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rate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24초

우리글 읽기에서 나타난 성인과 청소년의 고정시간 분포분석과 단일경계 확산모형 제안 (One Boundary Diffusion Model Analysis on Distributions of Eye Fixation Durations in Reading; Eye Movement Tracking Study)

  • 주혜리;고성룡
    • 인지과학
    • /
    • 제32권1호
    • /
    • pp.1-5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만20-28세)과 청소년(만13-14세)을 대상으로 글읽기 안구운동 추적 실험을 통해 분포분석하여 단어빈도 효과를 확인하고, 단일경계 확산모형(One-boundary Diffusion Model)의 정보표집율(drift rate) 파라미터가 두 집단의 글읽기 현상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고 단일경계 확산모형이 개인차를 설명하는 도구로써 적절한지 확인하고자 한다. 먼저 단어 빈도와 단어습득연령과 같은 단어 성질을 통제한 두 가지 글읽기 안구운동추적 실험을 하였고, 실험 1과 실험 2에서 중심와 정보처리가 단일경계 확산모형의 정보표집율 파라미터와 연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1에서는 성인 집단은 고빈도 조건과 저빈도 조건의 반응비율 고정 시간 평균 차이는 0.1분위수 보다 0.9 분위수에서 더 크게 나타났지만 청소년 집단은 고빈도 조건과 저빈도 조건의 반응 비율 고정시간 평균 차이는 0.1분위수과 0.9 분위수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에서 두 집단의 초기습득연령 조건과 후기습득연령 조건의 반응 비율 고정시간 평균 차이는 0.1분위수 보다 0.9 분위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Ratcliff(Ratcliff, & McKoon, 2008)의 반응시간 분포와 유사한 패턴으로 정적 편향 분포로 앞부분 보다는 꼬리 쪽에서 분산이 증가되는 경향이 확인하였으며 단어의 성질에 따른 두 조건의 차이는 분포의 첩점 크기 차이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안구운동실험 결과를 통해 글읽기에서 나타나는 단어 성질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고 단일경계 확산모형의 정보표집율 파라미터가 글읽기에서 중심와 정보처리를 반영하는 것을 강조한다. 나아가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단일경계 확산모형이 글읽기에서 현상을 예측하고 개인차를 설명할 수 있는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Raster Beam에 의한 우편용 4-state 바코드 판독기 구현 및 판독오차 범위의 최소화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nimization Method of Reading Error Range and Implementation of Postal 4-state Bar Code Reader with Raster Beam)

  • 박문성;송재관;남윤석;김혜규;정희경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2149-2160
    • /
    • 2000
  • 4-state 바코드는 우편물 자동구분처리 및 우편물류의 정보표현, 전달, 처리가 효과적으로 지원되도록 개발하고 있다. 4-state 바코드에 표현 정보는 우편번호, 배달순서코드, 고객정보 등이 포함되며, 판독의 향상을 위한 오류정정 코드워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우편용 4-state 바코드를 raster beam에 의하여 판독하는 시스템의 개발과 판독오차 범위의 축소 방법을 다룬 것이다. Raster beam 주사에 의한 판독 오차는 단위 구간별 spot 분포의 동일하지 않은 분포로 인하여 발생된다. 이에 따라, 판독오차를 축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구간 단위로 바의 두께 값을 측정하여 인접돈 바의 평균값 조정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시험결과 거의 99.8%까지 평균 판독오차가 축소됨을 보였다.

  • PDF

우리글 읽기에서 중학생들의 지각폭 연구 (The perceptual span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in Korean reading)

  • 최소영;고성룡
    • 인지과학
    • /
    • 제25권3호
    • /
    • pp.189-210
    • /
    • 2014
  • 안구운동추적 연구에서 지각폭의 크기를 파악하는 문제는 오랜 관심사였으며, 표기 체계나 읽기 기술의 발달 등이 지각폭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우리글 읽기에서 대학생들의 지각폭을 알아본 최소영, 고성룡(2009)의 조건, 방법 및 문장 자극 등을 참조하여 중학생들의 지각폭을 측정하였다. 실험 1은 창의 크기를 3, 5, 7, 9, 11, 13, 15자로 조작하여 창이 없는 통제 조건과 수행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읽기율 측정치에서는 9자 조건에서부터 대체로 실험 조건과 통제 조건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정 수에서 5자, 도약 거리에서 9자, 고정 시간에서 9자에서 통제 조건과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실험 2는 지각폭의 비대칭성에 근거하여 고정점을 기준으로 좌측의 지각폭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고정 좌측의 창 크기를 0, 1, 2, 3, 4자로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도약 거리를 제외한 읽기율, 고정 수, 고정 시간등의 모든 측정치에서 0자 조건에서만 통제 조건인 전체 조건과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지각폭을 여러 지표에서 두드러지는 왼쪽으로 1자, 오른쪽으로 4자로 추정하였다.

간신티그라피에서 Digital Image와 Analogue Image 판독의 비교 (Comparison of Interpretations between Digital Image and Analogue Image in Liver Scintigraphy)

  • 최윤호;이범우;문대혁;정준기;이명철;고창순;박석건;이명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5-200
    • /
    • 1989
  • The authors studi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the diagnostic performance between reading from digital image on the video CRT of 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from analogue image of conventional film mode. We compared interpretative accuracy of above two reading modes by having two observers read a series of liver scintigrams. Images were read once from film and a second time from video CRT of elementary PACS. The concordance rate of interpretation of the two modes was in the range from 61.0% to 93.2%. The diagnostic accuracies of digital image reading and analogue image reading were 72.9% and 74.6% respectively in one observer, and 72.9% and 76.3% in another on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retative accuracy could be found between two modes of reading.

  • PDF

발화구간 검출을 위해 학습된 CNN 기반 입 모양 인식 방법 (Lip Reading Method Using CNN for Utterance Period Detection)

  • 김용기;임종관;김미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233-243
    • /
    • 2016
  • 소음환경에서의 음성인식 문제점으로 인해 1990년대 중반부터 음성정보와 영양정보를 결합한 AVSR(Audio Visual Speech Recognition) 시스템이 제안되었고, Lip Reading은 AVSR 시스템에서 시각적 특징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AVSR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입 모양만을 이용한 발화 단어 인식률을 극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 모양 인식을 위해 실험단어를 발화한 입력 영상으로부터 영상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입술 영역을 검출한다. 이후 DNN(Deep Neural Network)의 일종인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발화구간을 검출하고,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입 모양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HMM(Hidden Markov Mode)으로 인식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발화구간 검출 결과는 91%의 인식률을 보임으로써 Threshold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높은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입모양 인식 실험에서 화자종속 실험은 88.5%, 화자 독립 실험은 80.2%로 이전 연구들에 비해 높은 결과를 보였다.

난독증 선별을 위한 RTI 적용: 읽기 유창성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n Application Study of RTI for Identifying Students with Dyslexia: Focused on the Reading Fluency Program)

  • 김동일;김희주;안예지;안성진;임희진;황지영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2호
    • /
    • pp.265-28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난독증 고위험군 학생들에게 다층 체계를 기본으로 하는 RTI 교육 서비스 내에서 읽기 유창성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최종적으로 학습 진전도에 따라 난독증 학생을 선별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6년도 경기도 난독증 우수프로그램 공모사업" 으로 선정된 '경기도 난독증 아동청소년 지원프로그램 대상자' 중 RTI 체계 내에서 읽기 유창성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22명의 초등학생 1-5학년 학생들이다. 연구대상에게 증거기반 읽기 교수 학습 전략에 따른 개별화된 읽기 유창성 프로그램을 약 3개월간 8-10회기 제공하고, 총 3회의 진전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읽기 유창성 중재를 받은 22명의 학생들을 관심군, 향상군, 이중불일치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이중불일치군으로 분류된 3명의 학생들을 잠재적 난독증 집단으로 정의 내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향후 난독증 학생에 대한 교육적 진단과 효과적인 중재 적용에 대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시설재배 토마토 잎의 엽록소 측정치와 토양 질소공급능력의 상호관계 (Relationship between Leaf Chlorophyll Reading Value and Soil N-supplying Capability for Tomato in Green House)

  • 홍순달;김기인;박효택;강성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5-91
    • /
    • 2001
  • 질산태 질소 수준이 $55{\sim}306mg\;kg^{-1}$인 6개 시설재배 토양에 대하여 시비수준을 무비구와 표준시비구로 구분하여 토마토의 생산력과 엽록소 측정치(SPAD, Minolta 502)의 상호관계를 조사하고 덧거름 시용량 결정을 위한 식물체 검정법의 활용 가능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토마토 잎의 엽록소 측정치는 단위 엽면적 당 질소 흡수량과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식물체의 질소 영양진단의 지표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토마토 재배기간 동안 엽록소 측정치는 정식후 45일째 15매엽에서 최대를 보인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비수준과 질산태 질소 함량에 관계없이 동일한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토마토의 질소 영양진단을 위한 기준시기와 기준엽위는 정식후 45일 이전과 15매엽 이하가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정식후 40일째 14매엽의 엽록소 측정치는 토양의 질산태 질소 함량및 무비구 토마토의 건물중 그리고 무비구 토마토에 의한 질소흡수량과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을 보이며 2차함수의 곡선적 관계를 나타냈다. 무비구 토마토의 최대 건물중과 최대 질소 흡수량으로 추정한 엽록소 측정치는 57.1로 동일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토마토 정식후 40일째 엽록소 측정치는 질소 웃거름 시비량을 결정하기 위한 식물체 검정법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코로나19 발생 전·후 대학도서관 열람실 이용행태 비교 연구 - J대학교 중앙도서관 이용 로그를 기반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age Behavior of University Librarie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Based on the Reading Room Log of J University Central Library)

  • 허상덕;오효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7-228
    • /
    • 2022
  • 학업 및 취업 준비에 대부분의 시간을 쏟는 20대 대학생에게 있어 학습 공간으로써 대학도서관의 역할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코로나19 시기의 이용 행태 변화를 통해 도출된 이용자의 요구를 대학도서관 열람실 공간에 반영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코로나19 전·후의 대학도서관 열람실 이용 행태를 비교하여 변화와 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지역 거점 국립대학교인 J대학교를 선정, 중앙도서관의 코로나19 전·후 3개년도에 해당하는 2019~2021학년도의 열람실 이용로그 579,555건을 수집하여 열람실 활용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120,090건의 자료 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서관 이용 방문 목적을 비교하였고 각 열람실별 특성과 이용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팬데믹 이후 뉴노멀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도서관 열람실 운영 및 공간 재구성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고대한다.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Radiologis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tection Support Software for Mammography: A Multi-Reader Study

  • Jeong Hoon Lee;Ki Hwan Kim;Eun Hye Lee;Jong Seok Ahn;Jung Kyu Ryu;Young Mi Park;Gi Won Shin;Young Joong Kim;Hye Young Cho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5호
    • /
    • pp.505-516
    • /
    • 2022
  • Objective: To evaluate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detecting breast cancer on mammography can improve the performance and time efficiency of radiologists reading mammograms. Materials and Methods: A commercial deep learning-based software for mammography was validated using external data collected from 200 patients, 100 each with and without breast cancer (40 with benign lesions and 60 without lesions) from one hospital. Ten readers, including five breast specialist radiologists (BSRs) and five general radiologists (GRs), assessed all mammography images using a seven-point scale to rate the likelihood of malignancy in two sessions, with and without the aid of the AI-based software, and the reading time was automatically recorded using a web-based reporting system. Two reading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a two-month washout period in between. Differences in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ROC), sensitivity, specificity, and reading time between reading with and without AI were analyzed, accounting for data clustering by readers when indicated. Results: The AUROC of the AI alone, BSR (average across five readers), and GR (average across five readers) groups was 0.915 (95% confidence interval, 0.876-0.954), 0.813 (0.756-0.870), and 0.684 (0.616-0.752), respectively. With AI assistance, the AUROC significantly increased to 0.884 (0.840-0.928) and 0.833 (0.779-0.887) in the BSR and GR groups, respectively (p = 0.007 and p < 0.001, respectively). Sensitivity was improved by AI assistance in both groups (74.6% vs. 88.6% in BSR, p < 0.001; 52.1% vs. 79.4% in GR, p < 0.001), but the specifici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66.6% vs. 66.4% in BSR, p = 0.238; 70.8% vs. 70.0% in GR, p = 0.689). The average reading time pooled across reader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AI assistance for BSRs (82.73 vs. 73.04 seconds, p < 0.001) but increased in GRs (35.44 vs. 42.52 seconds, p < 0.001). Conclusion: AI-based software improved the performance of radiologists regardless of their experience and affected the reading time.

한국 표준어 화자의 유창성과 말속도에 관한 연구 (Fluency and Speech Rate for the Standard Korean Speakers)

  • 심홍임
    • 음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193-200
    • /
    • 2004
  • This was a preliminary study for standardizing speech rate and fluency of normal adult Korean speakers and comparing speech rate and fluency of normal speakers with those of professional speak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 the speech rates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and the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normnal adult speakers and (b) the speech rates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and the disfluency characteristics between normal adult speakers and professional speak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st frequent disfluency type was 'interjection' in story-telling, 'revision' in text reading and announcing of professional speakers. The professional speakers had the fastest speech rates (overall speech rate and articulation rate) among the 3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