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iprocal crosses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초

이면교배(二面交配)에 의한 수도량적(水稻量的) 형질(形質)의 유전분석(遺傳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Genetic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s of Rice (Oryza sativa L.) by Diallel Cross)

  • 조재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254-282
    • /
    • 1977
  • 벼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관(關)한 주요양적형질(主要量的形質)의 유전(遺傳)에 관(關)한 정보(情報)를 얻고져 1974년(年) 농백(農白), 통일(統一), 팔굉(八紘), 만경(萬頃), 금남풍(金南風)을 교배친(交配親)으로 전조합(全組合) 이면교배(二面交配)를 실시(實施)하여 $F_1$종자(種子)를 얻었으며 1975년(年) 이들 $F_1$ 및 교배친(交配親) 품종(品種)을 재배(栽培)하여 여러 형질(形質)을 조사(調査)하고 그 결과(結果)를 Griffing 및 Hayman의 방법(方法)에 따라 유전분석(遺傳分析)을 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통일(統一)을 교배친(交配親)으로 한 조합(組合)에서는 출수기(出穗期)가 늦어지는 쪽이 우성(優性)이었고 출수기(出穗期)가 늦어지는 방향(方向)으로 각(各) 조합(組合)에서 모두 높은 Heterosis를 나타내었던 바 높은 우성효과(優性效果)와 비대립유전자간(非對立遺傳子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인정(認定)되었는데 통일(統一)을 제외(除外)한 품종(品種)을 양친(兩親)으로 한 조합(組合)에서는 출수기(出穗期)가 빠른 쪽이 우성(優性)이었고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가 우성효과(優性效果)에 비(比)해 현저(顯著)히 큰 부분우성(部分優性)을 나타내었으며 비대립유전자간(非對立遺傳子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통일(統一)을 교배친(交配親)으로 한 조합(組合)에서는 장간(長稈)쪽으로 높은 Heterosis율(率)을 나타내었으며 간장(稈長)이 긴 것이 짧은 것에 비(比)해 우성(優性)이었고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에 비(比)해 우성효과(優性效果)가 매우 커서 초월우성(超越優性)을 나타내었으며 협의(狹意)의 유전력(遺傳力)은 아주 낮았다. 그리고 교배조합(交配組合)에 따라 모본효과(母本效果)와 정역효과(正逆效果)가 현저(顯著)하였다. 3. 이삭의 추출도(抽出度)는 모든 조합(組合)에서 양친(兩親)의 평균(平均)보다 약간 길었으며 추출도(抽出度)가 길어지는 방향(方向)으로 부분우성(部分優性)을 나타내고 있었다. 우성효과(優性效果)에 비(比)해 상가적작용(相加的作用)이 현저(顯著)히 컷고 광의(廣意) 및 협의(狹意)의 유전력(遺傳力)도 모두 높았다. 추출도(抽出度)에서도 간장(稈長)에서와 같이 모본효과(母本效果)와 정역효과(正逆效果)가 유의(有意)하였다. 4. 지엽각(止葉角)은 대체로 예각(銳角)의 방향(方向)이 우성(優性)이었으나 팔굉(八紘)에서만은 교배조합(交配組合)에 따라 예각(銳角)과 둔각(鈍角)의 두 가지 상반(相反)되는 방향(方向)으로 Heterosis를 보였다. 우성효과(優性效果)가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보다 약간 높았는데 지엽각(止葉角)의 유전(遺傳)에는 교배조합(交配組合)에 따라 비대립유전자간(非對立遺傳子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상당히 크게 작용(作用)한 것으로 보여진다. 5. 지엽장(止葉長)과 지엽폭(止葉幅)에서는 모두 이들이 증가(增加)되는 방향(方向)이 우성(優性)이었으나 Heterosis의 정도(程度)는 교배조합(交配組合)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지엽장(止葉長)의 유전(遺傳)에서는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에 비(比)해 아주 높은 우성효과(優性效果)를 보여 초월우성(超越優性)이 인정(認定)되었던 반면(反面) 지엽폭(止葉幅)에서는 우성효과(優性效果)는 적었고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가 매우 크게 나타나 부분우성(部分優性)을 보였으며 광의(廣意) 및 협의(狹意)의 유전력(遺傳力)이 모두 높았다. 그리고 지엽장(止葉長), 지엽폭(止葉幅) 및 지엽각(止葉角)에서는 모두 모본효과(母本效果)나 정역효과(正逆效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6. 통일(統一)을 한쪽친(親)으로 하는 조합(組合)의 수장(穗長)은 모두 양친(兩親)에 비(比)해 현저(顯著)히 길었으나 그 외의 조합(組合)에서는 $F_1$의 수장(穗長)이 양친(兩親)의 평균치(平均値)와 비슷하였고 수장(穗長)의 유전(遺傳)에는 상가적(相加的) 효과(效果)보다 우성효과(優性效果)가 크게 작용(作用)하였으며 수장(穗長)이 길어지는 방향(方向)이 우성(優性)이었고 협의(狹意)의 유전력(遺傳力)은 아주 낮았다. 7. 수수(穗數)가 많은 것이 적은 것에 대(對)해 우성(優性)이었으며 $F_1$의 Heterosis 정도(程度)는 교배조합(交配組合)에 따라 각각상이(各各相異)하였다. 수수(穗數)의 유전(遺傳)에는 우성효과(優性效果)가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보다 약간 크게 작용(作用)하고 있어 완전우성(完全優性)에 가까우며 모본효과(母本效果)와 정역효모(正逆效母)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8. 수당입수(穗當粒數)는 교배조합(交配組合)에 따라 각각(各各) 정부(正負)의 상반(相反)되는 방향(方向)으로 Heterosis가 나타났으며 Heterosis의 정도(程度)도 조합(組合)에 따라 상이(相異)하였다. 평균(平均) 우성방향(優性方向)은 수당입수(穗當粒數)가 증가(增加)되는 쪽이었으나 조합(組合)에 따라 우성(優性)의 방향(方向)은 수당입수(穗當粒數)가 증가(增加)되는 경우와 감소(減少)되는 경우를 동시(同時)에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수당입수(穗當粒數)의 유전(遺傳)에는 우성효과(優性效果)가 아주 크게 나타났으며 비대립유전자(非對立遺傳子)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인정(認定)되었다. 9. 등숙비율(登熟比率)은 조합(組合)에 따라 출수기(出穗期)의 지연(遲延)에 기인(基因)되는 등숙장해(登熟障害)와 기타 환경(環境)의 영향으로 그 유전양식(遺傳樣式)의 파악(把握)이 거의 불가능(不可能)하였으나 통일(統一)을 제외(除外)한 조합(組合)에서는 등숙비율(登熟比率)이 증가(增加)하는 방향(方向)의 우성효과(優性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10. 천입중(千粒重)은 무거운 것이 가벼운 것에 대(對)해 우성(優性)이었고 우성(優性)의 정도(程度)는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가 우성효과(優性效果)에 비(比)해 현저(顯著)히 높아 부분우성(部分優性)을 나타내었다. 천입중(千粒重)은 광의(廣意) 및 협의(狹意)의 유전력(遺傳力)이 모두 높았으며 모본효과(母本效果)나 정역효과(正逆效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11. 고중(藁重)은 통일(統一)을 한쪽 친(親)으로 하는 조합(組合)에서는 고중(藁重)이 무거워지는 방향(方向)으로 높은 Heterosis를 보였으나 그외(外)의 조합(組合)에서는 양친(兩親)의 평균(平均)보다 고중(藁重)이 감소(減少)되었고 조합(組合)에 따라 우성(優性)의 방향(方向)이 정부(正負)로 나타날 뿐 아니라 그 정도(程度)도 서로 다르며 비대립유전자간(非對立遺傳子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현저(顯著)하였다.

  • PDF

Evaluation of Crossbreeding Effects for Wool Traits in Sheep

  • Malik, B.S.;Singh, R.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1호
    • /
    • pp.1536-1540
    • /
    • 2006
  • Crossbreeding effects for wool quality traits viz. greasy fleece weight (kg), staple length (cm), average fibre diameter (${\mu}$) and medulation percentage were estimated using the Dickerson's and Kinghorn's models. The data analyzed involved 15 genetic groups including Nali purebred, $F_1$'s of two and three breeds, $F_2$'s and reciprocal crossbred obtained from the crossing of Nali (N), Merino (M) and Corriedale (C) breeds during 1980-96. Nali and Corriedale breeds had non-significant negative additive genetic effects (Dickerson's model) on greasy fleece weight, while effects of Corriedale were negative for staple length only from both models. In general additive genetic effects of all three breeds were non-significant for all the wool traits except medulation percentage. Non significant heterotic and recombination effects (epistatic loss) were estimated from both models. However, the estimates of crossbreeding effects varied between the models both in magnitude as well as in direction barring few exceptions. Undesirable positive heterosis was found on medulation percentage for all types of combinations involving three breeds. Comparison of least squares means of various genetic groups revealed that both two breed and three breed crosses were superior to the Nali breed for all wool quality traits. Fibre diameter of MN crossbreds was significantly less than CN crossbreds. Results also indicated that as the inheritance of Nali breed in a cross is decreased, the medulation percentage decreases which is desirable. Inter se mating of crossbreds (two breed, three breed) has not resulted in a decline in the wool quality trai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ynthetic population derived from three breeds can be stabilized easily for wool traits as there may not be epistatic loss on subsequent inter se mating of crossbreds.

맥주맥 F1세대의 양적형질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es on Quantitative Characters of F1 Generation in Malting Barley)

  • 정원복;오주성;황필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9-33
    • /
    • 2003
  • 맥주보리의 양적형질에 대한 유전정보를 얻고자 7개 품종으로 이면교배하여 $F_1$ 세대에 대한 유전자의 분포상태 분산성분.유전력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시된 품종집단에 대한 $F_1$ 세대의 우성정도를 Vr-Wr graph상에서 볼 때 간장.수장.망장.곡립장.1수립수 등은 초우성으로 유전되었고 경직경.곡립폭 1000립중은 불완전우성으로 유전되었다. 각 형질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에서 상가적효과, 우성효과, 모본효과, 정역간의 효과는 간장.수장.망장.경직경.곡립장.곡립폭.1수립수.1000립중 등에서 모두 유의하였다. 유전 분산성분에서 간장.수장.망장.경직경.곡립장.곡립폭.1수립수.1000립중은 우성효과가 상가효과보다 컸다. 협의의 유전력은 수장이 40.06%로서 높았다.

Evaluation of New Commercial $F_1$ Hybrids of Silkworm (Bombyx mori L.) with Participation of Sex-limited Lines

  • Petkov, N.;Petkov, Z.;Grekov, D.;Arnaudova, 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9권1호
    • /
    • pp.47-51
    • /
    • 2004
  • To evolve silkworm hybrids with higher survival and productivity and easy and effective seed cocoon production, three new evolved bivoltine hybrids of silkworm (Bombyx mori L.), created with participation of sex-limited lines at eggs and larva stage were evaluated with control Super$_1$${\times}$Hessa$_2$ hybrid at Plovdiv Agrarian University during 2000 - 2002. ANOVA analysis was employed and the performance of hybrids was observed in respect of main quantitative traits. The results obtained show significant superiority of new hybrids T$_{15}$ 4/${\times}$TBV$_{2}$24/, XT$_{215}$38/${\times}$TV$_{3}$2/, XT$_{215}$38/${\times}$B$_{2}$6/ and their reciprocal crosses over the control. They were characterized with 99% hatchability of eggs, 93-95% silkworm survival, 2.32- 2.42 g cocoon weight, 53.5-55.7 cg shell weight, 22.9-23.1% shell ratio, 1,307-1,326 m filament length, 3.08-3.17 denier, 95-96% reelability, 44.4-45.1% silk ratio, 569-593 number of normal eggs per lying and 347-364 mg weight of normal eggs per lying. Newly evolved hybrids were manifested high productivity, 41.0-43.6 kg cocoon yield and 7.33-7.78 kg raw silk yield per one box (20,000$\pm$200 viable eggs), which significant surpass the control Super$_1$${\times}$Hessa$_2$ hybrid with 7.6-14.4% and 10.8-17.6%, respectively. T$_{15}$ 4/${\times}$TBV$_{2}$24/ and XT$_{215}$38/${\times}$TV$_{3}$2/ were considered as highly productive hybrids to local conditions and found suitable to rear in spring season.n.

Variegated 담배 (Nicotiana tabacum L. cv. BY-4)의 잎 절편 배양에 따른 재생 식물체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lants Induced by in vitro Culture of Leaf Blade-segments in a Variegated Tobacco (Nicotiana tabacum L. cv. BY-4))

  • 배창휴;이효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5-250
    • /
    • 1999
  • 수분 후 담배의 배에 중이온 ($^{14}$ N) beam을 조사하여 유도한 variegated담배의 잎 조직을 기내배양하여 재생된 식물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NAA 0.1mg/L 와 BAP 1/0mg/L를 첨가한 MS배지에서 variegated담배의 잎을 배양하면 백색부위에서는 백색 식물체만이 유도되었으나 녹색부위에서는 녹색 식물체가 47.2%, 백색 식물체가 37.4%, variegated식물체가 15.4% 유도되었다. 재생된 녹색 식물체는 자가수분한 후대 (F$_1$)에서 녹색 식물체 1,651 개:백색 식물체 54개로 분리되었다. 또한 variegated 잎에서 재생된 녹색 식물체와 정상주를 정역교배 한 결과, 전부 녹색체가 분리되었다. 이 결과는 variegated잎의 표현형 유전은 최소한 모성 유전이 아님을 보여준다. Variegated잎의 녹색부위를 배양하여 재생된 variegated식물체의 잎을 이용하여 DNA gel blot한 결과, 엽록체 유전자인 psbA, rbcL, 165 rDNA, 23S rDNA의 양은 흰색부위 잎에서 정상주인 녹색 잎과 variegated식물체 잎의 녹색부위 보다 많았다.

  • PDF

Wolbachia 감염이 디코폴 감수성 및 저항성 점박이응애 계통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lbachia Infection on Fitness of Resistance to Dicofol in Tetranychus urticae (Acarina: Tetranychidae))

  • 윤태중;류문일;조기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1-326
    • /
    • 2001
  • Wolbachia 감염이 디코폴 감수성계통 점박이응애와 저항성계통 점박이응애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발육, 수명, 산란수, 산란기간)을 미니장미를 기주로 조사하였다. ftsZ PCR결과 감수성 계통만이 Wolbachia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수성계통은 저항성계통에 비해 높은 산란율과 빠른 발육률이 관찰되었으며, 성충수명과 산란기간은 감수성계통에서 길었다. 이는 적합도가 디코폴저항성 수준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일한 조사를 상호교배 자손에서 조사한 결과, Wolbachia에 감염된 수컷과 Wolbachia 비감염 암컷을 교배한 조합에서 높은 난사망율과 수컷편중 성비가 관찰되어 전형적인 Wolbachia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질 불화합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Wolbachia에 감염된 암컷과 Wolbachia 비감염 수컷조합의 내적자연증가율값($0.09\pm$0.01)은 다른 조합($0.20\pm$0.01)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본 실험의 연구결과는 점박이응애 적합도의 발달과 진화가 저항성 수준과 Wolbachia 감염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잠난비중이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 ( I ) (Effect of Egg gravity of Silkworm, Bombyx mori L., on the Hatching and the Practical Hatching Ratio (I))

  • 손해용;김윤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9
    • /
    • 1978
  • 잠 103$\times$잠 104 와 그 역교, 잠107$\times$잠108 및 그 역교를 공시하여 6개 업자의 잠종비중별 부화율 및 실용부화율 시험에서 얻은 결과는 1. 난비중을 세분하여 부화율 실용부화율을 보면 경비중에 비하여 중비중 및 중비중의 난이 부화율 및 실용부화율이 높았다. 2. 일모체는 중모체에 비하여 경비중 및 중비중난에서 부화률이 높았고 실용부화율은 경비중난에서만 높았다. 3. 중모체는 비중별 실용부화율 및 부화율의 차이가 컸으며 이에 비하여 일모체는 부화율에는 차이가 없으나 실용부화율에서 비중별 차이를 인정할 수 있었다. 4. 제조업자별 중비중난의 부화율 및 실용부화율의 차이는 없으나 경비중, 중비중난에서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가잠의 주요 양적 형질에 관한 유전분석 (Analysis of Gene for Major Quantitative Characters in Silkworm, Bombyx mori)

  • 손봉희;정원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29
    • /
    • 1992
  • 누에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7개 품종을 이면교잡하여 얻은 F1 세대에 대한 유전자의 분포상태, 우성정도, 분산성분과 성분비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8개 형질에서 정방향의 잡종강세를 나타낸 형질은 암견층비율을 제외한 7개 형질이었으며 이 중암전견중, 암용체중은 매우 높은 잡종강세를 나타내었고 부방향의 잡종강세는 암·수견층비율에서 볼 수 있었다. 2. 각 형질에 대한 분산분석의 결과는 세포질의 영향인 모체효과와 정·역간의 효과에서 암견층비율과 암용체중을 제외한 전 형질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Vr-Wr graph에서 암전견중과 암·수용체중은 초우성을 나타내고 수전견중, 암·수견충중, 암·수견층비율은 불완전우성으로 유전되었다. 4. 유전분산성분에서 수전견중, 암·수견층중, 암·수견층비율은 상가적 효과가 우성효과보다 크게 나타났고, 암전견중은 우성 효과가 상가적 효과보다 크게 표현되었다. 5. 협의의 유전력은 암·수전견중, 암·수견층중, 암·수견층비율에서 0.51 이상으로 높았고, 광의의 유전력은 암용체중을 제외한 전 형질에서 0.77 이상으로 높았다. 6. 우성의 방향은 암견층비율이 부이고, 암·수견층중이 5.22, 6.02로 다소 높았으나 암·수전견중, 수견층비율, 암·수용체중은 정으로 낮았다.

  • PDF

속간교잡 후 배주배양에 의한 감귤류 신품종 육성 (Breeding of New Varieties by Ovule Culture of Intergeneric Hybrid in the Aurantioideae)

  • 이만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61-266
    • /
    • 1995
  • 감귤류 속간교잡에 의하여 왜성화되고 내한성이 강한 신품종 개발에 대한 연구로서 황금유자와 탱자, 유자와 탱자의 정역교잡 및 잡종종자의 미숙배주 배양을 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숙배주의 callus형성은 탱자 < 유자 < 황금유자 $\times$ 탱자 < 황금유자 순서로 양호했는데, 1 ~ 3 mg/L + zeatin 0.5 mg/L 처리구에서 제일 좋았다. 황금유자와 탱자의 정역속간교잡 20주 후 기내에서의 발아율은 황금유자 $\times$ 탱자의 잡종이 41.3%, 탱자 $\times$ 황금유자의 잡종에서는 37.7%를 보였다. 황금유자 $\times$ 탱자의 F$_1$ 잡종 95%와 탱자 $\times$ 황금유자의 F$_1$ 잡종 100%는 탱자를 닮았다. 황금유자 $\times$ 탱자의 수분 후 3시간이면 화분은 계두상에서 발아하고, 24~28시간이면 화분관이 주공에 진입하며, 2일이면 극핵과 수정하며, 3일이면 난세포와 수정한다. 속간교잡의 결과율은 황금유자 $\times$ 탱자가 14.0%, 탱자 $\times$ 황금유자가 17.5%이었다. 황금유자와 탱자의 인공자가수정 결과율은 각각 45.4%, 27.5%이었으며 인공 타가수정 결과율은 34.2%, 39.5% 이었고, 단위결과율은 3.1%, 1.4%이였다. 또한 자연상 태에서의 결과율은 각각 13.0%, 3.0% 이었다. 황금유자, 유자, 탱자의 체세포와 생식세포 염색체수는 모두 2n=18, n=9 이었다.

  • PDF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의 종간 교잡과 접합후 생식격리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Matsumuraeses phaseoli and M. falcana (Lepidoptera: Tortricidae) and Postzygotic Reproductive Isolation)

  • 정진교;박창규;문중경;김은영;조점래;서보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05-311
    • /
    • 2019
  • 동소동속종인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나비목: 잎말이나방과) 사이에 교잡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두 종을 교잡시켰다. 두 종의 암수를 교차하여 교미시켰을 때, F1 잡종세대가 발생하였다. 두 잡종세대 집단을 집단 내 및 집단 간 암수를 교차하여 교미시킨 경우들에서, 팥나방 암컷과 어리팥나방 수컷이 교잡되어 생성된 F1 잡종세대 집단(H집단)의 암컷이 같은 집단의 수컷 혹은 다른 집단의 수컷과 교미되었을 때, F2 후대를 거의 생성하지 못했다. 다른 집단으로 만들어진 F2 세대는 집단 내 교미에서 F3 세대를 생성시켰다. F1 잡종세대 집단 암수와 팥나방 혹은 어리팥나방 암수를 각각 교차하여 교미시킨 역교잡 8개 집단 중에서도 H집단의 암컷과 짝지어진 어미세대 수컷 집단 2개는 전혀 산란하지 못했다. 후대가 생성된 다른 6개 집단은 모두 집단 내 암수 교미에서 역교잡 F2 세대를 생성하였다. 이 결과는 팥나방 암컷과 어리팥나방 수컷이 교미하였을 경우 F1 후대잡종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 F1 후대잡종 암컷은 불임이 되는 것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두 종 사이에 접합후 생식단계에서 부분적인 생식격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