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ady-to-eat

Search Result 18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국내유통 홍어회 제품의 미생물 및 이화학적 특성조사 (Microbi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Ready-to-eat Skate in Korean Market)

  • 이은정;서정은;이종경;오세욱;김윤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7-141
    • /
    • 2008
  • 2006년 $6{\sim}8$월 국내 유통 중인 홍어회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품질을 조사한 결과 홍어회는 다른 어패류와 달리 신선 상태가 아닌 숙성 후 섭취하는 제품으로 pH가 9 내외의 수준이고, 암모니움을 함유하고 있으며, 다른 신선식품 보다 VBN 값이 $15{\sim}30$배 정도 높았다. 숙성 홍어회의 미생물 오염 지표인 총균수 수준이 대다수 제품에서 식품 공전 상 잠정규격인 5 log CFU/g보다 높게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이 검출된 사례도 18건 중 1건이 있었고, 병원성 미생물인 S. aureus가 검출된 사례도 18건 중 2건이 있었다. 또한 약 5 log CFU/g 수준의 S. aureus를 숙성된 홍어회의 가식부위에 접종했을 때 저장 10일 째 일정 수준 (2 log CFU/g) 감소하긴 했지만, 3 log CFU/g 수준의 S. aureus가 10일 이상의 저장 기간에 걸쳐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사대용 식품(Ready-to-eat meals) 중 병원성 세균의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and Assessment of the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Ready to Eat Meals)

  • 홍은경;김윤아;이도경;강병용;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5-27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3월 초까지 497개의 초밥, 김밥, 샌드위치 등의 식사대용 식품 검체를 수거하여 식품공전을 토대로 식사대용 식품에서 유래되는 미생물학적 인 오염도를 조사하고, 현대 사회에서 항생제 사용의 오남용으로 항생제 내성이 심각한 상황을고려하여 분리된 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거된 검체를 실험한 결과 김밥에서 4개(1.4%)의 Escherichia coli가 분리되었고, 초밥, 샌드위치 등에서는 분리되지 앓았다. 또한 김밥에서 12개(4.4%), 초밥에서 8개(5.4%), 샌드위치에서 2개(4.3%)로 총22개(4.4%)의 Staphylococcus aureus가 분리되었다.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26개의 균주로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의 기준에 의거하여 vancomycin, teicoplanin, gentamycin, cipro-floxacin, synercid, cefotaxime, lincomycin, meropenem, cefazo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으로 총 10개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E. coli와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E. coli 4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은 그람 음성균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인 gentamycin, ciprofloxacin, cefotaxine, meropenem, cefazolin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높다고 판단되었으나 amoxicillin-clavulanic acid에 대해서는 내성을 나타내었고,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은 비교적 높다고 판단되었다.

즉석섭취 샌드위치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위해분석 (Hazard Analysis of Staphylococcus aureus in Ready-to-Eat Sandwiches)

  • 박해정;배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938-943
    • /
    • 2007
  • 향후 소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즉석섭취식품 중 샌드위치를 대상으로 제조공정의 특성상 생물학적 위해 중 높은 빈도로 검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서 정성적${\cdot}$정량적 검출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시료는 편의점, 대형할인마트, 샌드위치 전문점, 개인운영제과점, 패스트푸드점, 급식소에서 판매되는 샌드위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174개의 시료 중 18개, 전체 10.3%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량은 평균 1.74 log CFU/g으로 0.30 log CFU/g에서 최대 4.08 log CFU/g까지 검출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의 계절에 따른 검출량은 여름철(3.24 log CFU/g)이 겨울철(1.10 log CFU/g)에 비해서 3배 정도 많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영국 PHLS의 즉석섭취식품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미생물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본 실험의 전체 분석 대상 시료 중 95.4%가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또한 햄 치즈샌드위치에 대한 독소형성 확인 실험 결과 4.95 log CFU/g 이상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이 증식되지 않으면 독소가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샌드위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정량적 오염도 분석에 대한 본 실험 결과는 샌드위치를 포함한 즉석섭취식품의 정량적 위해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revalence and Thermal Stability of Enterobacter sakazakii from Unprocessed Ready-to-Eat Agricultural Products and Powdered Infant Formulas

  • Jung, Mi-Kyoung;Park, Jo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52-157
    • /
    • 2006
  • Enterobacter sakazakii, designated as an unique microbial species in 1980, may cause bacteremia,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infant meningitis. The distribution and the thermostability of E. sakazakii in unprocessed ready-to-eat (RTE) agricultural products of 252 and in 25 powdered infant formulas (PIF) were analyzed. Eighty one, 50, 43, and 47% of brown rice, pumpkin, potato, and carrot samples, respectively, had aerobic plate counts (ARC) in the range of 5 log CFU/g or more. Almost all the other products sampled had APC of approximately 2 log CFU/g. Fifty three, 75, 67, and 68% of banana, pumpkin, soybean, and carrot had Enterobacteriaceae counts approximating 3 log CFU/g. Sixty six percent of the brown rice tested had Enterobacteriaceae counts approximating 5-6 log CFU/g. E. sakazakii was isolated from 3/25(12%), 4/23(17%), 1/24(4%), and 1/27(4%) of PIF, brown rice, laver, and tomato samples, respectively. D-values were 3.52-4.79 min at 60 and $D_{60}-values$ were similar as the isolates reported. Thermal inactivation of four thermovariant E. sakazakii strains during the rehydration of PIF with hot water were investigated. At $50^{\circ}C$, the levels of E. sakazakii decreased one log CFU/g for 4-6 min and thereafter the levels remained stable for 20 min. At $60^{\circ}C$, inactivation by about 2 log CFU/g occurred for 20 min. Therefore, the un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might be a source of contamination for PIF when used as an ingredient after drying and pulverization. Rehydration of PIF for infant feeding with a water temperature of $60^{\circ}C$ rather than $50^{\circ}C$, as recommended by the manufacturers, may be helpful in the reduction of potential E. sakazakii risk.

즉석조리식품에서의 Bacillus cereus오염실태조사 및 생육 pattern 분석 (Isolation and Growth Pattern of Bacillus cereus from Ready-to-Eat Foods.)

  • 김순한;김미경;강민철;손영욱;이창희;김인복;이영자;최수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64-669
    • /
    • 2004
  • 국민 다소비 식품인 생선회, 패류 등의 횟감류 118건, 김밥, 햄버거 등의 도시락류 82건 및 기타 ready-to-eat(RTE) 식품 40건, 총 240건을 대상으로 Bacillus cereus의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횟감류 16건(13.6%), 도시락류 17건(20.7%), 기타 RTE 식품에서 3건(7.5%), 총 36건(15.0%)에서 B. cereus가 검출되었다. B. cereus의 검출은 polymyxin B를 첨가한 TSB배지를 사용한 증균배양 후, MYP agar에서 전형적인 집락을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균주들을 대상으로 그람염색, oxidase test, 혈액한천배지에서의 rhizoid growth, $\beta$-용혈성 유ㆍ무등을 통해 추정 균주들을 분리하였다. API 50CHB/20E system을 통한 생화학적 분석과 motility시험 등을 행하여 최종적으로 B. cereus로서 동정ㆍ확인하였다. 확인된 36균주 중 28균주(77.8%)가 BCET-RPLA 시험을 통해 BHI broth에서 설사형 독소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 분리균들은 ampicillin (100%), penicillin G (100%) 및 rifampicin (69.5%)에 내성을 보였으며, gentamicin (100%), vancomycin (100%), bacitracin (86.1%), chloram-phenicol (97.2%), erythromycin (69.4%), kanamycin (86.1%) 및 streptomycin (97.2%)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B. cereus의 생육은 온도와 시간에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는데, 냉장온도인 1$0^{\circ}C$이하에서는 균의 생육이 상당히 저해된 반면, 2$0^{\circ}C$ 및 3$0^{\circ}C$에 보관시에는 급격한 증식을 보여 기온이 상승하는 하절기에 특히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기체충진 포장조건에 따른 신선편이 캠벨 포도의 저장 중 품질변화 (Storage Quality of Ready-to-Eat Campbell Table Grapes as Affected by Active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 이현희;홍석인;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59-567
    • /
    • 2012
  • 신선편이 포도 상품의 유통, 판매 중 부패억제 및 품질유지를 위한 환경기체조절포장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살균소독, 세척, 절단 과정을 거친 캠벨 포도 시료에 대해 다양한 기체 충진 조건을 적용하여 플라스틱 포장용기에 밀봉한 후 $5^{\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고이산화탄소 조건에서 포도의 호흡률은 일반 대기조성에서의 호흡률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고산소 조건에서는 산소 소모율이 2배 정도 증가하는 비정상적인 호기호흡이 일어났다. 저온저장 중 포장 내부의 기체조성은 초기 기체충진 조건에 관계없이 $O_2$가 모두 소비되고 고농도의 $CO_2$가 축적되었으나, PE 포장구에서는 약 13% 이상의 $O_2$가 유지되었다. 포도의 품질인자 가운데 생체중량은 대조구인 통기 포장구에서만 1.0% 이상 감소하였고 고산소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중량감소를 나타내었으며, 과육의 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경도, 과피 표면색, 폴리페놀 함량, PPO 활성에서는 기체충진 조건에 의한 유의적 차이를 구분할 수 없었다. 한편 고이산화탄소 처리구에서는 약 $10^1-10^2$ CFU/g 수준의 가장 낮은 미생물 균수를 나타내었으나 저장말기에 이취가 강하게 발생하였고, 고산소 처리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이취가 적고, 고유의 포도향이 유지되면서 관능검사 평가점수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적정 농도의 고이산화탄소와 고산소를 병용한 환경기체조절포장은 신선편이 포도의 저장유통 중 품질유지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최적의 포장조건을 찾기 위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감마선 조사와 로즈마리 추출분말 병용처리가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에 미치는 영향: I. 미생물학적 특성 및 저장성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Gamma Irradiation and Addition of Rosemary Extract Powder on Ready-to-Eat Hamburger Steaks: I.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helf-life)

  • 오상희;김장호;이주운;이유석;박경숙;김종군;이효구;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87-693
    • /
    • 2004
  • 본 연구는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에 감마선 조사와 항산화제 및 항균제로 알려진 로즈마리의 추출분말의 병용처리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로즈마리 추출분말을 0, 200, 500 ppm의 농도로 첨가한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를 0, 5, 10 및 20 k㏉로 조사한 후 4개월 간 냉장(5$^{\circ}C$)저장하면서 미생물의 생육을 평가하였다. 또한 감마선 조사와 로즈마리 추출분말의 병용처리가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단기간 내에 파악하기 위해 가속저장(3$0^{\circ}C$) 시험을 병행하였다.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의 초기 호기성 총균수는 약 5 log CFU/g이었으나, 감마선 조사에 의해 햄버거 스테이크의 저장 중 호기성 총균과 대장균군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특히, 20 k㏉로 조사한 햄버거 스테이크에서는 저장 4개월까지 어떠한 미생물도 검출되지 않았다. 총균수가 $10^{6}$$10^{7}$ log CFU/g에 이르렀을 때를 저장한계로 보았을 때, 냉장 저장시 비조사구는 14일인 반면, 5 및 10 k㏉ 조사구는 각각 28∼42, 98∼112일이었다. 5 및 10 k㏉ 조사구에서 로즈마리 추출분말을 500 ppm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비첨가구에 비해 저장기간이 14일 연장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속저장 시험 시 감마선 조사에 의해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의 저장성이 향상되었으나 로즈마리 추출분말 첨가에 의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냉장 저장 시에는 감마선 조사구(5 및 10 k㏉)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로즈마리 추출분말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지역 직장인과 학생의 아침식사형태와 쌀 음식의 섭취와 선호 (The Breakfast Type and Rice Preference in students and workers living in Kyeonggi Province, Korea)

  • 최미용;박동연;이영희;이승교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9-62
    • /
    • 2003
  • Breakfast consumption is important for nutritional balance in all population group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healthy Korean with continuous traditional breakfast consumption of rice. One thousand participants who go to work or school every morning were selected by stratified method and interviewed by regional home extension workers in 24 cities, Kyeonggi province, Korea. The questions included breakfast eating habits, perceived health status,and food preferences for breakfast. The students (70.5%) were composed with elementary (17.2%), middle school(15.7%), high school(16.5%), and university(21.l%)students. The rest 29.5% were workers. The recognized importance of eating breakfas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health status. It means that lowering health status made them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reakfast. Workers had more boiled rice with side dishes for breakfast(58.6%) than students (40.2%). The reasons of selected items for breakfast were habit (28.5%), and health (14.6%). The propensity of convenience and preference was more frequent in male workers than male students. For breakfast, ready-to-eat food (rice-roll or rice ball, retort rice, and fast-food) preferred more in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but boiled rice with side dishes was preferred more in workers. Boiled rice with divers cereals was selected for main dish in workers, however boiled rice only in students if obliged. We suppose the problem in next decade would be skipped breakfast in regular attendance position. For breakfast with ready-to-eat rice or something to eat in short time, students and workers should be educated to those who are too busy to eat breakfast for the enhancement of human resources.

  • PDF

Developing a Descriptive Analysis Procedure for Korean Pumpkin Gruel (Hobakjuk)

  • Chung, Seo-Jin;Hwang, Yoon-Seon;Chung, Chung-Ji;Kim, Ji-Hye;Um, Seo-Young;Chang, Young-Rae;Kim, Seon-Jung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3권1호
    • /
    • pp.1-5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liable and reproducible descriptive analysis procedure for Korean style sweet pumpkin gruel (Hobakjuk). The sensory attributes of the sweet pumpkin gruel were developed and defined, the sample preparation method was standardized, and the sensory evaluation procedure for a sample was established. Seven types of sweet pumpkin gruel (five ready-to-eat type vs. two ready-to-heat type)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Panel training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these 7 samples. A total of 12 sensory attributes (2 aroma/odor, 5 taste/flavor, 4 texture/mouthfeel, and 1 aftertaste attributes) were developed to describ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sweet pumpkin gruel. The definition and reference standards for each sensory attribute were determined to clearly understand each attribute. In the main experiment, trained panelists evaluat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7 gruel samples based on a fifteen-point intensity scale using the developed attributes.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analysis of varianc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7 sweet pumpkin gruel samples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ir intensities of all attributes except for sweet pumpkin aroma and viscosity. The ready-to-eat style samples were distinctly characterized by their sweet pumpkin aroma and flavor, whereas the ready-to-heat style samples were markedly characterized by their low intensity of gelatinized starch and pumpkin flavor retention.

  • PDF

한국에서 시판되는 가정간편식 제품의 당류 함량 평가 (Assessment of the Sugars Contents in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s Sold in Korea)

  • 김유미;최미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6권2호
    • /
    • pp.116-12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ugars content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currently sold in Korea. This study surveyed and examined the sugars contents in 835 popular HMRs (294 ready-to-eat foods; RTE, 499 ready-to-cook foods; RTC, 42 fresh-cut vegetables; FCV) through the nutrition labels. The average price, weight and energy content of 835 HMR products were 3,917.5 Korean won, 336.0 g, and 522.7 kcal, respectively. The sugars content per produc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TCs (13.4 g) and RTEs (10.3 g) than that in the FCVs (4.2 g) (P<0.001), and the percentage of energy from sugars was 9.7% for the RTEs, 10.2% for the RTCs, and 8.7% for the FCVs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ugars contents of 9 RTE types were in the order of side dishes (34.3 g), sunsik (22.5 g) and hamburgers (12.1 g) per package. The percentage of energy from sugars was highest in side dishes (28.1%), followed by kimchi (24.9%), sunsik (17.2%), and hamburgers (10.6%). Among 14 RTC types, the sugars contents were in the order of hot dogs (52.9 g), tteokbokki (30.4 g) and noodles (21.2 g) per package. The percentage of energy from sugars was the highest at 22.9% for sauces, followed by side dishes (17.3%), porridges (14.4%), instant stews (14.3%), and hot dogs (13.1%). Strategies and practices are needed to reduce the sugars contents of HMR producers and the sugars intakes of HMR consu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