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the Retirement Coaching Model(RE-TIRE) for Effective Retirement Planning

효과적인 은퇴설계를 위한 은퇴코칭모델(RE-TIRE) 개발 연구

  • 최현자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
  • 조혜진 (인천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
  • 김민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이지영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장연주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
  • 서우경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5.10.13
  • Accepted : 2015.11.10
  • Published : 2015.12.28

Abstract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retirement coaching model for effective retirement planning by applying systematic conversation of the coaching technique. A draft of the retirement coaching model was complemented by the validity verification of experts. The retirement coaching mode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step, rapport and empowerment(RE), consists of sharing the image of a happy retirement after establishing a rapport between the coach and the people wanting to prepare for retirement. The second step, target establishment(T), consists of setting the theme and goals of the conversation. The third step, identification(I), consists of developing a retirement plan for achieving the established goals. The fourth step, realization(R), consists of establishing a concrete schedule and a method of retirement planning. The fifth step, evaluation(E), consists of sharing impressions during coaching sessions, which facilitates future action plans.

본 연구는 은퇴설계에 코칭기법의 체계적 대화법을 적용하여 은퇴설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은퇴설계를 위한 은퇴코칭모델(RE-TIRE)'을 개발하였다. 문헌검토를 통해 모델초안을 개발하였고, 은퇴설계와 코칭분야 전문가들의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 은퇴코칭모델은 총 5단계로 구성되었다. 첫째, 라포형성과 임파워링으로 구성된 RE(rapport and empowerment)단계는 '관계형성'으로 코치와 은퇴설계를 받으려는 사람 간의 라포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둘째, T(target establishment)단계는 '목표설정'으로 대화의 주제를 선정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셋째, I(identification)단계는 '계획수립'으로 은퇴설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큰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넷째, R(realization)단계는 '실행'으로 계획의 구체적인 수행일정과 방법을 스스로 수립하는 단계이다. 다섯째, E(evaluation)단계는 '평가'로 코칭 세션 동안 느낀 점을 공유하고 향후 계획과 실행방안을 보완하는 단계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5 고령자 통계, 2015.
  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Economic Surveys Korea, June, 2014.
  3. J. Petkoska and J. Earl,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retirement planning," Psychology and Aging, Vol.24, pp.245-251, 2009. https://doi.org/10.1037/a0014096
  4. 서우경, "크리스천 코칭과 상담의 비교 및 통합적 적용에 대한 효과성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8권, pp.33-60, 2009.
  5. P. Williams and D. C. Davis, Therapist as life coach, WW Norton Company, 2007.
  6. http://www.coachfederation.org
  7. http://www.kcoach.or.kr
  8. G. Collins, Christian Coaching, Colorado Springs, Nav Press, 2001.
  9. J. Whitmore, Coaching for Performance, Nicholas Brealey Publishing, London, 1992.
  10. M. Cook and L. Poole, Manager's Guide to Effective Coaching, McGraw-Hill, 2011.
  11. 조성진, 송계충, "코칭 효과 연구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3권, 제1호, pp.27-74, 2010.
  12. The International Center for Management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http://cmoe.com
  13. 박수선, 강기정, "부모교육실천을 위한 부모코칭 모형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모교육연구, 제 5권, 제2호, pp.27-55, 2008.
  14. 노명숙, 김순옥, "학습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4호, pp.89-107, 2011.
  15. 김혜연, "건강가정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팀 성과행동 코칭모델을 이용한 가정의 건강성 측정 척도 개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51권, 제3호, pp.321-331, 2013. https://doi.org/10.6115/fer.2013.51.3.321
  16. 김혜연, 곽인숙, 홍성희, 김성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라이프코칭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7권, 제4호, pp.19-30, 2009.
  17. 김혜연, "건강가정사 역량강화 코칭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2권, 제1호, pp.101-115, 20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1.101
  18. 민세홍, 김미영, 정현옥, "자기주도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진로. 학습코칭 시스템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69-194, 2010.
  19. 박계신, "예비특수교사 교육실습을 위한 동료 코칭 모형 개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47권, 제2호, pp.1-19, 2008.
  20. 우수명, 장영철, "경영자의 코칭역량모델 개발 및 요구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5530-5540,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11.5530
  21. 양석균, "중소기업의 역량모델 개발 실증연구," 경영컨설팅리뷰, 제1권, 제1호, pp.179-200, 2010.
  22. 나현숙, 권영대, 노진원,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의사코칭 모델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331-34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331
  23. 나현숙, 권영대, 노진원, 정이다, "의사코칭 프로그램의 만족도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895-90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95
  24. 김정현, 박주영, "우리나라 소비자의 은퇴설계실행능력과 영향요인,"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17-129, 2013. https://doi.org/10.5934/KJHE.2013.22.1.117
  25. 차경욱, 박미연, 김연주, "20, 30대 임금근로자의 은퇴재무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49-163, 2008.
  26. F. F. Fournies, Coaching for Improved Work Performanc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87.
  27. D. C. Kinlaw, Coaching for Commitment: Managerial Strategies for Obtaining Superior Performance, San Diego, CA: University Associates, Inc., 1989.
  28. T. G. Crane, The Heart of Coaching : Using Transformational Coaching to Create a High-Performance Coaching Culture. Sandiego, CA: FTA Press, 1998.
  29. J. E. Auerbach, Cognitive Coaching. In D. Stober and A. M. Grant(Eds.), Evidence-Based Coaching Handbook: Putting Best Practices to Work for Your Clients, New York, NY : Wiley, pp.103-128, 2006.
  30. http://www.koreacoach.com
  31. 이희경, 코칭입문, 교보문고, 2005.
  32. 이소희, 멋진 응원 코칭, 신정, 2008.
  33. 조성진, 코칭ABC, 심포지움 출판사, 2008.
  34. E. L. Deci and R. M. Ryan,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Vol.11, No.4, pp.227-268, 2000.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104_01
  35. J. LeSure, Financial Coaching: bridging the gap between financial knowledge and financial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Ball State Uniersity, 2014.
  36. 탁진국, 임그린, 정재희,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3권, 제1호, pp.139-16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