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eseed oil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5초

유채 잡종 1세대의 소포자 배양에 의한 배가반수체 집단 선발 및 지방산 조성 분석 (Production of doubled haploid population derived from the microspore culture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F1 generation and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 이지은;박주현;김광수;안다희;차영록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74-81
    • /
    • 2022
  • 유채(Brassica napus)는 배추와 양배추의 자연 교잡에 의해 만들어진 이질사배체 작물(AACC, 2n = 38)로, 유채유를 생산하는 기름 작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올레산 함량이 높은 유채 EMS26 계통과 J8634-B-30 계통의 잡종 1세대 소포자를 이용하여 배양을 실시하였고, 재분화 식물체의 배수성을 검정하고 배가반수체 집단을 선발하여 C18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꽃봉오리의 크기에 따른 소포자 발달 단계를 확인하였으며, 소포자 배 발생 효율이 높은 1핵기 말과 2핵기 발달 단계를 보이는 꽃봉오리 크기는 2.6 ~ 3.5 mm였다. 본 크기의 꽃봉오리만을 이용하여 소포자 배양을 실시하였으며, 배양 10일 후에 구형배와 심장형배가 관찰되었다. 소포자배는 캘러스를 형성하여 2차배로 발달하였으며, 이후 발달된 multilobe로부터 108 계통의 재분화 식물체를 획득하였다. 재분화된 식물체의 배수성은 4배체가 66.7% (72계통)로 다수였으며, 8배체는 27.8% (30계통), 그리고 2배체는 5.6% (6계통)로 확인되었다. 각 배수성에 따른 기공 세포의 크기는 4배체, 8배체, 2배체 각각 25.5 ㎛, 35.6 ㎛, 19.9 ㎛로 나타나, 배수성과 세포 크기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중 4배체 배가반수체 식물체 62계통을 선별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평균 올레산(C18:1) 함량은 72.3%, 리놀레산(C18:2) 11.8%, 리놀렌산(C18:3) 6.2%로 나타났다. 특히 올레산 함량이 가장 높은 계통은 DH22 계통으로 77.6%였으며, 리놀렌산 함량은 DH19계통에서 13.4%로 가장 높았다. 또한 모부본 보다 높은 올레산과 리놀렌산 함량을 보이는 계통은 각각 5개와 14개로 초월 분리(Transgressive segregation) 현상을 보였다. 이렇게 확보된 배가반수체 유전 집단은 유채의 불포화 지방산 생합성 기작 및 관련 유전자 탐색에 활용 가능하며, 올레산 함유량이 높은 계통들은 고품질 유채유 생산 품종 육종 소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채의 품질과 수량 특성에 대한 조합능력 분석 (Analysis of Combining Ability for Quality and Yielding Characteristics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 신동영;권병선;정동수;함영수;이정일;장영석;정동희;박희진;배창휴;현규환;국용인;최갑림;윤영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4-30
    • /
    • 2012
  • 본 품종들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적응한 양질유, 양질막 다수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Erra(female)와 Tower(male)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양질유, 양질박, 다수성 품종으로서 목포51호, 목포52호라는 계통명을 부여하여 지방 적응 연락 시험 및 농가 실증 시험을 거쳐서 장려 품종(내한유채, 영산유채)으로 결정된 품종이다. 특히 본 품종들은 한 조합 내에서 장수, 다분지, 다협, 다립 품종으로 수량 형질이 우수하며, 유질에서 지방산 조성이 극히 양호하며 불량 지방산은 전혀 함유치 않고 양질 지방산인 oleic acid과 linoleic acid이 80% 이상 함유된 양질유 품종이며, 박에서도 glucosinolate가 전혀 없는 무독박 품종이다. 또한 생산력은 전국평균 16~22% 증수된 다수성 성분 육종 품종들이다.

Development of W/O/W Multiple Emulsion Formulation Containing Burkholderia gladioli

  • KIM, HWA-JIN;CHO, YOUNG-HEE;BAE, EUN-KYUNG;SHIN, TAEK-SU;CHOI, SUNG-WON;CHOI, KEE-HYUN;PARK, JI-Y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29-34
    • /
    • 2005
  • W/O/W (water-in-oil-in-water) type multiple emulsion was applied to improve the storage stability of an antagonistic microorganism, Burkholderia gladioli. Encapsulation of microorganism into a W/O/W emulsion was conducted by using a two-step emulsification method. W/O/W emulsion was prepared by the incorporation of B. gladioli into rapeseed oil and the addition of polyglycerin polyriconolate (PGPR) and castor oil polyoxyethylene (COG 25) as the primary and secondary emulsifier, respectively. Microcrystalline cellulose was used as an emulsion stabilizer.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W/O/W emulsion formulation as a microbial pesticide for controlling the bacterial wilt pathogen (Ralstonia solanacearum), the storage stability and antagonistic activity of emulsion formulation were tested in vitro. The storage stability test revealed that the viability of formulated cells in emulsion was higher than that of unformulated cells in culture broth. At $4^{\circ}C$, the viabilities of formulated cells and unformulated cells at the end of 20 weeks decreased to about 2 and 5 log cycles, respectively. At $37^{\circ}C$, the viability of formulated cells decreased to only 2 log cycles at the end of storage. On the other hand, the viable cells in culture broth were not detected after 13 weeks. In activity test, formulated cells in emulsion were more effective in inhibiting the growth of pathogen than unformulated cells in culture broth. Unformulated cells completely lost their antagonistic activity during storage under similar conditions. The W/O/W multiple emulsion formulation was shown to be useful as the novel liquid formulation for biological control.

바이오디젤 보급을 위한 정책 및 시장 현황 (Current Status of Policy and Market for Biodiesel in Korea)

  • 김승수;김기호;신성철;임의순
    • 공업화학
    • /
    • 제18권5호
    • /
    • pp.401-406
    • /
    • 2007
  • 본 총설에서는 국내 바이오디젤 생산과 소비, 품질기준 및 시장현황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바이오디젤의 원료물질은 대부분 대두유와 폐식용유이고 바이오디젤 생산 업체 중 원료물질 다변화를 위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농림부에서도 바이오디젤 국내 생산을 위해 2007년부터 3년간 바이오디젤용 유채생산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06년 7월 이래로 산업자원부와 정유사간 자발적 협약에 의해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경유는 BD0.5이며, 2007년과 2008년에 158400 MT이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자원부에서 바이오디젤 보급 확대를 위해 2012년까지 경유에 혼합되는 바이오디젤을 매년 0.5%씩 확대하여 3%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앞으로 바이오디젤의 보급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Evaluation of Herbicidal Potential of Essential Oils and their Components under In vitro and Greenhouse Experiments

  • Choi, Hae-Jin;Sowndhararajan, Kandhasamy;Cho, Nam-Gyu;Hwang, Ki-Hwan;Koo, Suk-Jin;Kim, Songmun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4호
    • /
    • pp.321-329
    • /
    • 2015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hytotoxic potential of essential oils. For this purpose, 18 essential oil samples extracted from Korean plants and 64 commercial essential oils were screened for their phytotoxic potential against the seedling growth of Brassica napus L. (rapeseed). Among the 82 samples, 11 commercial oils (cinnamon, citronella, clove, cumin seed, geranium, jasmine, lemongrass, palmarosa, pimento, rose otto and spearmint) strongly inhibited the seedling growth with $GR_{50}$ value < $150{\mu}g\;mL^{-1}$. Major components from these effective essential oils were identified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ME/GC-MS). GC-MS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ive samples mainly consist of benzyl benzoate, carvone, citral, citronellol, eugenol, geraniol, D-limonene and terpinene. Subsequently, bioactivity of these individual components was evaluated against the seedling growth of B. napus, Echinochloa crus-galli and Aeschynomene indica. The components from different chemical groups exhibited different potency in inhibiting the seedling growth with varied $GR_{50}$ values ranged from $29{\mu}g\;mL^{-1}$ to > $1000{\mu}g\;mL^{-1}$. In the greenhouse experiment, citral and geraniol completely suppressed the growth of all the tested 10 plants at $100kg\;ha^{-1}$. In conclusion, the individual essential oil components geraniol and citral could be used as natural herbicides for weed management.

각종(各種) 탈지박(脫脂粕)의 영양가(營養價)에 대(對)하여 (A Nutritional Study on Various Defatted Oil-Seed Flours and Mixtures)

  • 박원옥;성낙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8-146
    • /
    • 1974
  • 체중(體重) $47g{\sim}60g$되는 이유직후(離乳直後)의 흰쥐(Splague Dowley) 수컷 60마리를 사용(使用)하여 식이중(食餌中) 단백급원(蛋白給源)을 바꾸어 탈지유(脫脂乳), 대두박(大豆粕), 참깨박(粕), 채종박(菜種粕), 해바라기씨박(粕), 면실박(棉實粕)을 각각 24주간(週間) 투여(投與)하는 동안, 체중(體重)의 변화(變化), 장기중량(臟器重量) 변화(變化), 혈청(血淸) 및 간(肝) 조직내(組織內) 구성지질중(構成脂質中) Cholesterol, Phospholipid, Triglyceride를 정량(定量) 비교(比較) 관찰하였다. 1) 각종(各種) 유종실박중(油種實粕中) 단백질(蛋白質)은 대두박(大豆粕)과 혼용(混用)함으로써 기(其) 질적(質的)인 향상(向上)을 엿볼수 있었으며, 특(特)히 참깨박(粕)과 해바라기씨박(粕)은 식용(食用)으로서 권장할 수 있다고 사료(思料)된다. 2) 채종박(菜種粕)과 면실박(綿實粕) 같이 이미 독성성분(毒性成分)의 함유(含有)가 문제(問題)된 박(粕)에 있어서도, 실험동물(實驗動物)의 혈청(血淸) 및 간(肝) 조직내(組織內) 지방성분(脂肪成分) 함량(含量) 변화(變化)로 보아, 독성작용(毒性作用)은 인정(認定)할 수 없었으며, 이후 더 많은 검토(檢討)가 필요(必要)하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유기자원 사용처방 기준 적용에 따른 토양 질소 무기화 및 유기 벼 생산성 (Effect of Organic Materials Use Recommendation System on Soil N Mineralization and Rice Productivity in Organic Paddy)

  • 이초롱;이상민;황현영;권혁규;정정아;안난희
    • 유기물자원화
    • /
    • 제29권2호
    • /
    • pp.15-23
    • /
    • 2021
  • 본 연구는 질소무기화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유기자원 시비처방 시스템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기 논에서 토양 무기태질소 함량과 벼(Oriza sativa L.)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표준시비량에 준하여 동일 질소량으로 자재를 처리한 2015, 2016년과 달리, 2017년은 유기자원 시비처방 시스템 적용으로 헤어리베치(HV), 호밀+유박(R+OC), 유박 기비(OC-B), 유박 분시(OC-S), 돈분퇴비(PMC), 화학비료(CHM)의 질소 투입량이 107~133 kg/ha로 상이하였다. 처리별로 유기자원 시비처방 시스템을 적용하여 벼를 재배한 결과, 정조 수량은 유박 분시(111%), 유박 기비(110), 호밀+유박(106), 헤어리베치(101), 돈분퇴비(96) 모두 화학비료(100)와 유시한 수준을 보였다. 또한, 정조 수량과 토양 내 누적 무기태질소 함량은 정의 상관관계(R2=0.803*)를 보였다. 유박 처리구(OC-B, OC-S, R+OC)의 작물 질소이용률은 화학비료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개발된 유기자원 시비처방 시스템은 유기 벼 생산에 효과적이었으며, 해당 시스템이 유기 벼 재배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추후 시스템 적용 대상을 다양한 밭작물을 대상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추 역병과 탄저병에 대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방제 효과 (Controlling Effect of Agricultural Organic Materials on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in Red Pepper)

  • 박세정;김가혜;김아형;이호택;권현욱;김주형;이경희;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12
  •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등록되어 있는 농자재 중에서 무기염류, 오일류, 식물추출물, 그리고 키토산 등 총 20종을 선발하여 고추 역병과 탄저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무기물류 중에서 수산화동은 배지상에서 역병균과 탄저병균의 생육을 모두 억제하였고, 아인산은 역병균의 생육만을, 그리고 황/생석회는 탄저병균의 생육만을 억제하였다. 식물정유, 로즈마리오일, 채종유, 그리고 매실/은행 추출물 역시 두 종류 식물병원균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고추 유묘를 이용한 역병 방제효과 검정에서는 4엽기의 유묘보다는 6엽기의 유묘에서 유기농자재의 효과가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수산화동, 황/생석회, 수용성칼슘, 아인산, 식물정유, 정향추출물 등이 80% 이상의 예방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실험에 사용한 모든 유기농자재는 역병에 대해서 치료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열매를 이용한 탄저병에 대한 효과 검정에서도 대부분의 유기농자재는 치료 효과보다는 예방 효과가 우수하였다. 병원균을 무상처 접종하였을 때, 50% 이상의 효과를 보였던 수산화동, 황/생석회, 황산동/생석회, 과망간산칼륨, 식물정유, 채종유, 소리쟁이 추출물, 스테비아 추출물, 키토산 등은 병원균을 상처 접종할 경우 그 효과가 감소하여, 황/생석회, 채종유, 소리쟁이 추출물, 스테비아추출물 등에서만 79.9, 78.1, 66.6, 58.6%의 예방효과가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한 20종의 자재 중에서 수산화동에서만 병원균을 무상처 접종하였을 때, 75.6%의 치료효과를 보였다.

한국산(韓國産) 식물식용유지(植物食用油脂)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채종(菜種), 호마(胡麻) 및 소마유(蘇麻油)의 sterol에 대하여-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Plant Edible Oils and Fats -Part 1. Composition of the sterol fraction of rape, sesame and perilla oils-)

  • 고영수;장유경;이효지;우상규;양저범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2호
    • /
    • pp.44-53
    • /
    • 1977
  • The Korean origin edible oil sterol part of the rape, sesame and perilla oil can be separated from the other constituents of the non-saponifiable fraction, by the thin layer chromatography on the preparative Plates. The composition of sterols have been determined by gas liquid chromatography and thin layer chromatographic anlysis. Two sterols, ${\beta}$-sitosterol and campesterol were present in all of the oils. And brassicasterol were found in rapeseed oil in addition to the two sterols that were common to all of the oils studied. It was noted that ${\beta}$-sitosterol was the major sterol in the Korean original edible oils. The results showed that contents of sterols were campesterol 24.31%, ${\beta}$-sitosterol 58.90% ana Brassicasterol 11.54%, and $\Delta^7$-sterol 5.25% by method of triangulation and campesterol 26.16%, ${\beta}$-sitosterol 57.50%, brassicasterol 11.70% and ${\Delta}^7$-sterol 4.64% by method of Planimetry of rape seed oil. By sesame seed oil sterol compositions were campesterol 20.35%, stigmasterol 9.15%, ${\beta}$-sitosterol 43.49%, ${\Delta}^7$-sterol 11.25% and others 15.76% by method of triangulation and campesterol 16.79%, stigmasterol 8.69%, ${\beta}$-sitosterol 44.58%, ${\Delta}^7$-sterol 14.28% and others 15.56% by method of planimetry. Campesterol 12.45%, stigmasteriol 5.40%, ${\beta}$-sitosterol 72.32% and ${\Delta}^7$-Sterol 9.83% by method of triangulation-and campesterol 13.00%, stigmasterol 3.76%, ${\beta}$-sitosterol 74.57% and ${\Delta}^7$ sterols 8.67% by method of planimetry of perilla oil. Contents of totalsterol in Korean edible oils were 0.82% by rape, 0.58% by sesame and 0.45% by perilla, respectively.

  • PDF

팔마로사 정유의 살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Palmarosa (Cymbopogon martini))

  • 홍수영;최정섭;김성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6-102
    • /
    • 2011
  • 식물 정유로부터 신규 제초제 개발을 위한 살초활성물질을 탐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10종의 식물정유는[basil(Ocimum basilicum), blackpepper(Piper nigrum), clary sage(Salvia sclarea), ginger(Zingiber pfficinale), hyssop(Hyssopus officinalis), nutmag (Myristica fragrance), palmarosa(Cymbopogon martini), fennel(Foeniculum vulgare), sage(Salvia leucantha), spearmint(Mentha spicta)] 등이었으며, 이중 palmarosa 정유가 유채에 대한 살초력이 가장 높았다($GR_{50}$값, $201{\mu}g\;mL^{-1}$). Palmarosa 정유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로는 alpha-humulene, betacaryophyllen, cis-ocimene, citral, dipentene, geraniol, geranyl acetate, myrcene, nerol, terpinolene, transocimene이었다. Palmarosa 정유에는 geraniol(40.23%), geraniol acetate(15.57%), cis-ocimene(10.79%), beta-caryophyllene(8.72%)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geraniol과 citral의 $GR_{50}$값은 각각 151과 $224{\mu}g\;mL^{-1}$로 매우 낮았으며 이들 2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palmarosa 정유의 살초력에 크게 기여했다고 추론된다. 온실조건에서 palmarosa 정유 $80kg\;ha^{-1}$ 경엽처리는 수수, 돌피, 개밀, 바랭이, 자귀풀, 어저귀, 도꼬마리, 메꽃을 완전 방제하였다. 포장조건에서 민들레, 망초, 쇠비름은 $40kg\;ha^{-1}$ 경엽처리에도 모두 100% 방제가 이루어졌으나 질경이의 방제가는 50% 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palmarosa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geraniol과 citral이 살초활성에 크게 기여했다는 것을 시사하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