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ading media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3초

만화의 독서 효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Efficiency of Comics)

  • 류반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39
    • /
    • 2011
  • 만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함께 만화가 아동은 물론 청소년과 성인의 읽기 자료로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만화의 특성이 독서텍스트로서 어떠한 효용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고는 만화의 특성을 더 선명하게 부각시키기 위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만화자료의 매체변용 양상을 분석하였고, 만화의 특성을 정리하여 독서 자료로서 가지는 효용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독서 텍스트로서 만화가 가지고 있는 효용을 크게 둘로 나누어 보면 첫째, 몰입과 이완의 효과 둘째, 전체적 조망과 속도감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런 만화의 효용성은 만화를 재미있는 독서 자료로 만들어준다.

On Using Films to Develop Students' Reading Skills in the MALL Classes

  • Sung, Tae-S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35-141
    • /
    • 2017
  • Exposed to a great many media and technology resources, EFL students seem to lack the motivations for learning on the basis of the conventional teaching methods. For this reason, in teaching English, finding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appropriate to make the learning experiences for EFL students more engaging and interesting has become more challenging than ever. This is the main reason why English language teachers always keep searching for more motivating teaching sources. Although most of course books have CD's and DVD enclosed, these turn out to be less authentic and not very engaging for students. In order to bring diversity into the classroom, many teachers use films in EFL teaching. Films are usually seen as a media that attracts students' attention and tend to present language in a more natural (interactive) way as well. What is more important is that films offer a visual context aids which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improve their reading skills.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using films in the EFL classroom. Moreover, It shows that films as a teaching resource play a very effective role in developing students reading and communication skill. Last but not least, mobile phones are used as a main supplementary device in that either group is recommended to watch a movie anytime and anywhere.

정보처리모형을 이용한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수록 매체 분석 (An Analysis of Media in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s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2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포함된 매체를 정보처리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학교도서관 입장에서 매체활용능력 향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이 배우는 국정도덕 교과서 3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투입 요소는 사진(시각매체)과 이야기(인쇄매체)에 편중되어 있고, 처리 요소는 조사와 표를 이용한 학습지 중심이며, 산출 요소는 글쓰기, 말하기, 제작(창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투입 요소인 매체를 활용하여 적절한 학습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이 부족하고, 투입 요소로 많이 출현하고 있는 시각매체의 읽기 전략도 부족한 실정이다. 투입 요소의 편향과 정보 처리 활동의 제한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매체활용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 학교도서관은 독서흥미발달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독서자료의 제공, 텍스트 유형에 따른 학습지 개발, 협동수업시간 확보 등을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Beliefs, Preferences, and Processes of College EFL Readers

  • Chin, Cheong-Sook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2호
    • /
    • pp.27-49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FL learners' beliefs and preferences about reading tasks and to examine the reading processes that they use for making sense of text.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107 college students who were non-English majors and aged 19-28 years. Based on scores achieved on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more-skilled and less-skilled readers) and asked to respond to a survey in class. The result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1) a majority rate themselves as fair readers, which might be indicative of the insecurity they feel toward L2 reading; (2) authentic texts (especially magazines) and popular media appear to be their favorite reading materials; (3) unknown vocabulary is a major impediment to their L2 reading comprehension; (4) the more-skilled readers manifest a meaning centered view of reading, whereas the less-skilled readers center on vocabulary; and (5) both groups employ a multistrategic approach to L2 reading; however, the less-skilled readers are less successful in determining the meaning of unknown vocabulary.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FL classroom teachers are provided.

  • PDF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Students & Parents to Comics for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 이종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27-246
    • /
    • 2012
  • 출판업계가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이른바 학습만화를 고안해 내면서 만화를 통해 교과학습 및 관련 사물을 이해하려는 학생들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만화에 대한 유해성이 높은 독서자료라는 과거의 인식은 아직도 많은 학부모들로 하여금 자녀들의 만화독서를 금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실제 만화를 독서하고 있는 학생들과 이를 대하는 학부모들은 만화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3개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 한반씩 총 12개 반의 291명의 학생들과 203명의 학부모 설문지가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분석한 결과, 상당수의 학생들이 학교도서관 등의 정보원으로부터 학습만화를 입수하여 독서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만화가 학업성취에 상당히 도움이 되고 있으며 두 집단에서 학습만화 독서가 일반 독서로 이어지는 독서전이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서관운영자는 학습만화를 중요한 교수학습매체로써 인식해야 하며 아울러 독서흥미유발을 위한 견인매체로써 학습만화를 활용하여야 하고 정규교과목 시간에서도 교수학습활동에 학습만화를 보조교재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ization Model for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 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67-30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리터러시 및 독서 정보 ICT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고찰하고 정의하여 이들 리터러시의 개념적 차이를 통한 독서 정보 ICT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동시대의 사회적이고 문화적이며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컴퓨터 리터러시가 등장하였으며, 이후 컴퓨터 리터러시는 IT와 ICT 리터러시로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로 변화되어 왔다. 연구결과로, 매체의 기술적 변화에 따라 용어가 변화되어 온 이들 리터러시를 매체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였고, 텍스트나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고 평가하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을 둔 독서 리터러시와 정보 리터러시를 과정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여 독서 정보 ICT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도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는 매체에서 드러난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평가하는 핵심적인 역량으로 독자들의 독서 및 정보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독서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Reading Survey for the Establishment of Goyang City Reading Culture Promotion Plan)

  • 송민선;장인호;황금숙;김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285-308
    • /
    • 2023
  • 본 연구는 고양시민들의 독서 실태를 조사·분석해 고양시 '제2차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서실태 조사 관련 선행 연구 및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의 설문 문항 등을 참고하여 성인 및 학생 응답자 특성을 반영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고양시에 거주 중인 성인 960명, 학생 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해 그 결과를 분석하고,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독서자료의 범주를 전통적인 종이매체에서 다양한 매체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 장서 확충 및 실제 도서 구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시민들이 원하는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온라인 운영 방식 등으로 독서활동 및 동아리 활동 참여 기회를 늘여야 한다. 넷째, 독서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서비스 환경은 시민들의 생활 반경 내 접근이 쉬운 곳으로 조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독서문화진흥사업 중 '스마트도서관', '상호대차서비스', '독서 및 문화프로그램 운영', '고양 북페이' 사업 등은 지속·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실효성 있는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실제 시민들을 대상으로 독서 실태를 조사하고, 정책 방향 설정에 필요한 의견을 수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Pressured or Pleasure Reading: A Survey of Reading Preferenc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during COVID-19 Lockdown

  • Abimbola, Margaret Olusola;Shabi, Iwok;ARAMIDE, Kolawole Akinjid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7-21
    • /
    • 2021
  • The study wa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which investigated the reading preferenc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Nigeria during the lockdown occasioned by COVID-19 pandemic. A hundre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Ile- Ife and Ilesa in Osun State, Nigeria were the study respondents. Close end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data. Of the one hundred questionnaire which were applied to the study respondents, ninety-three were retrieved.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simpl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he study established that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not pressured to read but read for pleasure. Preference for a wide range of fiction and non-fiction books which was read for purposes ranging from academic, social, relaxation and information was indicated by respondents. Availability of reading materials determined reading preference of majority of respondents as many could not afford to access electronic books whether free or not. The researchers recommended that different types of reading materials that suit the reading preferences and meet the diverse purpose of reading should be provided for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during lockdown to improve their reading habits. Public libraries should function during this lock down period within the guidelines of the appropriate health authorities, while school libraries should be equipped to offer virtual services during the lockdown and the students should be exposed to e-books for their reading pleasure.

웹 기반 독서전략 모형 연구 (A Study on Model of Web Based Reading Strategy)

  • 최영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1-57
    • /
    • 2014
  •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서 개인의 독서활동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매체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법으로 효과적인 독서 생활을 위한 정보 독해능력과 웹 3.0 개념의 이해와 특성을 바탕으로 한 "웹 기반 독서전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6개의 독서전략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6개의 독서전략은, 초인지 전략, 정보검색전략, 개인화 전략, 읽기 전략, 쓰기 전략, 그리고 해석 전략이다.

Techno Populism and Algorithmic Manipulation of News in South Korea

  • Yoon, Sunny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2호
    • /
    • pp.33-48
    • /
    • 2019
  • The current Moon Jai-in administration in South Korea is facing serious challenges as a result of a scandal involving the manipulation of news online. Staff in Moon's camp are suspected of manipulating public opinion by creating millions of fake news comments online, contributing to Moon being elected president. This South Korean political scandal raises a number of theoretical issues with regard to new platform technologies and media manipulation. First, the incident exposes the technological limits of blocking manipulation of the news, partly because of the nature of social media and partly because of the nature of contemporary technology. Contemporary social media is often monopolistic in nature; with the majority of people are using the same platforms, and hence it is likely that they will be subject to forms of media manipulation. Second, the Korean case of news manipulation demonstrates a unique cultural aspect of Korean society. News comments and readers' replies have become a major channel of alternative news in Korea. This phenomenon is often designated as "reply journalism," since people are interested in reading the news replies of ordinary readers equally to reading news reports themselves. News replies are considered indicators of public opinion and are seen as affecting trias politica in Korean society. Third, the Korean incident of news manipulation implicates a new form of populism in the 21st century and the nature of democratic participation. This article aims to explicate key issues in media manipulation by including wider technological, cultural, and political aspects in the South Korean news media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