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identification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8초

확장된 RNN을 활용한 사람재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son Re-Identification System using Enhanced RNN)

  • 최석규;허문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5-23
    • /
    • 2017
  • 사람의 빈번한 자세 변화, 그리고 background clutter과 occlusion으로 인해 Person Re-identificatio는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비겹침 카메라의 이미지는 어떤 사람을 다른 사람과 구별하기 어렵게 한다. 더욱 나은 성능 일치를 달성하기 위해 대부분의 방법은 특징 선택과 거리 메트릭을 개별적으로 사용한다. 그렇게 차별화된 표현과 적절한 거리를 얻을 수 있고, 사람과 중요한 특징의 무시 사이의 유사성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가 이 문제를 다루는 새로운 방법을 고려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Person Re-identification를 위한 3단 계층네트워크를 갖는 향상되고 반복적인 신경 회로망을 제안하였다. 특히 RNN(Revurrent Neural Network) 모델은 반복적인 EM(Expectation Maximum) 알고리즘과 3단 계층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차별적 특징과 지표 거리를 공동으로 학습한다. 반복적인 EM 알고리즘은 RNN 이전에 연속해 있는 CNN(Convoutional Neural Network)의 특징 추출 능력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자율 학습을 통해 EM 프레임 워크는 패치의 레이블을 변경하고 더 큰 데이터 세트를 훈련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더 잘 훈련시키기 위해 3단 계층 네트워크를 통해 CNN, RNN 및 풀링 계층이 공동으로 특징 추출을 할 수 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비전처리 분야에서 다른 연구자의 접근 방식과 비교할 때 이 방법은 경쟁력 있는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에 대한 다른 요소의 영향은 향후 연구에서 분석되고 평가될 것이다.

팀동일시 수준에 따른 여성 스포츠팬의 동기요인이 재관람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male Fans' Sport Consumption Motivation on Intention to Re-attend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ccording to Level of Team Identification)

  • 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262-27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스포츠팬을 스포츠 마케팅의 세그먼트로 인정하고 마케팅을 펼치기 위한 초기과제로, 여성 스포츠팬의 스포츠 관람동기요인을 규명하고 동기요인 중 동일시수준에 따라 재관람의도와 구전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성 스포츠팬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한 후, 경기장을 찾은 여성관람객을 대상으로 표집이 이루어졌으며, 총 248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스포츠팬의 관람동기요인은 9개의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기술, 성취감, 드라마, 그리고 일상탈출요인이 여성 스포츠팬의 재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여성 스포츠팬의 관람동기 요인 중 구전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수기술, 성취감, 그리고 사회성요인이다. 셋째, 여성스포츠 팬의 관람동기요인 중 재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동일시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여성 스포츠 팬의 관람동기요인 중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동일시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중풍 환자의 NIHSS에 따른 중풍 변증 분형 분포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IHSS and Distribution of Pattern Identification in Stroke Patients)

  • 김미경;양나래;최동준;한창호
    •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7-53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IHSS and distribution of pattern identifica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 1471 participants from the patients hospitalized for stroke within 4 weeks from April 2007 to August 2009 were included. They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NIHSS score; group 1 for the participants whose NIHSS were less than six, group 2 for seven to fifteen, and group 3 for over than sixteen. And the patients were re-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post-onset interval.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of five pattern identification for each group were investigated. And five pattern identification were re-analyzed according to the deficiency-excess pattern identification. K-W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synthesis, and the result was regarded as significant one, if its p-value was below 0.05. Results : Dampness-phelegm pattern was the most frequent out of five patterns in total participants as well as all the subgroups. In group 3 with more serious neurological deficit, larger proportion of patients in early acute stage was diagnosed as excess pattern including Fire-Heat pattern. On the other side the proportion of Deficiency of Qi and Yin was larger in late convalescent stage of group 3 than in other groups. But noth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Further study including patients with more variant classification with follow-up evaluation is needed to reflect the real characteristics of stroke population.

  • PDF

소비사회의 전개와 한국 세대문화론의 시각 (Debates on the ′Generation Culture′ in the Process of Consumer Society)

  • 송도영
    • 인문언어
    • /
    • 제5권
    • /
    • pp.293-310
    • /
    • 2003
  • This study starts with a remark on the frequent usage of the term 'generation culture' in the explanations of cultural change. The term 'generation culture' itself does have neither a clear meaning nor any academic consensus for its operational definition yet. Depending on intuitions or common senses, in most cases, of everyday lift experience, the tends to designate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cultural layers as composing subsystems of a little broader Korean cultural trend. I tried here to analyze different positions and perspectives in the employment of this term, sometimes with strategic intentions of each social groups. Economic or political positions, for example, are intertwined with the quest of identification concerning 'we' and 'other' grouping dynamic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hich accelerates the speed of cultural re-territorialization. And the role of consumption activity as a kind of cultural indication has gained more weight in that process. This analysis will remind us, also, of the post-modem society's assumption about the space-and-time in transition, and its fluctuation.

  • PDF

보행자 영역 분류를 이용한 보행자 재 검출 알고리즘 (Person Re-Identification Algorithm using pedestrian mask segmentation)

  • 권기범;조남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0-122
    • /
    • 2019
  • 본 논문은 보행자 재 검출 알고리즘, 즉 person Re-Identification 알고리즘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기존의 CNN 네트워크를 이용한 보행자 재 검출 알고리즘의 경우, 실제 감시 카메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보행자 재 검출을 할 경우 주변 환경 조건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잘못 검출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보행자 검출 후 해당 영역에 대하여 보행자 재 검출을 하는데 있어서 배경 부분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경 부분의 영향에 의한 효과를 줄이기 위하여, 보행자 영역 분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행자 영역을 분리한 후, 보행자 재 검출을 수행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 PDF

보행자 영역 분류를 이용한 보행자 재 검출 알고리즘 (Person Re-Identification Algorithm using pedestrian mask segmentation)

  • 권기범;조남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02-104
    • /
    • 2018
  • 본 논문은 보행자 재 검출 알고리즘, 즉 person Re-Identification 알고리즘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기존의 CNN 네트워크를 이용한 보행자 재 검출 알고리즘의 경우, 실제 감시 카메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보행자 재 검출을 할 경우 주변 환경 조건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잘못 검출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보행자 검출 후 해당 영역에 대하여 보행자 재 검출을 하는데 있어서 배경 부분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경 부분의 영향에 의한 효과를 줄이기 위하여, 보행자 영역 분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행자 영역을 분리한 후, 보행자 재 검출을 수행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 PDF

영상 변형을 통한 보행자 재 검출 알고리즘 (Person Re-Identification Method using Image Adaption)

  • 권기범;조남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61-262
    • /
    • 2020
  • 보행자 재 검출 알고리즘, 즉 person Re-Identification 알고리즘은 주어진 영상 내에 존재하는 보행자들 중 특정 보행자를 검출해내는 방법이다. 최근까지 보행자 재 검출 알고리즘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지만 기존의 CNN 네트워크를 이용한 보행자 재 검출 알고리즘의 경우, 실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자 재 검출을 할 경우 주변 환경 조건이나 조명의 조건, 보행자를 촬영한 방향 등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행한다. 이에 따라, 보행자 재 검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조명 등의 조건에 구애 받지 않고 정확한 검출을 할 수 있도록 style transfer를 이용하여 영상을 변형하여 보행자 재검출을 수행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 PDF

효과적인 은퇴설계를 위한 은퇴코칭모델(RE-TIRE)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the Retirement Coaching Model(RE-TIRE) for Effective Retirement Planning)

  • 최현자;조혜진;김민정;이지영;장연주;서우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459-470
    • /
    • 2015
  • 본 연구는 은퇴설계에 코칭기법의 체계적 대화법을 적용하여 은퇴설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은퇴설계를 위한 은퇴코칭모델(RE-TIRE)'을 개발하였다. 문헌검토를 통해 모델초안을 개발하였고, 은퇴설계와 코칭분야 전문가들의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 은퇴코칭모델은 총 5단계로 구성되었다. 첫째, 라포형성과 임파워링으로 구성된 RE(rapport and empowerment)단계는 '관계형성'으로 코치와 은퇴설계를 받으려는 사람 간의 라포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둘째, T(target establishment)단계는 '목표설정'으로 대화의 주제를 선정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셋째, I(identification)단계는 '계획수립'으로 은퇴설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큰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넷째, R(realization)단계는 '실행'으로 계획의 구체적인 수행일정과 방법을 스스로 수립하는 단계이다. 다섯째, E(evaluation)단계는 '평가'로 코칭 세션 동안 느낀 점을 공유하고 향후 계획과 실행방안을 보완하는 단계이다.

New Record of Sillago sinica (Pisces: Sillaginidae) in Korean Waters, and Re-identification of Sillago parvisquamis Previously Reported from Korea as S. sinica

  • Bae, Seung Eun;Kwun, Hyuck Joon;Kim, Jin-Koo;Kweon, Seon-Man;Kang, Chung Ba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9권4호
    • /
    • pp.288-293
    • /
    • 2013
  • A single specimen of the genus Sillago, collected from Gwangyang, Korea, in May 2009, is characterized by XI first dorsal fin spines, 3 or 4 rows of melanophore pattern along the second dorsal fin membrane, and a darkish posterior margin of the caudal fin. Our specimen was identified as Sillago sinica reported as a new species; this identification is confirmed by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sequences, which show that our specimen corresponds to S. sinica (d=0.000) and differs from the congeneric species Sillago parvisquamis (d=0.170). Comparisons of Korean specimens previously reported as S. parvisquamis with specimens of S. sinica show that the S. parvisquamis specimens are actually S. sinica. We propose the new Korean name "buk-bang-jeom-bo-ri-myeol" for S. sinica.

사람 재인식을 위한 개선된 PersonNet (Advanced PersonNet for Person Re-Identification)

  • 박성현;강석훈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166-1174
    • /
    • 2019
  • 이 논문에서는 사람 재식별 모델인 PersonNet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한다. 특징점 추출을 위해 인셉션 레이어를 접목하여, 기존 32개의 특징점을 154개로 증가시켜 강화하였다. 또한, PersonNet에서 사용하는 CND 방식을 수정하여 비대칭성을 완화하였고, 보행자 이미지의 특징점을 3부분으로 나누어 가중치를 적용한 방법을 적용하여 특징을 더 뚜렷하게 파악하도록 하였다. 성능 평가를 위해 CUHK01, CUHK03 그리고 Market-1501 3가지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고 실험 결과 27~31% 성능이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