 관련 천지공사와 함께 구천상제가 이루고자 하는 후천(後天)이 새로 시작되는 시(始)와 본(本)으로서 원시반본적(原始返本的) 의미를 우물(井)에서 발원(發源)되는 수기(水氣)의 특성과 같이 하는 것으로 상징·암시화 된다. 이를 요약해서 보면 첫째, 정읍시는 강증산 사상에서 구천상제(九天上帝) 신앙의 천부적 본원지(本源地)이다. 정읍시 고부의 '망제봉'은 제(帝)를 바라는 봉우리로 이는 천계(天界) 구천상제(九天上帝)의 강림(降臨)을 바라는 봉우리이다. 이는 주변의 봉우리로서의 망제봉(望帝峰)의 망(望)과 사람들이 이름을 지어 살고 있는 마을인 객망리의 망(望)이 모두 '대망(待望)'의 의미로 암시되며 상제가 인간 세상에 오기를 바라는데 구천상제가 탄강함이다. 구천상제는 시루산(甑山) 주변 초야(草野) 백성들이 살고 있는 마을에 후일 자신의 호를 증산(甑山, 시루산)으로 쓰며, 서양 제국주의 세력이 밀려들고 부패한 조선왕조가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가며 소외된 민중들의 한(恨)과 욕구가 봇물처럼 터져 나오던 개화기 성신(聖身)으로 성현(聖顯)하여 강세(降世)하였다. 한편 강증산은 선인포전 관련 공사를 통해 자신이 구천과 관계됨을 밝히기도 하였는데 강증산과 관련해서 보면 구천에 원시의 모든 신성·불·보살이 인류와 신명계의 대표격으로 구원을 바래서 강증산이 1871년 객망리(客望里, 이전(以前)엔 선망리(仙望里)) 마을에 태어나 현신화(現身化)한 것으로 설명된다. 강증산이 공부한 시루산(甑山)은 땅의 산(山)인 동시에 인세(人世) 강증산에 대한 호칭이다. 정읍시에 있는 삼신산이 망제봉으로 이어지고 마지막에는 시루산으로 연맥(緣脈)되는데 이곳 민가에 구천상제인 강증산이 강세하여 상제를 바라는 신앙에서 시루산(甑山) 공부로 이루어진 초기 원시신앙이 시작되었다. 이는 구천상제에 대한 신앙이 지상에서 성화(聖化)됨이다. 둘째, 강증산의 정읍 관련 공사는 정읍이 시원(始源)과 본원(本源)의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 정읍의 '정(井)' 즉 '우물'은 수기(水氣)를 담고 있는 곳으로 강증산의 각종 천지공사에서 상징과 암시를 갖고 그 시원과 정화(淨化) 그리고 신성성(神聖性) 등을 말해준다. 이러한 우물의 상징과 암시는 세상의 정화, 새로운 출발, 세계 창생들의 새 생활, 강증산의 강세와 화천 등과 상관되며 원시반본적 의미가 강증산의 천지공사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선천(先天)의 마침(終)과 함께 후천(後天)의 시작(始) 그리고 구천상제로 강세한 강증산이 전대(前代) 미증유(未曾有)의 선경(仙境)인 청화(淸華) 오(五)만년 지상천국(地上天國)을 건설한다는 신앙이 본(本)이 되어 원천(源泉)과 원류(源流)로 샘고을 정읍에서 시원(始源)하여 펼쳐지기 때문이다.

세계문화유산 하회와 양동의 식생경관 진정성 유지를 위한 평가항목 설정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Items for the Resiliency of Planting Landscape in Hahoe and Yangdong of World Cultural Heritage)

  • 이창훈;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1-29
    • /
    • 2018
  • 본 연구는 하회와 양동마을 내 식생경관의 진정성 유지를 위한 가치평가 항목을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FGI를 실시하여 선정된 43개의 항목에 대해 적합성 검증을 하였으며, AHP 전문가 설문을 통해 가중치를 산정하여 평가항목 개발을 위한 지표의 중요도를 설정하였다. 전문가 분석결과 대분류 2개 항목, 중분류 6개 항목, 세부 분류 11개 주요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회와 양동의 식생경관 진정성 유지를 위한 평가항목 선정과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 가치가 생물학적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수목의 생물학적 가치 중에서 수종의 특수성과 수목의 형태 항목을 제외한 세부항목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이 도출되었다. 둘째, FGI에서 우선 선정된 43개 항목에 대한 적합성 검증 결과 근원직경, 수관폭, 수령, 수세, 수형, 특수성, 민속성, 기록성, 기념성, 시간성, 기관관리 여부 총 11개의 세부항목이 선정되었다. 셋째, AHP분석기법을 통한 산정된 식생경관 평가항목의 가중치는 생물학적 가치의 특수성(0.187), 수형(0.094), 수관폭(0.076), 근원직경(0.073), 수세(0.071), 수령(0.052)의 순서로 평가되었다. 가장 높은 가중치를 보인 특수성과 가장 적은 값이 도출된 '수령' 항목을 제외한 '수관폭', '근원직경', '수세' 항목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넷째, 역사적 가치에 목표한 가치 속성의 중요도 평가 결과는 기관관리 여부(0.134), 기록성(0.092), 시간성(0.088), 기념성(0.063), 민속성(0.050)의 순서로 나타났다. 하회와 양동을 구성하는 식생경관의 역사적 가치 중요도 평가항목은 지정관리 여부에 대한 선행작업이 문화와 역사를 포함하는 식생경관의 유지에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식생경관 유지에 있어서 수목이 갖는 민속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AHP기법을 통하여 산정된 세계문화유산 하회와 양동마을의 식생경관 가치평가 항목과 가중치 값은 마을 내 수목에 대한 실질적인 진정성 평가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도출된 하회와 양동마을 식생경관 가치평가 항목과 가중치 값을 적용한 평가기준 마련을 위한 후속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신라 왕경숲 조성에 있어서 주요 수종 선정에 관한 연구 (How to Choose the Species of Trees on the Afforestation Project of Shilla Dynasty′s Capital Forest)

  • 김윤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2-62
    • /
    • 2004
  • This research is basic research about 「the afforestation project of the Shilla Dynasty's capital forest」 which is controlled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forest and environment of Kyungbuk province.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bout target places and selection of major species of trees is as follows. 1. In the Shilla Dynasty's times, the peach tree was the indicator of unusual changes in weather, and was also the symbol of unsurpassed beauty. Peach trees were so prevalent that people called the forest peach-hill or peach-forest. Therefore, the main tree of Shilla Dynasty's capital forest would have to be a peach tree. 2. From several records, pine and bamboo were planted or grown together. The pattern of planting trees like this case is also historic, so should be utilized positively. 3. In order to afforest the capital forest, the bamboos have to be planted on Nam-mountain in Kyung-ju, and maple trees have to be planted on Kumgang mountain. 4. There were many big trees during the Shilla Dynasty, and the name of one of the Six Main Villages was 'Big Tree Village'. Therefore, big and long-lived trees have to be planted also. 5. The willow tree has to be considered for afforesting the capital forest even though the willow trees are misunderstood to cause allergies. They are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trees. In the traditional literature, the willow tree stands for good news. 6. Japanese cornellian cherry(Cornus officinalis), which is related with old narrative literature in the era of King Kyungmun, has to be planted for the forest, and has to be considered to be an educational tree. 7. Korean Rhododendron, which is related with Madam Suro's story, has to be planted in stone gardens.8. Lotus, Korean pulsatilla, Boxwood, Bombycis Mulberry, and Japanese Apricot have been recorded just one time, but these are also important plants which have to be reflected on afforestation of capital forest project. 9. The forests of Shilla on the old records exist in 17 places. The afforestation project has to be undertaken at these places. 10. The people of Shilla deified the forest and trees, which were the places where ancestral rites had been performed. For example, Gyerim, Sinyurim, and Wanggasu were the sacred forests of the capital fo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