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culture promotio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외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평가와 개선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Policy for Reading Promotion)

  • 정일권;조윤경;채영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69-190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외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평가를 통해 독서 문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독서진흥 정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독서문화진흥법"을 중심으로 국내 독서진흥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해외 독서진흥 정책은 인프라 구축, 세제 지원법, 캠페인으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 작업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정책에 대한 인지 정도, 독서진흥에 기여정도, 여론지지 정도, 정책 시행의 현실성 등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정책의 대상이자 독서를 하는 일반인들의 의견도 수렴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가 교육적 도구가 아닌 즐거움의 도구라는 인식의 전환과 그러한 독서 문화 정착을 위한 사회적 캠페인을 활성화할 필요성을 확인했다.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독서문화진흥사업에 대한 실증적 평가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roject of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 차성종;강지혜;배경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73-303
    • /
    • 2019
  • 본 연구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시행한 어린이·청소년 대상 독서문화진흥사업을 종합적으로 평가·분석하고, 향후 추진하는 독서문화진흥사업의 개선방안과 새로운 추진전략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설문조사,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 등의 연구방법 및 분석기법을 통해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수행한 9개 주요사업에 대한 실증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총 9개 사업 중에서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할 사업 4개, 일부 개선 및 방향 전환이 필요한 사업 3개, 사업의 지속 여부를 재검토해야 할 사업 2개 등의 3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또한, 사업에 대한 평가 결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수행해나갈 독서문화진흥사업의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다매체시대 어린이 독서운동과 공공도서관의 역할 (The Promotion of Reading Books for Children and the Role of Public Library in the Age of Multi-Media)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61-286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매체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어린이들에게 독서는 어떤 의미이며, 그들의 특성과 독서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고 나아가 독서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행해져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일고있는 어린이 독서운동의 국내외적인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우리나라의 어린이 독서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어린이와 책을 연결해주는 매개자로서의 소임을 다해야 하며, 공동체 문화의 형성과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한 방법으로 공공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세대를 이어주는 이야기문화를 부활시켜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열악한 어린이 독서환경 개선을 위해서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어린이도서관'을 설치하는 데 힘써야 하며. 학계와 도서관협회 및 도서관 현장에서는 어린이 독서운동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끌어갈 주체인 어린이 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해 교육적,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 한다.

  • PDF

Effects of Cultural Teaching through Movies in English Classes on EFL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glish Reading

  • Baek, Ji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177-182
    • /
    • 2020
  • In the age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mmunicating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s significantly important. Regarding this perspective, communicative competence has been the focus in the EFL educational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using movies in a culture-integrated English reading course at the college leve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pre- and post-reading comprehension tests, pre- and post-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using movies in the culture-integrated English reading class positively affected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towards English reading as well as their reading achievement. In this respect, we suggest that cultural teaching through movies in English classes should be learner-centered so that learners can proactively analyze and understand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shown in the movies and build schemas which can be used in their learning process.

독서문화진흥 정책에 기반한 공공도서관의 독서 프로그램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Program Improvement Plan of a Public Library Based on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 조미아;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91-21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프로그램의 국내외 우수 사례조사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미래형 도서관의 역할 변화에 부합하는 제3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에 기반한 분석으로 공공도서관 독서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도서관 프로그램의 군집화 기준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다양한 관종 도서관의 프로그램을 군집화 기준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도서관 프로그램의 군집화 기준 및 제3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의 4대 전략 하의 13대 중점과제에 근거하여 특정 공공도서관 독서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이용자의 수요를 고려하여 참여형 독서진흥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여 대면 도서관 서비스를 넘어 비대면, 비접촉 도서관 서비스의 제공도 함께 고려하여 공공도서관 독서 프로그램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과 적용의 시도는 궁극적으로는 단위 도서관을 넘어서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이용자의 삶에 밀착한 도서관 프로그램으로 개선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자치단체의 독서진흥조례 내용분석 (A Study on Content Analysis of the Reading Promotion of Ordinance in Local Governments)

  • 홍은성;장우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07-135
    • /
    • 2015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자치법규인 독서문화진흥을 위한 조례의 제정과 시행에 대한 현황과 내용을 조사 분석한 후 조례와 규칙의 운영에 대한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관련 조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1) 전국 245개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가 운영 중인 독서관련 자치법규는 조례가 77건, 규칙이 7건으로 나타났다. 2) 지자체와 교육지자체의 조례와 규칙명칭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3) 조례와 규칙의 명칭에 따라 내용의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같은 조례 규칙의 명칭을 부여하고 있음에도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4) 현재까지 폐지된 지자체 독서관련 자치법규는 조례 10건, 훈령 2건으로 나타났다. 이에 독서문화진흥정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1) 독서진흥정책 홍보를 통한 인지도를 개선해야 한다. 2) 지자체의 독서진흥의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자치법규 조례명칭을 부여해야 하며, 조례 규칙의 내용은 통일성을 가져야 한다. 3) 조례는 폐지하기에 앞서 폐지 후 나타난 문제점을 면밀히 살펴본 후, 주민들이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대체 자치법규를 제정하여야 한다.

독서관련 자격증 운영 현황 분석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alysis of Reading Related Qualifications and Management Plan)

  • 황금숙;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91-32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독서관련 자격제도를 살펴보고, 독서관련 자격증의 발급 현황과 교육과정을 면밀히 조사 분석한 결과, 278개 과정의 독서관련 자격증은 모두 민간 비공인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내용의 질적 제고의 노력과 체계적인 관리체계가 요구되었다. 이를 토대로 민과 관이 협력하여 독서관련 자격증의 질적 제고를 위한 운영방안을 제시하고, 독서문화진흥 정책의 참고자료로서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 연구 (The Contribution Strategy of Public Library to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20
    • /
    • 2015
  • 이 연구는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공공도서관이 수행하는 업무와 지역문화발전의 상의적 수수관계를 바탕으로 기여도를 평가하고 한계를 적시하였다. 이어 공공도서관과 밀접한 지역문화를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대중문화, 여가문화로 구분하고 이들의 발전과 진흥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기여전략(장서개발과 이용서비스 중심의 핵심역량 제고, 디지털 정보해득력 교육 지원기능 강화, 독서생활화를 위한 독서촉진과 저변확대, 평생학습(문화)프로그램 제공서비스의 최적화, 시설 공간의 개방화 및 친숙성 증대, 지역 유관기관과의 연계 협력사업 확대)을 제안하였다.

On a Reading Aloud to Relieve the Decrease in Blood Oxygen Saturation when Jogging

  • Tian, Zhixing;Bae, Myu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95-100
    • /
    • 2020
  • Recently, the problem of hypoxia caused by jogging is attracting atten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d a new solution. This paper proved that as a vocalization method of reading aloud, it is possible to increase air intake and activate lung function to exchange more air and obtain more oxygen. Then, blood oxygen saturation was used as an evaluation index for the body's oxygen content level to prove its effectiveness. A photoelectric pulse oximeter developed on the basis of different light absorption principles in blood was used to test blood oxygen satur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 certain degree of hypoxia is induced when a lot of oxygen is required due to jogging. Therefore, it was proved that the new vocal breathing method by reading books can increase the blood oxygen saturation of the body and improve the hypoxia of the body. Reading vocal breathing is a simple and efficient oxygen saturation recovery breathing method.

EFL Colleg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during Film-based Reading Class: Focused on the Analysis of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 Baek, Ji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49-55
    • /
    • 2019
  • In the age of information, newly produced knowledge is mostly written in English. Therefore, there has been a strong demand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in the EFL context. However, most EFL learners possess a lack of interest and motivation in the text-based reading class. In this educational context, film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aterials in English reading classes considering that modern learners are predominantly familiar with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EFL learners experienced in the film-based reading class.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class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they used during the clas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interpret the EFL learners' experiences in the classroom, a coding system consisting of five categories was developed: report, emotion, reflection, evaluation, future plan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use of movies in English reading classes had positive effects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inference of word meaning. The most frequently used learning strategies were affective strategies which helped them control their emotion, attitude, motivations and values, whereas memorization strategies were rarely used.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e of movies in the EFL reading classroom encourage students' attention and help them obtain and activate schema which is useful in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ext-based reading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