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eseed oil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초

바이오디젤 원료작물의 기름 및 지방산 특성에 따른 활용방안 고찰 (Review of property and utilization of oil crop for biodiesel)

  • 장영석;김광수;이영화;조현준;서세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25-46
    • /
    • 2010
  • 최근 원유 및 석탄 등의 가격 급등에 따른 에너지 비용이 가중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상승이 예상되어 기업은 물론 개인들도 에너지 사용에 보다 많은 부담을 가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에너지원을 다양화하고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체계 구축이 시급하며, 기후변화협약의 규제에 대응하고 기존 에너지원과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여 차세대 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기술 확보가 절실한 시점이다. 유럽의 경우 바이오디젤 원료 및 공업적 원료로서 식물성 유지확보에 많은 정책적 배려를 하고 있다. 식용 식물성유지의 과잉생산에 따른 폭락과 미국과의 무역마찰을 피하기 위해 농업의 재편을 시도하고 있으며, BHA (Blair House Agreement)를 미국과 맺고 우루과이라운드에 입각한 국산 보조프로그램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였다. 온대지방에서 바이오디젤 연료의 원료로 적합한 유채 기름은 이미 유럽에서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채기름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 중에서 oleic acid 함량이 높아야 겨울철 저온유동점이 영하로 낮아져 바이오디젤을 자동차연료로 쓰기에 유리하다. 중부 이남의 농지에 2모작으로 유채재배가 국내에서 가능할 경우 바이오디젤 원료확보와 동시에 헥타르 (ha) 당 7톤 이상의 이산화탄소 ($CO_2$)저감을 주는 효과가 있으며, 농업분야에서 환경 친화적 바이오에너지 생산이 가능해 지고 농민들의 소득증대와 관상용으로 지역관광 발전에도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몽골지역의 신재생에너지 발굴: 바이오디젤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Source in Mongolia: Biodiesel)

  • 홍연기
    • 융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9-14
    • /
    • 2013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Mongolia has been needed due to climate change and air pollution in Ulaanbaatar as rapid economic growth. Biodiesel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fuel for petroleum based diesel in order to decrease air pollution in Ulaanbaatar because of its no emission of particle materials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automobile. Rapeseed oil having low cloud point and pour point was suggested as a promising raw material for biodiesel production in Mongolia. Considering high population density and severe air pollution by particle materials and SOx in Ulaanbaatar, prior supplying site of biodiesel in Mongolia was the capital region including Ulaanbaatar. In the production of biodiesel in Mongolia, adsorption process was a effective alternative to washing process for the removal of residual alkali catalyst and reactants due to long winter time in Mongolia. For the stable supply of biodiesel, subsidy and no tax policy is needed in the early stage of biodiesel supply in Mongolia.

  • PDF

유채 봄 재배 시 기계이식과 직파 재배시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비교 (Effects of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during Spring Cultivation)

  • 이지은;김광수;안다희;차영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419-427
    • /
    • 2021
  • 유채 봄 재배를 위한 육묘 후 기계이식 재배와 종자 직파 재배시기에 따른 생육량, 종실 수량, 그리고 종자 품질 등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식 유채와 직파 유채의 개화기 차이는 파종 시기가 늦어질수록 더 커졌으며, 2020년 2월 말 파종 방법별 개화기 차이는 12일이었으나, 4월 초 파종 시 23일이었다. 또한, 유채 개화소요 일수는 이식 및 직파 시기가 늦어질수록 짧아졌다. 2. 유채의 결실기 생육 조사 결과, 초장은 기계이식 재배에서 평균 101.6 cm로 유의성이 없으나, 직파 재배의 경우 파종 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여 유의성을 보였다. 종자 결실 비율 또한 4월 상순 기계이식 재배에서 83.6%, 3월 하순, 4월 상순 직파 유채 각각 80.4, 74.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종자 수량은 2월 직파한 유채에서 275.5 kg/10a로 가장 높았으며, 4월 초 직파한 유채에서 34.6 kg/10a로 가장 낮았다. 또한, 2월 말 직파 유채에 비하여 4월 초 직파 유채의 수량은 87.4% 감소하였으며, 같은 시기 이식 유채는 31.8% 감소하여 감소폭이 적었다. 4. 유채 종자의 품질과 관련된 조지방 함량은 기계이식 재배에서는 4월 상순 이식 시 27.8%로 다른 이식 시기에 비하여 15%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3 이식시기 간의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직파 재배는 2월 하순에서 4월 상순까지 직파 시기가 늦어질수록 파종시기에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 이식 유채에서는 이식 시기와 결실 비율, 수량, 올레산 함량, 조지방 함량 간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파 재배 또한 직파 시기와 초장, 꼬투리 생육, 결실비율, 수량, 종자 품질 간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이러한 이식 및 직파 시기에 따른 유채 생육의 변화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파종 시기가 늦어질수록 직파에서 받는 생육 감소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생각된다. 본 결과는 논 안전 재배를 위한 유채 이식 및 직파 재배의 한계 파종일 및 이식일을 설정할 수 있는 자료로써, 재배법 확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식물성 기름의 혼합을 통한 지방산 조성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racteristic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Properties by Blending of Vegetable Oils)

  • 이태성;이영화;김광수;김욱;김관수;장영석;박광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24-632
    • /
    • 2012
  • 본 연구는 주요 구성지방산이 Oleic acid인 유채유, 동백유, 올리브유와 Palmitic acid가 주요 구성 지방산인 팜유를 기준으로 중량비로 혼합하여 지방산 조성 및 물성변화를 관찰 하였다.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50:50(w/w)비율에서는 Oleic acid은 유채유와 대두유의 혼합 시 42.8%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유채유의 혼합비율에서 72.1%로 가장 높았다. 75:25(w/w)유채유와 대두유 혼합비율에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올리브유의 혼합비에서 가장 높았다. 팜유를 기준으로 식물성 유지를 혼합하였을 시에는 다른 유지와 혼합 후 총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혼합 후 지방산 조절을 통한 산화안정성 및 저온에서의 유동성 개선이 기대 된다. 혼합 후 동백유 > 올리브유 > 유채유 순으로 산가 안전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Oleic acid 함량에 따라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혼합을 통한 산화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색도는 비율 및 유지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바이오디젤 생산 정제공정에 있어서 혼합비율 조절에 따른 정제비용 절감이 기대 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지간 혼합에 의한 특성변화를 확인하고, 혼합유의 원료 다양성 확보 및 품질개선을 위한 정보를 얻어 향후 연구수행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EMS-induced Mutagenesis for C18 Unsaturated Fatty Acids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 Lee, Yong-Hwa;Kim, Kwang-Soo;Jang, Young-Seok;Choi, In-H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128-133
    • /
    • 2014
  • Rapeseed (Brassica napus L.) oil with high oleic acid content is of great interest for both food and non-food uses. The 'Tamla' variety, characterized by oleic acid content of approximately 69%, was treated with 1% ethyl methane sulfonate (EMS) to induce mutations in the fatty acid biosynthesis pathway. $M_1$ plants were selfed and subsequent generations ($M_2$, $M_3$, and $M_4$ muta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mutants having increased levels of oleic acid. $M_2$ mutants showed oleic acid content ranging from 13.5% to 76.9% with some mutants (TR-458 and TR-544) having up to 74.7% and 76.9% oleic acid, which was an increase of nearly 5% and 7%, respectively, compared to untreated cv 'Tamla'. We selected two $M_3$ mutants with >75% oleic acid content. One mutant (TR-458-2) had increased oleic acid (75.9%) and decreased linoleic acid (12.5%) and linolenic acid (4.4%) contents. The other (TR-544-1) showed increased oleic acid content (75.7%) and decreased linoleic acid (13.5%) and linolenic acid (3.3%) contents. The accumulation or reduction of oleic acid content in the selected $M_4$ mutants was also accompanied by a simultaneous decrease or increase in linoleic and linolenic acid contents. The high-oleic lines could be utilized further in breeding programs for improvement of rapeseed oil quality.

EFFECTS OF AMMONIATION, IODINATION AND SUPPLEMENTATION OF AVOPARCIN ON THE NUTRITIONAL VALUE OF RAPESEED MEALS

  • Paik, I.K.;Chung, J.S.;An, M.S.;Um, J.S.;Namkung,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4권1호
    • /
    • pp.47-57
    • /
    • 1991
  • Supplementation of iodine at the level of 3.5mg/kg reduced weight gain of the rats fed rapeseed oil meal (ROM) diets. Treatment of ROM with ammonia at the level of 2 or 4% tended to increase metabolizable energy value and availability of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crude ash of ROM in the chicken. Potential goitrin level of ROM was reduced by ammoniation at 6% level, while the level of potential isothiocyanates was increased by ammoniation. Treatment of ROM with ammonia at the level of 3% and above reduced weight gain of the chickens fed treated ROMs. Weight of thyroid glands of the birds increased as the level of ammoniation of ROM increased. Supplementation of Avoparcin to the diets containing ROM improved weight gain and dressing percentage of the broiler chickens.

Hydro-thermal Liquefaction Technology적용 시 유채대를 이용한 Crude oil생산에 미치는 반응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s to Crude Oil Productions with Rapeseed Straw on Application of Hydro-thermal Liquefaction Technology)

  • 신중두;홍승길;권순익;박우균;박상원
    • 유기물자원화
    • /
    • 제18권1호
    • /
    • pp.104-109
    • /
    • 2010
  • 본 연구는 hydrothermal 액화공정에서는 유채대를 사용하여 액화공정 적용 시 반응 온도에 따른 Crude oil 전환효율을 비교하였다. 촉매제로 NaOH 및 KOH와 같은 촉매제를 사용하여 반응온도 $180{\sim}320^{\circ}C$범위에서 $20^{\circ}C$간격으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액화공정 시스템은 외부전기화로, 교반기 및 5,000 mL의 반응기로 구성되어 있다. 반응기에 식물체 잔사 160g, 증류수 2,000 mL 및 촉매제를 혼합하였으며, 촉매제량은 식물체 잔사량의 10%(wt/wt) 를 투입하였다. Crude oil생산량은 반응온도 $260{\sim}280^{\circ}C$에서 약 36%로 나타났으며, NaOH의 경우 반응온도 $300^{\circ}C$에서 전환효율이 NaOH와 비슷함을 보였다. 촉매제별 Crude oil에 대한 발열량 변화는 NaOH를 사용한 경우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열량은 감소하였지만, KOH의 경우 발열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인 주요 지방급원 식품의 지방산 함량 (Fatty Acid Contents in Foods of Major Fat Sources in Korean Diet)

  • 정은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3호
    • /
    • pp.254-267
    • /
    • 1993
  • Fatty acid contents of 59 food items which are major fat sources in Korean diet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EPA and DHA in fish were 0.02-2.66g and 0.02-3.01g per 100g edible portion, respectively. Items with high amount of EPA and DHA were canned Sardine, Mackerel, Mackrel pike, Atka-fish, Hair tail, Conger eel and Herring. But white fish such as Croaker, Gindaro, Flounder and frozen Alaskan pollack contained less than 0.1g of EPA and DHA per 100g edible portion. Other sources of n-3 fatty acid were perilla oil, rapeseed oil, soybean oil and walnuts all of which contained relatively high amounts of linolenic acid.

  • PDF

유채 지방산조성 개량육종에 관한 연구 - 제 16 보 유채 시비수준이 유지함량 및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 (Breeding for Improvement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XVI. Effect of Fertilizer level on the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apeseed)

  • 권병선;이정일;김상곤;채영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8-202
    • /
    • 1984
  • 답리작과 전작 유채재배에서 지방산조성이 개량된 품종을 공시하여 시비량을 달리했을 때의 토양화학적 성질, 종실의 유분함량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분함량은 전작재배에서보다 답리작재배에서 높았고 지방산조성에서는 Palmitic. Linoleic. Linolenic acid함량은 답리작재배에서 높았으며 Stearic과 Oleic acid는 전작재배에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2. 질소시용은 많을수록 함유율이 증가하는 경향이나 15kg/10a 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인산과 가리는 모두 증가할수록 함유율이 증가하였다. 3.양질 지방산인 Oleic+Linoleic acid의 함량은 답리작보다는 전작재배의 경우 평균 2∼5% 더 높아서 유질이며 우수하였다. 4. Ole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은 질소의 증시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이며 인산과 가리에서는 전작인 경우 8kg/10a까지는 증가하나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으며 답리작에서는 인산, 가리의 증시효과가 없었다.

  • PDF

Effect of Sowing Date and Plant Density on Yield of Rapeseed in Autumn Sowing

  • Kwon Byung-Sun;Choi Seung-Sun;Lim Jung-Mook;Choi Gab-Lim;Kim Sang-Kon
    • Plant Resources
    • /
    • 제8권3호
    • /
    • pp.258-262
    • /
    • 2005
  • In autumn, to determine the optimal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f rapeseed in southern areas of Korea, Yudal variety for autumn sowing,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was grown under three different planting dates and five different plant densities.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height, ear length, number of seedling stand per $m^2$, number of branches and pod length were highest at the plots with Sep. 30 of planting date and 30/20 cm drilling of plant density. Yield of seed, oil and 1,000 grains weight were highest at the Sep.30 of planting date and 30/20 cm drilling of plant density. Judging from the results reported above, at optimum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f rapeseed seemed to be Sep.30 of planting date and 30/20cm plant density in autumn sow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