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 결정 경로 분석 - 가치관적 요인을 중심으로 - (A Pathway Analysis on Determination of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in Working Women with a Child: Focused on Value Factors)

  • 이정원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1호
    • /
    • pp.323-351
    • /
    • 2009
  • 본 연구는 '자녀가 있는 취업여성의 후속자녀 출산의도'가 어떠한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어떠한 경로로 결정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특히 '가치관적 요인'의 영향력에 주목하여 '자녀가치관'을 특성에 따라 '개인주의적 자녀가치관'과 '집단주의적 자녀가치관'으로 구분하고 이외 주요 변수들과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은 측정모형분석과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우리나라에서 자녀가 하나 있는 취업여성의 후속자녀를 출산하고자 하는 의도는 여성의 '자녀가치관'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장 강하게 예측될 수 있었다. 셋째, 경제적 자원과 공·사적 서비스 자원은 다른 요인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개인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 자원은 공·사적 서비스 자원 경험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개인주의적 자녀가치관과 집단주의적 자녀가치관은 일-가정의 양립과 관련된 여성의 환경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아 형성·변화될 수 있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취업여성의 출산율 고양을 위해서는 이들의 일-가정 양립을 둘러싼 환경 조건의 변화를 통해 긍정적 자녀가치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경영정책 연구 (A Study on Policies towards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 손주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3호
    • /
    • pp.81-10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upport policies regarding work and family reconciliation, to suggest plans to improve workplace polic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This study looks at OECD's work-life reconciliation policies as well as family friendly workplace policies in Korea to find a way to enhance business' receptiveness and implementation of the policies. By examining women's labor conditions, this study finds that family friendly workplace policies are necessarily imminent in our society of low fertility and ageing. Along with the evaluation of benefit level and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policies, this study uses data from interviews with working mothers who have had the experience of family friendly benefi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 workplace environment in companies that do not show bias against the use of family friendly policies. In order to farm more successful policies,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analyze the changes of fertility, working conditions, support programs, and benefits.

  • PDF

가족정책의 성 통합적 재구조화: 노동 주체의 관점에 근거한 일과 가족의 양립을 중심으로 (Restructuring the Family Policy from the Gender-integrating Perspective: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 윤홍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4호
    • /
    • pp.291-319
    • /
    • 2005
  • 본 논문은 성 통합적 관점에서 가족정책의 재구조화에 대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는 가족정책의 관점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 섰을 때 일과 가족 양립의 문제가 특정한 성의 문제가 아닌 보편적 시민의 문제가 된다는 점이다. 즉 허구적 믿음에 근거한 공 사적영역의 분리를(성별구분 없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통합시킬 때 공적가치인 정의의 문제와 사적가치인 보살핌의 대립이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노동주체로서 남성과 여성의 통합성과 현실적 문제로써 여성과 남성의 차이에 근거한 '이해'의 상이함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가족정책의 틀은 가족 구성원이 노동하는 장소에 따라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가족정책의 틀에 따라 가족정책을 가족영역과 시장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가족정책의 내용은 가족구성원이 노동권과 가족권을 실현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완화 제거하는 정책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족정책의 방향은 여성과 남성이 생계부양과 보살핌의 책무를 함께 나누게 하는 것이다. 이는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허구적인 공 사적영역의 분리를 통합시켜 내는 것으로, 궁극적인 가족정책의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는 보편적 일과 가족 양립을 실현하는 길이라는 것이다.

  • PDF

Women's Role in the Context of Coping with Everyday Life : Challenges for Public and Privacy in Germany

  • Leonhauser, Ingid-Ute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4권1호
    • /
    • pp.55-7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situation of everyday life of women and men in Germany and gender related aspects. Therefore social demographical data, presented tv the Office for European Statistics, Luxembourg and by German statistical data, are used. Based on this data the different roles, responsibilities, and social positions of women and men ar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the idea of mainstreaming gender. In comparison to other European countries, especially to the Scandinavian countries, the situation of women in Germany still has to be improved. It is a prevalent problem for women to arrange family life and working career, because the gender-related role-allocation is still an issue. Women, who are involved in looking after children, are significantly less engaged in business life, as for men caring does not make a difference, whether they are employed or not. In addition to this fact women on average earn less than men, especially for women working in higher positions. To improve the situation of women and men the German government has initiated a ‘Gender Mainstreaming Policy’ in 2000 and has taken important legal measures which make it possible to reconcile family-life and gainful employment. For Home Economists there is a need to integrate the gender dimension into a household analytical approach.

Women's role in the context of coping with everyday life: Challenges for public and privacy. The German situation

  • Leonhauer, Ingrid-Ute
    • 대한가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가정학회 2003년도 제56차 춘계학술대회
    • /
    • pp.1-1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situation of everyday life of women and men in Germany and gender related aspects. Therefore social demographical data, presented by the Office for European Statistics, Luxembourg and by German statistical data, are used. Based on this data the different roles, responsibilities, and social positions of women and men ar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the idea of mainstreaming gender. In comparison to other European countries, especially to the Scandinavian countries, the situation of women in Germany still has to be improved. It is a prevalent problem for women to arrange family life and working career, because the gender-related role-allocationis still an issue. Women, who are involved in looking after children, are significantly less engaged in business life, as for men caring does not make a difference, whether they are employed or not. In addition to this fact women on average earn less than men, especially for women working in higher positions. To improve the situation of women and men the German government has initiated a 'Gender Mainstreaming Policy' in 2000 and has taken important legal measures which make it possible to reconcile family-life and gainful employment. For Home Economists there is a need to integrate the gender dimension into a household analytical approach.

  • PDF

부모.부성휴가를 통해본 남성 돌봄 노동참여 지원정책 비교 : 경제협력개발기구 15개국을 중심으로 (The Level of Supporting Fathers' Care Work in 15 OECD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Family Policy)

  • 윤홍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2호
    • /
    • pp.223-249
    • /
    • 2006
  • 본 연구는 남성 돌봄 노동참여 지원정책을 통해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을 유형화함으로써 세 가지 주목할 만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남성 돌봄 노동참여 정책의 지원수준과 전통적 주 생계부양자 모형의 강도를 통해 OECD 15개국을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화는 탈상품화를 중심으로 복지체제를 유명화한 주류 복지국가의 분석과 달리 남성의 노동력의 가족화와 탈상품화를 준거로 분석했을 때 새로운 유형화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합계출산율,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지표에서 남성의 돌봄 노동참여 지원 수준이 높고, 전통적 주 생계부양자가구의 비율이 낮은 국가군일수록 합계출산율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의 남성에 대한 돌봄 노동참여 지원 정책의 수준은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돌봄 노동에 대한 낮은 수준의 성간 공유가 결국 한국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 참가율, 저출산 현상을 설명하는 하나의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