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s.

검색결과 13,626건 처리시간 0.058초

해삼의 항위염, 항위궤양 및 항헬리코박터 효과 (The Effects of Sea Cucumber as an Anti-gastritis, Anti-gastric Ulcer, and Anti-Helicobater)

  • 오홍근;문대인;김정훈;강영례;박정우;서민영;박상훈;강양규;최충현;박인선;김주;유강렬;설으뜸;김옥진;이학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05-611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SD rat과 Mongolian gerbil에서 실험적으로 HCl-ethanol(150 mM HCl+60% ethanol)을 투여하여 급성 위염을 유발하고, $H.$ $pylori$ 감염시켜 만성 위염, 위궤양을 유발한 후, 건해삼을 투여하여 건해삼에 의한 항위염, 항위궤양 효과 및 $H.$ $pylori$ 감염 경향성 및 치료율을 검토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7주령 SD rats와 $H.$ $pylori$에 감염시킨 7주령 Mogolian gerbils를 정상군(Nor, n=6)과 대조군(Con, 60% HCl-ethanol+증류수(vehicle), n=6)에 비하여 실험군 I(DSD I, 60% HCl-ethanol+건해삼 30 mg/kg, n=6), 실험군 II(DSD II, 60% HCl-ethanol+건해삼 100 mg/kg, n=6), 실험군 III(DSD III, 60% HCl-ethanol+건 해삼 300 mg/kg, n=6)에서는 건해삼 투여 용량에 따른 항위염, 항위궤양 및 항헬리코박터 효과를 육안적 소견, CLO test 및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건해삼이 새로운 위염 및 위손상 치료제와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어유(魚油)섭취가 흰쥐의 간과 뇌조직의 지질과산화물 형성과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성(性)의 차이를 중심으로- (Effect of Dietary Fish Oil on Lipid Peroxidation and Antiperoxidative System in Rat Liver and Brain -Sex-related Differences-)

  • 최경원;박명희;장경숙;조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7-155
    • /
    • 1987
  • 어유(魚油)에 포함된 $C20{\sim}22({\omega}3)$ 지방산을 섭취하였을 때, 간과 뇌조직의 지질과산화물 형성 및 항산화기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등어유를 식이함량에 10%(w/w)되게 조제한 사료를, 70g 외의 암, 수컷의 취에게 주어 3개월간 사육하였다. 이 결과를 ${\omega}3$지방, ${\omega}6$지방, ${\omega}9$지방 및 포화지방과 비교하기 위하여, 다른 4군의 암, 수컷의 쥐들에게 들기름, 대두유, 채종유 및 쇠기름을 각각 첨가한 조제식이를 주어 같은 기간동안 사육하였다.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들 농도가 고등어유군에서 현저히 높은 반면, ${\alpha}-tocopherol$과 환원형 glutathione (GSH)의 양은 낮았다. 이 현상은 암컷에서가 숫컷에서보다 분명히 드러났고, 고등어유군 외의 타군간의 차이는 숫컷에서 약간 보여 졌으나 일관성은 없었다. 모든 식이군의 간조직 GSH농도는 숫컷에서가 암컷에서보다 낮았으나 산화형 glutathione (GSSG) 농도는 식이나 성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뇌조직에서는 식이지방에 따른 지질과산화물과 ${\alpha}-tocopherol$ 농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간과 뇌의 양 조직에서 glutathione peroxidase나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이 식이에 따라 변화는 없었으나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은 숫컷에서가 암컷에서보다 일관성있게 낮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성(性)에 따른 항산화 기능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혔으며, 어유(魚油)를 통하여 C2O 이상의 ${\omega}3$ 다불포화지방산를 섭취할 때, 총 불포화도가 유사하거나 높은 $C18:2({\omega}6)$$C18:3({\omega}3)$ 지방산 섭취시보다 체내에서 많은 지질과산화들을 형성하며, 그에 따른 항산화물질의 소모가 크다는 것이 주목된다고 하겠다.

  • PDF

미나리 추출물의 기억력 손상 억제와 산화스트레스 억제 효과 및 Isorhamnetin 분석 (Inhibitory Effects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Extracts on Memory Impairment and Oxidative Stres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Isorhamnetin in the Extracts)

  • 원범영;신기영;하현지;위지향;윤여상;김예리;박용진;정경옥;성혜미;이형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1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인이 일상생활에서 주로 상용하는 미나리에 대해 기억력 관련 효과와 항산화 효과, 미나리 추출물의 flavonoid 중 isorhamnetin을 분석하여 기능성식품 개발 및 이용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화순미나리 추출물이 28.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나주미나리 추출물 25.11%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SH-SY5Y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DMSO와 비교하여 화순미나리 추출물 37.23%와 나주미나리 추출물 36.68%로 세포사멸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동회피실험 결과 scopolamine 처리에 의해 기억력이 손상된 동물모델에서 미나리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vehicle control보다 latency time이 높게 나타났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화순, 나주, 의령 미나리 추출물 모두 미나리 처리 그룹군 간에도 유의적 차이가 있었고(P<0.05), 화순미나리 추출물이 총 폴리페놀 함량 117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30 mg GAE/g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TBARS 측정 결과 미나리 추출물 $440{\mu}g/mL$의 농도에서 화순미나리 추출물이 50.7%의 억제력으로 가장 높았으며, 나주와 의령미나리 추출물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미나리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중 isorhamnetin을 분석한 결과 표준용액과 미나리 추출물의 머무름 시간이 14분대로 피크 유지시간이 일치하였으며, 동일한 spectrum을 나타내어 정확한 isorhamnetin의 분리를 확인하였다. 또한 LC/MS/MS를 통한 분석 결과 표준용액과 미나리 추출물에서 동일 시간대에 TIC를 확인하였고 precursor ion은 317 $[M-H]^+$ m/z, product ion은 302 $[M-H]^+$ m/z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미나리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와 기억력 개선제로써의 활용 가치를 시사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건강기능성 소재로서 식품산업 분야의 이용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백서 하악골의 기능적 전방위가 악관절 원판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THE SHAPE AND ULTRASTRUCTURE OF THE ARTICULAR DISK OF RAT FOLLOWING POSTURAL HYPERPROPULSOR)

  • 장병천;경희문;성재현;배용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17-932
    • /
    • 1994
  • 백서에 있어서 기능적 전방위 장치가 악관절 원판에 미치는 변화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생후 4주령 부터 3주간 및 4주간 기능적 전방위 장치를 장착한 후 백서의 악관절 부위를 적출하여 광학 및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다음의 소견을 얻었다. 실험 2주군에 있어서 악관절 원판의 전방부 및 후방부 두께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실험 4주군에 있어서 악관절 원판의 두께는 전방부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광학 현미경 소견에서 2주 및 4주실험군의 전방부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섬유아세포의 밀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자현미경 소견 2주군에서 내강이 확장된 RER이 대단히 잘 발달하여 collagen등 세포외 물질의 합성이 왕성한 것으로 추측되는 세포, 내강이 확장되지는 않았으나 RER이 발달하고 free ribosome이 발달되어 세포내 세사의 합성이 활발한 것으로 추측되는 세포, 전형적 인 chondroid cell이 관찰되었으며, 실험군 전방부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내강이 확장된 RER이 발달된 섬유 모세포들의 비율이 높았다. 4주 실험군에서 전방부는 대조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세포밀도가 높았으며 RER 및 free ribosome이 발달된 섬유 모세포 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하악골의 기능적 위치 변화는 관절원판의 부위에 따라 기계적 부하를 변화시키며, 결과적으로 세포수준에서 이에 적응 혹 대응하므로써 형태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집단치료사업에 따른 간흡충증의 역학적 변동에 관한 조사 (Studies on the Epidemiological Change of Clonorchiasis After Mass Chemotherapy in Highly endemic Areas)

  • 주경환;주봉덕;임한종;이준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2권1호
    • /
    • pp.80-93
    • /
    • 1987
  • Mass chemotherapy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in Korea was started in 1982 with 40mg/kg body weight single dose administration scheme of praziquant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current mass chemotherapy project and compare the epidemiological changes in endemic area of Ckmorchis sinensis. This study was performed at Kimhae-city and Samrangjin-eup of Miryang-gun, Kyongnam province, highly endemic area of C. sinensis located southeastern part of Korea from July to October of 1986. The therapy project of Kimhae area was performed in 1984, whereas that of Samrangjin was done in 1985 by stool examination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Parasite Eradication(KAPE) and drug administration of local health centr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s of stool examination from 234 specimens obtained in Kimhae area, the infection rate has decreased to 34.2%from 45.6p in 1983, but the infection rate of C. sinensis from 341 specimens obtained in Samrangjin area did not decrease (58.1%in 1986 490%in 1983). 2) The study in Kimhae area showed that the average EPG decreased remarkably from 4,858 to 1,340 and those classified above the category of heavy infection decreased also from 14.0pp to 1.7%. The study in Samrangjin area showed that the average EPG did decrease drastically from 9,597 to 6,498 and those classified above the category of heavy infection did not go down drastically from 25.2% to 14.2%. 3) The study in Kimhae area showed decrease of Cs.$D._{50}$ in comparison to that in 1983, wheareas Cs.$D._{50}$ in Samrangjin area showed no much difference compared to that in 1983. The intensities of endemicity were represented with the regression equation calculated with the cumulative percentages of EPG count. Regression equation was Y=4.49+1.19 log x in Kimhae area and Y=3.66+127 log x in Samrangjin area. 4) The two stage catalytic model was applied and the calculation lead to the equation $Y=5.33(e^{-0.018t}-e^{-0.016t})$ in Kimhae area and $Y=1.25(e^{-0.010t}-e^{-0.018t})$ in Kimhae area and $Y=125(e^{-0.010t}-e^{-0.050t})$ in Samrangjin area 5) The infection rate of cercaria in P.manchouric-us studied in Kimhae area showed 1.25% which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in previous years, wheareas the infection rate of metacercaria in P. parva studied in the same area this year showed 2.5-20.2/gm of flesh in comparison to 64/gm of flesh in 1983. 6) Data of C. sinensis infection on the reservoir host in Kimhae area showed 4 out of 18 dogs, 1 out of 18 rats and that in Samrangjin area showed 2 out of 18 dogs respectively. 7) Among the inhabitants who were under mass chemotherapy in Kimhae area, 71out of them, upon stool examination, showed infection rate of 66.2% and those classified above the category of heavy infection, 2.4%. In comparison to infection rate of 33.7% and those classified above the category of heavy infection, which is 1.0%, obtained from those not under mass chemotherapy showed higher infection rate and somewhat equal distribution of intensity of infection. The above statements reflect the fact that individual therapy besides mass chemotherapy was prevalent in that area. 8) On the other side, the studies in Samrangjin area showed infection rate of 68.7% and those above the category of heavy infection, which is 6.1%, in comparison to infection rate of 58.3% and those above the category of heavy infection, which is 16.5%, in those not under mass chemotherapy. the above reflects that although a good deal of inhabit-ants were classified under light or moderate infection category, those above the category of heavy infection, yet, numbered a lot, and individual chemotherapy has not been going on.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reinfected inhabitants among those under mass chemotherapy were numerous. Accordingly, the reinforcement of health education should be followed with mass chemotherapy. The facts of high infection rate exemplified by 65% and high number of those above the category of heavy infection in Samrangjin area say that reevaluation of dosage, number of medication and intervals should be necessarily made.

  • PDF

위염 동물모델과 위 벽세포에서 히스타민 경로를 통한 매스틱검(Chios Mastic Gum)의 위산 분비 억제효과 및 기전 연구 (Inhibitory Effects of Chios Mastic Gum on Gastric Acid Secretion by Histamine-Related Pathway in a Rat Model and Primary Parietal Cells)

  • 남다은;김옥경;심태진;이점균;황권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500-1509
    • /
    • 2014
  • 본 연구는 위 벽세포 in vitro 실험모델과 알코올로 위를 자극한 in vivo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매스틱 검의 위산 분비 억제 및 위장 점막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위 조직의 병리학적인 관찰을 통하여 효과를 관찰한 결과 알코올로 위를 자극한 군에서 위 점막 조직의 손상과 표면 상피세포의 손실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매스틱 검 50 및 100 mg/kg 투여한 군에서 모두 control 그룹과 비교했을 때 손상이 회복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액 분비량 및 위액 산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알코올의 자극으로 인하여 증가한 위액 분비량과 위액 산도를 매스틱 검이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장 histamine 농도와 그로 인해 영향을 받은 H2r 발현량 변화로 위산 분비 관련 인자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매스틱 검을 투여한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그 농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 벽세포에서 위산 분비 증가와 관련된 수용체인 CCK2r과 $H^+/K^+$ APTase 발현 변화도 역시 매스틱 검의 투여가 효과적으로 발현을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동물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세포 수준에서의 기전 규명을 위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세포 내 cAMP 농도, $H^+/K^+$ APTase 및 H2r의 발현 변화를 관찰한 결과 매스틱 검의 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들의 발현을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매스틱 검의 위산 분비 억제 및 점막 보호 활성 효과는 형태학적 및 병리학적 관찰, histamine 분비 억제, 수용체 발현 억제효과 등으로 확인한 결과, histamine을 통한 위산 분비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위산 분비 및 위장 점막 손상에 대해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이전 실험 결과들과 동일한 농도에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유리규산에 의하여 자극된 폐포 대식세포의 $H_2O_2$$PGE_2$ 생성 (Production of $PGE_2$ and $H_2O_2$ from Alveolar Macrophage Stimulated by Silica)

  • 이성범;최문주;박원상;이정용;채규태;김상호;김주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513-520
    • /
    • 1994
  • 연구배경: 규폐증은 유리규산분진을 흡입하여 폐의 섬유화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최근 규폐증의 섬유화 기전에 대한 연구에서는 유리규산 입자에 의해 자극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monokine들과 아라킨돈산의 대사산물들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세포막으로부터 아라키돈산과 그 대사산물의 분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아직 유리규산에 의한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그에 따른 아라키돈산 대사산물의 생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유리규산이 직접적으로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PGE_2$의 증가를 유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리규산의 직접적인 자극에 의한 대식 세포의 $H_2O_2$$PGE_2$의 생성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법: 시험관내에서 정상 흰쥐에서 분리한 폐포대식세포에 유리규산을 농도별로 가하여 대식세포에서 생성된 $H_2O_2$를 측정함으로써 대식세포의 활성도를 관찰하였고 그 배양액의 상청액에서 $PGE_2$의 생성을 방사선 면역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 체중 200 gm 흰쥐의 기도내에 유리규산 50 mg을 생리식염수 1ml에 섞어서 주입하고 60일후에 적출한 폐를 조직검사하여 규폐결절 형성을 확인하였고 그 규폐결절을 갖는 흰 쥐에서 분리한 폐포대식세포의 $H_2O_2$$PGE_2$의 생성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1) 실험적 규폐증: 유리규산을 흰쥐의 기도내에 주입하고 60일 후에 양쪽 폐를 적출한 결과 육안적으로 평균지름 0.3 cm의 흰반점(macule)의 병변을 주로 우측폐 상엽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조직학적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대부분의 조직절편에서 규폐결절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규폐결절은 대부분 대식세포와 섬유모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섬유화가 진행되어있었다(Fig. 1A). 편광현미경 관찰하에서는 유리규산입자가 규폐결절내에 고루퍼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1B). 2) 유리규산으로 자극한 폐포대식세포의 $H_2O_2$와 Prostaglandin $E_2$ 생성: 시험관내에서 유리규산 0, 100, 200, $400\;{\mu}g/ml$ 농도로 자극한 폐포대식세포에서 생성된 $H_2O_2$의 양은 각각 12.5, 25.3, 49.1, 70.6 nM/mg protein으로 유리규산 농도에 대하여 용량의존성으로 증가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Fig. 2A). 또 위와같이 유리규산을 0, 100, 200, $400\;{\mu}g/ml$ 농도로 자극한 폐포대식세포의 배양액에서 측정한 $PGE_2$의 양은 각각 6.01, 8.96, 9.58, 10.16 ng/ml로 유리규산농도에 대하여 용량의존성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리규산농도간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ig. 2B). 규폐결절을 가진 흰쥐의 폐포대식세포에서 생성된 $H_2O_2$$PGE_2$의 양은 52.5 nM/mg protein, 15.1 nM/mg protein으로 대조군의 12.5 nM/mg protein, 6.01 ng/ml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Fig. 3). 결론: 위와같은 결과로 저자들은 폐포 대식 세포가 유리규산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자극되어 활성화되면서 $PGE_2$$H_2O_2$를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스테로이드제가 Surfactant Protein A의 유전자 발현과 총단백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ffect of Dexamethasone on Gene Expression and Total Amount of Surfactant Protein A)

  • 임병성;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4호
    • /
    • pp.395-404
    • /
    • 2002
  • 연구배경: SP-A는 surfactant의 분비, 합성 및 재순환에 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Glucocorticoid는 폐의 형태학적 발생을 촉진시키며, surfactant인지질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surfactant B와 C의 축적 및 폐탄성을 향상시킨다. 시험관 내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관찰 한 바에 의하면 glucocorticoid의 투여량에 따라 SP-A mRNA와 SP-A 단백의 총량이 증가하기도하고 감소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험동물 내에서의 SP-A mRNA와 SP-A 단백량에 대한 스테로이드의 효과에 관한 보고는 드물다. 방 법: 저자들은 실험동물 내에서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dexamethasone을 백서에 투여한 후 SP-A의 유전자 발현양상은 filter hybridization방법으로, SP-A 단백량은 double sandwich ELISA 방법으로 각각 검색하여 dexamethasone의 투여양과 투여기간에 따라 실험동물 내의 SP-A 유전자 발현과 총 SP-A 단백량에 대한 dexamethasone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결 과: 1) Dexamethasone 투여량에 따른 SP-A mRNA량은 dexamethasone을 일일 0.2 mg/kg 투여한 지 24시간 경과후에 38.8%가 증가하였다. 2) Dexamethasone투여기간에 따른 SP-A mRNA량은 dexamethasone을 일일 2 mg/kg씩 일주일간 투여 후에 대조군에 비하여 49.7%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3) 폐의 총 SP-A 단백량은 dexamethasone을 일일 2 mg/kg씩 일주일간 투여 후에 대조군에 비하여 373.7%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5). 결 론: 이상의 결과는 실험동물 내 dexamethasone양에 따른 SP-A mRNA량과 총 SP-A 단백량은 소량을 투여하였을때보다는 대량을 투여 하였을 때, 단기간보다는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유의한 증가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분해성 고형물에 흡착시켜 실험동물에 국소 투여한 홀미움- 166-키토산 복합체의 투여량, 기간 및 부위에 따른 조직의 괴사 정도와 양상 (Histological Changes in the Normal Tissues of Rat after Local Application of the Holmium-166-Chitosan Complex attached to Biodegradable Solid Material)

  • 이종석;전대근;조완형;이수용;오정문;김진욱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0-199
    • /
    • 2003
  • 목적: Holmium-166은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간암 치료에서 이미 임상적으로 사용이 보고된 방사성 동위원소이다. 본 연구는 holmium-166-chitosan 복합체를 외과적으로 생체에 투입하여 임상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연구하고, 투여량과 기간, 투여 부위에 따른 조직학적 반응 정도를 정성 및 정량 분석하여 임상적용의 기초로 활용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Absorbable gelatin sponge에 액체상태의 holmium-166-chitosan 복합체를 50 ${\mu}l}$ 도포하여 고형제로 만들었다. 최종 삽입전에 caliberator로 측정한 방사선량은 약 1.5 mCi였다. Wistar종 흰쥐에 외과적 시술을 통하여 대퇴근육 내부와, 그리고 대퇴골에 접하게 holmium-166-chitosan 복합체가 부착된 gelatin sponge를 삽입 후 봉합하였다. 대퇴 근육내와 대퇴골에 투여한 후 2주, 4주, 6주에 육안 및 현미경 소견하에서 조직 괴사의 깊이, 조직 변화의 양상, 삽입된 gelatin sponge의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2주후의 현미경 소견상 holmium-166과의 접촉면에서는 정상 근육세포의 모양을 찾아 볼 수 없을 만큼 심한 괴사 소견을 보였고 근육세포의 퇴화 및 재생, 근육간 부종, 염증세포의 침윤 소견을 보였으며 유발된 괴사의 깊이는 평균 3.3 mm 였다. 대퇴골에서는 holmium-166과의 접촉면에 있는 골피질은 골소강내 골세포의 소실이 관찰되었고 골수강내의 골수 세포도 파괴되고 섬유화 또는 염증성 반응을 보였다. 괴사의 깊이는 평균 2.9 mm 였다. 4주 때 근육에서는 석회화와 보다 심해진 섬유화 소견이 추가 되었고 괴사의 깊이는 평균 3.3 mm 였다. 골조직에서도 골수강의 섬유화가 더 증가되었고 괴사의 깊이는 평균 3.3 mm였다. 경과 관찰 6주 군에는 연부 조직의 위축과 섬유화의 증가, 육아조직의 형성, 염증 소견의 소실 등이 관찰되었다. 결론: Holmium-166-chitosan 복합체를 생체 흡수 가능한 gelatin sponge에 부착시킨 후 실험동물에 삽입한 결과, 실험동물의 사망을 유발하지도 않았으며 상처의 괴사, 염증, 감염 등의 부작용이 전혀 없어, 생체에 외과적 적용이 가능하였다. 유발된 조직 괴사의 범위는 약 3 mm로 미리 예측한 정도에 근접하는 것으로 악성종양 치료에 임상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저산소 상태로 유도된 백서 뇌세포 배양에서 Minocycline의 뇌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Minocycline in Rat Brain Cortical Cell Culture Induced by Hypoxia)

  • 하경아;양범석;김진경;김홍태;하성진;이종원;정혜리;김우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101-1106
    • /
    • 2003
  • 목 적 : 미노사이클린이 in vivo 연구에서 뇌보호 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미노사이클린이 저산소 상태로 유발된 백서 뇌세포 배양에서 고사를 억제하는 뇌보호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임신 18일된 백서의 대뇌피질 신경세포를 배양하여 정상산소 상태군과 저산소 상태군으로 두 군으로 나누고, 정상산소 상태는 5% $CO_2$ 배양기에, 저산소 상태는 1% $CO_2$ 배양기에서 세포 수를 세면서 수일간 처리하여 현미경하에서 충분한 손상이 있다고 판단되면 두 군을 각각 대조군, 미노사이클린 $1{\mu}g/mL$, $10{\mu}g/mL$로 처리한 군으로 나누어서 실험하였다. TUNEL 및 DAPI 염색으로 세포 고사 상태를 통계학적으로 처리하였다. 결 과: 정상산소 상태군에서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 $1{\mu}g/mL$ 투여군, 미노사이클린 $10{\mu}g/mL$ 투여군 3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저산소 상태군에서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 투여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1), 미노사이클린 투여군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정상산소 상태군과 저산소 상태군간의 대조군과 미노사이클린 $1{\mu}g/mL$ 투여군의 비교에서는 정상산소 상태군이 저산소 상태군보다 평균이 낮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정상산소 상태군과 저산소 상태군간의 미노사이클린 $10{\mu}g/mL$ 투여군의 비교에서는 정상산소 상태군이 저산소 상태군보다 다소 평균이 낮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 결 론 : 결론적으로 미노사이클린은 고사를 억제하는 기전으로 저 산소 상태나 정상 산소 상태에서 뇌보호 효과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