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athway Analysis on Determination of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in Working Women with a Child: Focused on Value Factors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 결정 경로 분석 - 가치관적 요인을 중심으로 -

  • 이정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8.10.27
  • Accepted : 2009.03.23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affect working women's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and what paths that determine this intention exist.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influence of 'values regarding children' on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of working women, and divided 'values regarding children' into 'individualistic value regarding children'and 'group-oriented value regarding childre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appropriate to explain the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in working women with a child by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Second, it appeared that the factor which directly determined the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in working women with a child was 'values regarding children', and the impact of 'individualistic values regarding children' was stronger than that of 'group-oriented values regarding children'between the two. Third, 'Economic resource'factor and 'service'factor affected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indirectly through other factors. Fourth, the level of public and private service resources for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is affected by the level of economic resources. Finally, it appeared that 'values regarding children' could be formed or changed by working women's environmental condition like public and private service resources to support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that it should be important to form values regarding children positively by improving environmental condition for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to increase childbirth intention of working women.

본 연구는 '자녀가 있는 취업여성의 후속자녀 출산의도'가 어떠한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어떠한 경로로 결정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특히 '가치관적 요인'의 영향력에 주목하여 '자녀가치관'을 특성에 따라 '개인주의적 자녀가치관'과 '집단주의적 자녀가치관'으로 구분하고 이외 주요 변수들과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은 측정모형분석과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우리나라에서 자녀가 하나 있는 취업여성의 후속자녀를 출산하고자 하는 의도는 여성의 '자녀가치관'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장 강하게 예측될 수 있었다. 셋째, 경제적 자원과 공·사적 서비스 자원은 다른 요인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개인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 자원은 공·사적 서비스 자원 경험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개인주의적 자녀가치관과 집단주의적 자녀가치관은 일-가정의 양립과 관련된 여성의 환경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아 형성·변화될 수 있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취업여성의 출산율 고양을 위해서는 이들의 일-가정 양립을 둘러싼 환경 조건의 변화를 통해 긍정적 자녀가치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