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er

검색결과 1,452건 처리시간 0.033초

RFID 시스템을 위한 계층적 구조 기반의 리더 충돌 방지 알고리즘 (A Reader Anti-Collision Algorithm based on Hierarchical Structure for RFID Systems)

  • 오정석;황준호;강유철;이정희;유명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0B호
    • /
    • pp.885-893
    • /
    • 2008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리더들이 동시에 동일한 태그의 인식을 시도하는 경우 리더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리더 충돌은 RFID 시스템의 태그 인식 효율성 및 인식 속도를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리더 충돌 방지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리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관리 리더와 보조 리더로 구성된 계층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관리 리더가 보조 리더를 관리하여 리더 충돌을 방지하는 계층적 구조 기반의 리더 충돌 방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모의실험을 수행하였고, 리더 충돌 확률 및 태그 인식 시간 등에 대한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RFID 시스템에서의 리더 충돌 방지를 위한 개선된 유전자 알고리즘 (An Enhanced Genetic Algorithm for Reader Anti-collision in RFID System)

  • 서현식;이채우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5호
    • /
    • pp.85-94
    • /
    • 2008
  • RFID 리더는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리더들과 같은 주파수 혹은 인접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경우 서로 간섭을 일으킨다. 이는 리더간 충돌을 야기하여 태그의 정보를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이런 리더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RFID 국제 표준이 규정되고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리더간의 간섭은 간섭을 일으키는 리더간의 거리,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의 RFID 리더충돌 방지 알고리즘은 리더간 간섭에 큰 영향을 미치는 리더의 위치에 대한 고려 없이 리더 충돌시 주파수를 옮기거나 TDM(Time Division Multiplex)을 기반으로 충돌 확률에 따라 프레임의 크기를 변경하여 리더의 충돌을 줄인다. 본 논문에서는 좀 더 효과적으로 리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리더의 위치를 반영하는 2차원 유전자를 사용한 유전자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2차원의 유전자를 사용하여 진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리더간 간섭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의 위치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리더 충돌을 줄일 수 있도록 최소한의 간섭을 갖는 최적의 채널 할당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제안하는 알고리즘내의 교정(Repair)연산을 통해 모든 리더가 안정적으로 태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컴프레시브 수신기가 내장된 RFID 리더의 채널 충돌 회피 성능 분석 (Analysis of Channel Collision Avoidance Performance of RFID Reader with Compressive Receiver)

  • 조원상;박동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01-50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컴프레시브 수신기가 내장된 RFID 리더의 주파수 충돌 회피 성능을 분석하였다. 다수의 밀집 리더가 동시에 운영되는 환경에서 기존 RFID 리더의 인식률과 컴프레시브 수신기가 적용된 우리가 제안하는 RFID 리더의 인식률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제안된 RFID 리더의 인식률은 기존 리더에 비해 2.7배 정도 개선되었고, 특히 제안된 리더들로만 운영되는 환경에서는 인식률의 저하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Band Shifted Ubiquitous-ID Reader Platform 연구개발 (A Study on the Band Shifted Ubiquitous-lD Reader Platform)

  • 박경환;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045-1048
    • /
    • 2005
  • 본 논문은 현재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UHF 대역의 다양한 Tag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Reader의 설계 및 구현을 위한 것이다. RFID Reader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UHF 대역에서의 Class를 지정하고, 하드웨어를 제어함으로서 UHF 대역 Tag들을 인식할 수 있다.

  • PDF

UHF 대역 멀티밴드 RFID Reader 기술연구 (A Study on the RFID Reader using Multi-UHF band)

  • 박경환;김영길;조위덕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67-69
    • /
    • 2005
  • This paper i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eader which can recognize the tag of the band that we do not become internationally the standardization. RFID Reader uses the software and specifies the class of UHF band. And then, it can recognize UHF band tags controlling the hardware.

  • PDF

비접촉 ID 카드 시스템을 위한 리더 설계 (The design of reader for contactless ID card system)

  • 진인수;양경록;류형선;김양모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199-202
    • /
    • 2000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s a technique which is used for identifying different types of objects and tracking people and animals. Passive RFID consists of reader, a passive tag. The reader transmit energy to a tag and read information back from tag. The tag is energized by a carrier frequency which is transmitted by the reader and transmit information back to the reader. In this paper, the circuit for read and write RFID system is presented. The presented RFID system adopts 125kHz carrier frequency, backscattering and PSK for communication method.

  • PDF

다중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RFID 리더 프로토콜 성능 분석 (Performance of Multiple Coordinators-based RFID Reader Protocol)

  • 이세희;양훈기;양성현;강봉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247-2256
    • /
    • 2011
  • 본 논문은 수동형 RFID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리더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코디네이터 기반 리더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리더 스스로 임의의 슬롯을 선택하여 통신하는 기존방식과는 달리 제시한 프로토콜에서는 코디네이터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리더에게 중복되지 않게 슬롯을 할당하고 현재 슬롯 번호를 전송하여 해당 슬롯을 할당받은 하나의 리더만 통신하도록 한다. 제안된 방식은 다중 코디네이터 환경을 구축하여 광역 환경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리더 충돌 문제는 주파수 배치(Frequency planning)를 적용하여 보완한다. 제안한 방식이 기존 방식에 비해 3~5배의 성능 향상을 보임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900MHz 대역용 휴대용 RFID 리더 (Portable RFID Reader for 900MHz Band)

  • 강봉수;김흥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102-11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UHF대역 중 900MHz 대역에서 동작하는 휴대용 RFID 리더를 설계하고 제작하여 그 제반 특성을 측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의 분석은 EPC Global에서 제안한 EPC Class 0 표준을 기준으로 수행되었다. 제안하는 RFID 리더는 약 11kbps의 속도로 태그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RF 최대 출력은 20dBm이다. 제안된 휴대용 RFID 리더는 초당 최대 68개의 태그를 인식할 수 있으며, 리더의 출력 전력이 20dBm인 경우 최대 인식 거리는 30cm 이다. 그리고 전체적인 크기는 $71mm{\times}55mm$로서 상용 제품과 비교했을 때 최대 90%, 최소 14% 감소된 것이다.

LLRP를 지원하는 R1000/R2000 겸용 RFID 리더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1000/R2000 based RFID Reader Which Supports the Low Level Reader Protocol)

  • 배성우;유원상;곽호길;정명섭;박준석;성영락;오하령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2B호
    • /
    • pp.279-286
    • /
    • 2010
  • RFID 리더 프로토콜은 RFID 리더와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의 상위 호스트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현재의 리더 프로토콜은 리더 제조업체별로 상이하여 이기종의 리더들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리더들 간의 호환성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PCglobal의 LLRP(Low Level Reader Protocol)을 지원하는 리더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리더를 두 개의 모듈로 나누어 설계하였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도록 설계하였다. LLRP는 임베디드 리눅스 환경에서 멀티 쓰레드를 이용해 구현하였으며, LLRP의 대부분의 기능을 지원하고 다양한 요구에 맞출 수 있도록 유연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조로 설계하였다.

3Cm 이내의 잡음 공간 속 기계 ID 인식을 보장하는 초소형 13.56[MHz] RFID Reader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very small 13.56[MHz] RFID Reader ensuring machine ID recognition in a noise space within 3Cm)

  • 박승창;김대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0호
    • /
    • pp.27-34
    • /
    • 2006
  • 본 논문은 3[Cm] 이내의 Tag-to-Reader 잡음 공간에서도 기계 ID 인식을 정확하게 보장하는 초소형($1.4{\times}2.8[Cm^2]$) 13.56[MHz] RFID Reader를 구현하였다. 그 RFID 시스템의 작동을 위하여, 먼저, 본 논문은 13.56[MHz] RFID Air Interface ISO/IEC 규격을 따르는 전파 전파에서 후방 산란의 페이딩 모델과 Loop Antenna를 설계하였고, 다음으로 초소형 RFID RF 이슈들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자동으로 경로 선택된 RF 스위칭 회로와 펌웨어의 작동 관계를 제안하였으며, 끝으로, 초소형 Reader의 본체로서 국제표준규격 ISO/IEC 18000-3이 정의한 13.56[MHz] RFID 신호의 반송과 동시에 $1{\sim}2$개 기계 ID 정보의 추출과 오류 예방을 위하여 제작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보드와 소프트웨어 기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