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ring density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77초

쌍별귀뚜라미, Gryllus bimaculatus (Orthoptera: Gryllidae)의 사육밀도가 섭식량, 성충사망률 및 부화 약충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ring density on food consumption, adult mortality and mean number of hatchlings of Gryllus bimaculatus (Orthoptera: Gryllidae))

  • 박영규;이형근;최영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89-94
    • /
    • 2013
  • 쌍별귀뚜라미의 먹이 섭식량, 부화기간, 성충사망률, 사육밀도 및 성비에 따른 부화 약충수와 산란경향을 실내사육실($25{\pm}5^{\circ}C$, $60{\pm}10%$RH)에서 조사하였다. 사육중인 성충의 사육밀도가 50 ~ 400 개체로 증가할 때 사육밀도에 관계없이 하루에 $0.067{\pm}0.008g$의 사료를 섭식하였고 무는 0.128 ~ 0.068 g을 섭식하여 밀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산란된 알은 부화시작 후 6일차까지 95.8%가 부화하였다. 평균 사망률은 사육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일차함수로 증가하여 8주차에 93.9%가 사망하였다. 암컷 100개체의 사육밀도일 때 암컷 한 개체당 총 부화 약충수는 $248.8{\pm}17.8$ ($mean{\pm}SD$) 개체로 200 개체일 때의 $172.2{\pm}10.6$ ($mean{\pm}SD$) 개체보다 많았다. 암컷과 수컷의 성비는 부화약충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란 시작후 일차별로 산란수의 증감이 반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3주차까지 총 산란수의 81.5%를 산란하였다.

Effects of Rearing Density on Growth of the Polychaete Rockworm Marphysa sanguinea

  • Parandavar, Hossein;Kim, Kyeong-Hun;Kim, Chang-Ho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57-63
    • /
    • 2015
  • Effects of rearing density on growth and survival of the polychaete rockworm Marphysa sanguinea have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rearing techniques for this species. This study was examined over a nine-month period in the Fisheries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ree rockworm densities, 500, 1,000 and $2,000worms{\cdot}m^{-2}$ with weight ranges of < 0.5 g, 0.6-1.5 g, and 1.6-2.5 g, and the no feed control treatment, were stocked in triplicate $0.10m^2$ boxes with sand bottoms. Growth rates were checked with 15 randomly sampled rockworms from each box at months 3, 6 and 9. Results showed that SGRs in all treatments were higher during the first period (0-3 months) than the second (3-6 months) and third periods (6-9 months) for all treatment densities, while SGRs decreased with increasing density. However, survival and growth of worms at high density was not better than low density, but daily biomass production in medium and high density groups was $6.28gm^{-2}day^{-1}$ for the rockworms of 0.6-1.5 g with $2,000inds{\cdot}m^{-2}$, and $12.6gm^{-2}day^{-1}$ for group between 1.6-2.5 g with $2,000inds{\cdot}m^{-2}$, and $14.7gm^{-2}day^{-1}$ for the group of individuals <0.5 g with $1,000inds{\cdot}m^{-2}$. Results showed that M. sanguinea can be one of the most suitable species to commercially exploit in a farming system. In particular, specified densities permit elevated pure production.

Floating Bead Filter에 의한 순환여과식 양식장의 부유고형물 제거와 질산화 (Removal of Suspended Solids and Nitrification by Floating Bead Filter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김병진;김성구;서근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3-169
    • /
    • 2003
  • The floating bead filter was tested for treatment of aquacultural water in a pilot-scale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Performance of floating bead filter on the removal of total suspended solids (TSS) and the treatment of nitrogen sourer such as total ammonia nitrogen (TAN), nitrite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were evaluated. The system was stocked with Nile tilapia at an initial rearing densities of $5\%\;and\;7\%$ over 30 days. The average TSS removal rates were $43.0\;g/m^2{\cdot}day\;and\;39.5\;g/m^2{\cdot}day$ for rearing density of $5\%\;and\;7\%$, respectively. As rearing density increased from $5\%\;to\;7\%$. the TAN removal efficiency decreased from $22.0\%\;to\;17.7\%$. At the rearing densities of $5\%\;and\;7\%$, the average TAN removal rates and removal efficiencies were $38.8\;g/m^2{\cdot}day,\;15.6\%\;and\;37.8\;g/m^2{\cdot}day.\;17.7\%,$ respectively. The average TAN removal rate was $37.8-38.8\;g/m^3{\cdot}day.$ The oxygen consumption by floating bead filter was higher than theoretical oxygen consumption rate by nitrification.

해상에서 VIE 추적 조사에 의한 양성 기구의 수용 밀도 및 개체 크기별 해삼 (Apostichopus japonicus, Selenka)의 성장 비교 (Growth of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Selenka) to different stocking densities and body sizes, with monitoring and the use of VIE tags)

  • 문선주;권인영;김태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1호
    • /
    • pp.49-59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wth rate and the optimal stocking density of sea cucumbers. Grow-out was studied in situ by conducting a follow-up survey using visible implant elastomer (VIE) tags. The rearing systems were made of polypropylene pipe for the frames and netting. The experiment ran for 70 days near Yeosu, Korea in the water depth of about 7 m. A total of 576 sea cucumbers which have three groups of body sizes (small: 5.15, medium: 12.34 and large: 23.26 g) were used. The five groups of stocking densities (150, 300, 450, 600 and $850g/m^2$) in rearing system for sea cucumber were considered. Sea cucumbers were fed a mixed diet (mud, mineral, fish meal, etc.). The feed was supplied to 10% of their body wet weight once every 7 days. The survival rate (73%) of sea cucumber in $850g/m^2$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 density groups ($150g/m^2$: 89%, $300g/m^2$: 84%, $450g/m^2$: 78% and $600g/m^2$: 86%). The survival rate of medium size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small and large groups regardless of the density (P<0.05). Most of density group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for $850g/m^2$ (P>0.05). The growth rate of small size group ($0.63%day^{-1}$) was higher than those of medium ($0.38%day^{-1}$) and large ($0.34%day^{-1}$) group regardless of the density (P<0.05). The threshold water temperature was $11.0^{\circ}C$ for sea cucumber growth in winter season.

사육밀도가 토종육계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ring Densities on Behavior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ve Broilers)

  • 하재정;이용준;김병천;오상집;송영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481-487
    • /
    • 2011
  • 본 실험은 사육밀도에 따른 토종육계의 행동을 분석한 것이다. 10일령의 토종육계(한협3호)를 3.17 $m^2$의 칸에 각각 20수, 30수 그리고 40수를 수용시켰다. 각각의 사육밀도는 6.3수/$m^2$, 9.5수/$m^2$ 그리고 12.6수/$m^2$ 이다. 사료섭취량 및 체중은 40수 처리 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혈장 내 coriticosterone의 농도는 20수 처리 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닭의 행동은 하루에 12시간씩 일주일에 이틀, 총 8주간 녹화한 후 관찰하였다. 서기, 앉기 그리고 걷기는 행동 소요시간을 측정하였고 음수, 섭식, 몸단장, 긁기, 모래욕, 날개짓, 쪼기 그리고 다른 닭 쪼기는 빈도수를 측정하였다. 서기는 30수 처리 구에서, 앉기는 40수 처리 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걷기는 사육밀도가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다른 행동의 빈도수 또한 사육밀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특히 음수, 섭식, 몸단장 그리고 쪼기에서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의 차이는 사육 후기로 갈수록 차이가 커졌다. 모든 처리구 중 활동적인 행동을 많이 하는 20수 처리 구(6.3수/$m^2$)가 타 처리구 보다 상대적으로 복지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사육밀도라고 판단된다.

Food plants suitable for mass rearing of the coconut hispine beetle Brontispa longissima

  • Yamashita, Ai;Winotai, Amporn;Nakamura, Satoshi;Takasu, Keiji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1호
    • /
    • pp.57-61
    • /
    • 2009
  • The invasive pest Brontispa longissima(Coleoptera: Chrysomelidae), native to Indonesia and Papua New Guinea, has extended its distribution to Australia, Asia and Pacific islands and caused serious leaf damages of the coconut palm Cocos nuciferain the invaded regions. Although biological control using parasitic wasps has successfully reduced population density and leaf damage levels, this pest and its natural enemies have not been efficiently producedin conventional methods using young leaves of C. nucifera.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suitability of plants easily available in Thailand and Japan for mass rearing of this pest to develop effective mass rearing system of this pest. Mature, green leaves of the palms were also suitable for immature development and adult reproduction of this pest. Since mature leaves of C. nucifera are more abundant and less contaminated with fungus than the unopened leaf buds, mature leaves could be a promising plant diet for mass rearing of B. longissima. Ornamental palms such as Hyophorbe lagenicaulis and Washingtonia filifera were also suitable for immature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B. longissima. Away from palms, the cattail Typha spp. can sustain immature development and adult reproduction of B. longissima. In the area where C. nucifera is rare or not available, W. filifera or Typha spp. would be good food plants for mass rearing of this pest.

  • PDF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육상수조사육에 관한 연구 I. 치패성장에 미치는 수조형태 및 사육밀도의 영향 (Indoor Tank Culture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 . Effects of tank shape and stocking density on the growth of young abalone)

  • 정성채;지영주;손팔원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20
    • /
    • 1994
  • 전복을 육상에서 사육하기 위한 시설형태 및 적절한 사육밀도의 구명을 위해 수조형태 및 수용밀도별 사육실험을 한 결과 1. 수조형태, 단별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의 차리는 인정되지 않았고, 유수식과 순환식사육의 비교에서는 유수식의 성장도와 생존율이 좋았다. 2. 수조단수별 (3단)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아 동일량의 사육수로 단위면적 당 3배의 생산이 가능하였다. 3. 밀도별실험에서 $1000-2000마리/m^2$로 수용한 각장 약 20mm치패는 수용밀도에 따른 성장 차가 없었지만, 각각 200-600, 100-300마리의 밀도로 수용한 각장 약 40mm와 50mm의 치패는 수용밀도가 낮을수록 성장이 빨랐다. 4. 일간섭식률과 사료전환효율은 밀도가 낮을수록 높았고, 치패 크기가 작을수록 높았다

  • PDF

갈색거저리 유충 생산을 위한 효율적인 사육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Optimal Rearing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Tenebrio molitor Larvae)

  • 김시현;김종철;이세진;김재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21-429
    • /
    • 2016
  • 사료용 곤충 중에서 갈색거저리 유충은 사료용 및 산업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효율적인 유충 확보를 위한 대량사육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색거저리 성충의 산란율 증가를 위한 밀기울+추가 사료 조건 별 산란율 비교, 산란 기간과 유충 크기의 균일성, 사육 밀도와 온도에 따른 발육 양상, 알과 번데기의 저온 보관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기본 사료인 밀기울에 당근과 애호박을 추가로 처리한 결과, 성충의 산란수와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성충의 산란 기간을 3일과 7일 동안 각각 달리한 결과, 14일 동안 산란을 받은 처리구에 비해 높은 유충 크기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육은 20, 25, 30, $35^{\circ}C$ 조건 중에서 $30^{\circ}C$에서 가장 빨랐으며, $20^{\circ}C$에서는 산란수는 많았지만, 상대적으로 느린 생육 특성을 보였고, 자연 치사율이 증가하여 일정한 크기의 유충 확보가 용이하지 않았다. 사육용기에 갈색거저리 유충을 1, 10, 20, 30, 40, 50마리 밀도로 사육한 결과,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충의 생존율과 길이 생육에는 유의성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무게 생장은 감소하였다. 사육 밀도를 30마리(/직경 90 mm 용기)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30마리 이상으로 유지할 경우 개체의 발육이 늦어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갈색거저리의 알과 번데기를 $4^{\circ}C$에 보관하였을 때, 알은 9시간, 번데기는 10주 이상 보관하면 부화율과 우화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보관 충태는 알보다는 번데기가 더 적합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갈색거저리 성충의 생존율과 산란율을 높이기 위한 추가 식물체 사료의 공급이 필요하며, 고품질의 균일한 충체 확보를 위해 산란을 7일 이상 받지 않을 것을 추천하고, $30^{\circ}C$ 근처의 사육온도에서 30마리/90 mm 용기 이하의 사육 밀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저장 보관 과정에서 알보다는 번데기 형태로 보관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율적인 갈색거저리 유충의 대량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해상가두리 적정 사육기술 제시를 위한 전복양식 현황 (Status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quaculture for Optimal Rearing Technique in Marine Net Cage)

  • 손맹현;박민우;김강웅;김경덕;김신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362-373
    • /
    • 2010
  •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well-performing aquaculture facilities, rearing environment, breeding management and feed supply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s of the abalone aquaculture in marine cage. The size of marine cage varied depending on local area where the abalone farms are located. The small size cage ($2.4{\times}2.4{\times}2.5$ m) was used in Wando, Jindo and Hanam area where much of the provincial's abalone production is conducted and the middle size cage ($2.4{\times}4.8{\times}2.5$ m) was used in Huksando area. Big size group, above 2 cm in shell length, was produced from the end of October to the middle of November and small size group, below 2 cm in shell length, was produced from the end of March to the beginning of April next year in case of juvenile abalone of land production. The initial stocking density was 517-1,653 individuals/culture square meter($m^2$) in case of the big size group. The optimal rearing density was 326 and 263 individuals/culture square meter ($m^2$) after 1 year and 2 year's rearing, respectively. It is shown that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shell length (x) and rearing density (y) is estimated to be $y=2,803.1x^{-1.4641}$ ($r^2=0.9687$). In addition, The obvious relationship was indicated between number of cage (x) and sea weed production facilities (y) as y=1.1542x+10.832 ($r^2=0.918$) in Wando, because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or japanese tangle (Laminaria japonica) was supplied as a feed for abalone culture. The general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x) and shell weight (y) of cultured abalone is estimated to be $y=0.1443x^{2.9461}$ ($r^2=0.9997$).

지렁이 사육상에서 줄지렁이(Eisenia fetida) 개체군의 수직분포 (Vertical Distribution of Tiger Worm (Oligochaeta : Eisenia fetida) Population in the Rearing Bed)

  • 박광일;김병우;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4호
    • /
    • pp.93-99
    • /
    • 2007
  • 제지슬러지를 먹이로 공급하여 줄지렁이를 사육하면서 지렁이 사육상 높이 및 사육상내 개체군 밀도가 높아짐에 따른 줄지렁이 개체군의 수직분포를 사육상 표층으로부터 5 cm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줄지렁이 유충, 성충, 개체군의 50% 이상이 표층으로부터 5 cm 이내에 서식하였으며, 줄지렁이 유충, 성충, 난포 개체군의 96% 이상이 표층으로부터 20 cm 이내에 서식하였다. 사육상의 높이가 50 cm로 높아질 때까지 사육상 높이나 지렁이 개체군 밀도 변화가 지렁이 개체군의 수직분포 비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