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culture promotio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5초

A Comparative Study of Peer-driven and Task-driven on Reading Training

  • Luo, Der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01-108
    • /
    • 2020
  • One difficulty in language learning is the training of reading ability. The improvement on this ability directly affects the process and effect of language learning. At the same time, there are numerous difficulties in actual learning and teaching. Depending on current research, there is two ideas that can utilize to enhance the reading efficiency of learners. One is to amend objective factors; the other is to change subjective factors. Compared with the two ideas, idiosyncratic factors are more manipulable and controllable, so it is more valuable to conduct researches on this. But among the many subjective factors, the degree of their effectiveness is not the same, so this article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riving effects of two important subjective factors (peer-driven and task-driven) on reading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both factor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reading comprehension, but different in driving effects. The task-driven has obvious short-term effectiveness; while peer-driven needs to establish its long-term effect on the basis of early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among team members.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achievement of learning, it is necessary to combine strengths and avoid weaknes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wo factors, so as to help learners improve reading ability most efficiently.

경기도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에 대한 성과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Book Sharing Regular Delivery Project for Pre-schoolers in Gyeonggi Province)

  • 황금숙;김수경;윤성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71-100
    • /
    • 2022
  • 본 연구는 2021년도 경기도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의 성과를 도출하고, 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경기도 독서문화진흥 정책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사업의 성과 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 양육자와 독서코칭사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의견수렴과 사업주관자 및 수행사업자를 대상으로 자체 사업 평가를 실시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 사업의 필요성 및 만족도는 양육자 및 독서코칭사 모두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양육자의 경우 사업 후 독서량이 많이 증가할수록 본 사업의 필요성과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업이 중단될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책꾸러미 정기배송과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의견 수렴에서도 양육자의 독서육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가 있으며, 유아-부모 상호작용 발달로 이 사업의 필요성과 만족도가 매우 높다는 평가를 하였다. 다만 사업주관 및 수행기관의 자체 평가에서는 사전에 철저한 계획적인 준비를 통해 사업이 진행되어야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경기도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의 지속성을 위해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경기도 독서문화진흥 정책을 제안하였다.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음운인식 게임 활동이 유아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Games using an Educational Robot on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nd Reading Interests)

  • 이하원;조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11-91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음운인식 게임 활동이 만 5세 유아들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음운인식 게임 16종을 설계한 후, 로봇이 참여하는 실험집단용 활동과 교사가 주도하는 비교집단용 활동으로 미세하게 조정하였다. 두 가지 활동은 각각 S시 소재 어린이집 2개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 각 15명을 대상으로 6주간 16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활동 전후 각 그룹 유아들의 읽기 능력 및 읽기 흥미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음운인식 게임 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읽기 능력 특히, 총점, 단어의미, 탈락, 대치에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음운인식 게임 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읽기 흥미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향후 연구에서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음운인식 게임 활동이 유아의 문식성과 즐거움의 동기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지를 연령별 모형을 수립하고 검증하여 발달적 추이를 살펴볼 계획이다.

우리나라의 도서관 발전과 독서진흥을 위한 민간단체와 정부의 협력에 관한 고찰 (NGO-Government Partnership for the Dynamic Development of Korean Libraries ann the Promotion of Reading)

  • 한상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31
    • /
    • 2006
  • 우리나라의 도서관들은 21세기에 들어서 역동적인 변화를 추구하였는데 그 이유 중의 하나는 도서관관련 시민단체들이 꾸준히 시민의 입장에서 도서관 문제를 바라보고, 문제점을 도출해서 규명하구 이를 널리 사회에 전달하고 해결책에 대한 소통구조를 활성화 시켰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각각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민단체하고 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살리기국민연대'와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즉, 이들 단체의 역사, 활동 그리고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을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와 어떻게 협력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지속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Efficacy of Zoom Technology as an Educational Tool for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in EFL Classroom

  • Kim, HyeJ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198-20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l-time remote video instruction using zoom on learners' English reading achievement. The study also sought to identify the efficiency of zoom video lectures and consider supplementing them by surveying learners' opinions and satisfaction regarding zoom video lectures. To this end,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set up, and two achievement tests and a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he study's results demonstrated that zoom video lectures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English reading achievement. The questionnaire found that learners are satisfied with zoom video lectures for the following reasons: 'increased interest in and motivation towards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ctive interaction', 'ease of access', 'ease of information retrieval'. At the same time, the questionnaire also found that some learners are dissatisfied with zoom video lectures due to 'mechanical errors or defects', 'poor audio quality', and 'the need to add customized functions for efficient classes'. In practice, zoom video lectures must be supplemented with automatic attendance processing, convenient data upload and download, and more efficient video screen management. Given the recent increase in online classes, we, as instructors, must develop teaching activities and/or strategies for video lectures that can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by learners.

An Optimality-Theoretic Analysis of 'It'-Extraposition in English

  • Khym, Han-gy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58-64
    • /
    • 2018
  • The Extraposition phenomenon in English has been analyzed mainly through two approaches: a derivational approach under the Principles & Parameters framework (P&P) and a representational approach under the early Minimalist framework (MP). The first one trie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as a result of the movement of a Big Subject first to the end of a sentence which is then followed by the insertion of an expletive 'it' to the empty Subject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ne tries to understand it by way of assuming a Big Subject originally base-generated at the end of a sentence which is followed by the insertion of an expletive 'it' to the empty Subject position. The two approaches, however, are not free from theoretical defects at all: the full derivational approach was under controversy in terms of (1) the failure of the Binding Theory and (2) its inability to suggest anything about the marginal reading issue. On the while, the representational approach has been argued (1) to violate the thematic hierarchy that should be kept in D-structure, and (2) to be also unable to suggest the slightest difference in marginal reading issue as the first one. In this paper I focus mainly on analyzing the 'It'-Extraposition phenomenon in the Optimality Theory. I will show that by way of (i) some newly developed constraints such as Subj., and AHSubj. and (ii) a constraint hierarchy of Subj.>>AHSubj., the controversies of 'It-Extraposition' such as (1) the analysis of construction and (2) the very closely related issue of 'marginal reading issue' can be explained properly.

소리 내어 읽기가 유학생의 영어 정형화 배열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ding Aloud on International Students' English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 이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341-348
    • /
    • 2022
  • 정형화 배열이란 연속적이거나 연속적이지 않은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되는 어휘 덩어리이다. 정형화 배열은 언어 발달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형화 배열의 습득 여부가 언어 발달의 성패를 좌우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학생들의 정형화 배열 학습방안으로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제안한다. 서울 소재 대학의 교양 영어 수업을 듣는 유학생 41명을 대상으로 소리 내어 읽기 활동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15주간 동영상 수업과 줌 실시간 수업을 병행하여 진행하였고, 교재는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을 이용하였다. 동영상 수업에서는 교사가 쉬운 한국어로 영화 대본을 해석하였고 정형화 배열을 소리 내어 읽기를 하였다. 학생들은 과제로 정형화 배열이 포함된 문장을 소리 내어 읽고 녹음하여 제출하였다. 실시간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동영상 수업에서 학습한 정형화 배열을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하였다. 사전 평가 대비 사후 평가에서 정형화 배열 해석하기와 쓰기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있었다. 설문에서는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아동의 TV 시청 시간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책 읽기 시간의 조절 효과 (Moderating Effect of Book Read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V Viewing and Creativity)

  • 이현아;강현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93-500
    • /
    • 2023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TV 시청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동의 TV 시청이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책 읽기 시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0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만 9세 아동의 TV 시청 시간, 책 읽기 시간, 초등 도형 창의성 검사(K-FCTES)에서의 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TV 시청 시간과 창의성 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아동의 책 읽기 시간과 창의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TV 시간은 아동의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아동의 책 읽기 시간은 이 관계를 조절하였다. 본 연구는 출생과 함께 다양한 미디어에 노출되어 디지털 네이티브로 성장하고 있는 오늘날의 아동의 창의성 발달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미디어 노출의 부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고 그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요인으로 책 읽기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출판 플랫폼으로서의 도서관 - 독립출판을 통해 바라본 출판과 도서관의 상생 - (A Library As a Publishing Platform - on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es and publishers -)

  • 정준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1-51
    • /
    • 2018
  • 출판 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그 활로로 도서관을 상정하였다. 그러나 도서관이 단순히 독서문화진흥의 촉매로서 출판 산업을 부흥시킬 수 없음을 전제하였다. 차라리 독자가 중심이 되고 도서관을 생산기지로 하는 독자들의 적극적인 생산과 수요를 출판이 수용함으로써 출판콘텐츠의 확대 재생산 체제를 출판 진흥의 모델로 제시하였다. 그 과정에 도서관/출판 협업 (협동조합) 형태의 독립출판 플랫폼을 설계하였고 그 유통과 재생산 모형을 제안하였다.

Development of Retina Healthcare Service System Using Smart Phone

  • Park, Gi Hun;Han, Ju Hyuck;Kim, Yong Su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227-237
    • /
    • 2019
  •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Retina Healthcare Service System through which the patient himself/herself can manage his/her retina health. In the case of conventional portable ophthalmic cameras, patients cannot check their eye health on their own because most of them are used by doctor in environments where ophthalmography cannot be performed properly. This system consists of web, app and camera modules, and when a patient mounts a camera module for fundus photography on his / her smart phone and then photographs his / her fundus through the app, the image is transmitted to a server, and the transmitted image reads the fundus the patient's fundus image status in the fundus image reading model learned using deep learning. When the doctor expresses his/her opinions about the patient 's eye condition based on the reading result and the fundus photograph, the patient can check through the app and judge whether to receive ophthalmologic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