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e flower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식용꽃 추출물이 항산화 및 세포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 유채꽃, 칡꽃, 장미꽃을 중심으로 - (Effect of Edible Flower Extracts on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ies)

  • 전혜경;최남순;박선영;유병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7-76
    • /
    • 2004
  • In order to promote the value of the flowers as new agricultural products,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rape, arrowroot, and rose extracts. Biological activities investigated included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effects on 3T3-L1 fibroblast cells. When each flower was extracted with methanol, the antioxidant index and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roses was the highest $(IC_{50}$ of rose extract was $17.6 \mu{g}/m\ell$). When 3T3-L1 fibroblast cells were treated with extracts made with hexane, ethyl acetate, and ether, the rape extracts had a cytotoxic effect on the cells. 12.2% of cells survived when treated with a 3mg/$m\ell$ ether extract while those treated with the same concentration of hexane and ethyl acetate had survival rates of 76.2% and 78.6% respectively. In contrast to rape, the ether extract of arrowroot and rose stimulated the growth of 3T3-L1 cells. The effect of rose extracts was much bigger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Although every rose extract stimulated the growth of the 3T3-L 1 cells, the ether extract stimulated growth up to 168.6% compared to the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0.3mg/m\ell$, and 148.3% at the concentration of $1mg/m\ell$. The toxicity on cells treated with $H_2 O_2$ of $450\mu{M}l$was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rose extract. The survival rate after treatment with rose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ell$ was increased to 71% compared to the 32% survival rate of control.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xtracts of arrowroot and rose seem to stimulate cells, whereas the extract of rape has a cytotoxic effect. Biological activities of ether extract were the strongest compared to those of other extracts at the tested concentrations.

  • PDF

방사선 처리에 의한 유채의 생육 및 감수성 조사 (Radio-sensitivity Analysis and Selection of Useful Mutants of Rape (Brassica napus L.) by Gamma Irradiation)

  • 고은정;김욱진;김진백;김동섭;김상훈;강시용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77-283
    • /
    • 2010
  • Rape (Brassica napus L.) plants are one of the major oilseed crops. The main components of rapeseed are oil (35 to 47%) and protein (15 to 32%). For the biodiesel production, the development of a new variety of rape plant with high biomass and/or oleic acid contents is requi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dose of gamma-ray irradiation, the rape seeds of cvs. Hanra (Hr), Youngsan (Ys), Tammi (Tm), and Tamra (Tr) were irradiated with a 100~4,000 Gy dose range of gamma-rays. Considering the growth factors, the optimum doses were determined to be within the range of 600~1,000 Gy for the selection of useful mutant lines. Six-hundred and eighty-eight (688) $M_2$ mutant lines were obtained from 600~1,000 Gy gamma-ray-irradiated $M_1$ plants through self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leaf shape, early flowering, and flower color were all investigated. The selected mutant numbers of early flowering, leaf shape, and flower color were 34, 52, and 3 from the four cultivars, respectively. These mutant lines will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variety of rape plant with high biomass and oleic acid contents.

Isol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Low Temperature Treatment in Winter Oilseed Rape (Brassica napus L. cv. Tammi)

  • Chun Jong-Un;Seo Dong-Joong;Bae Chang-Hyu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0-446
    • /
    • 2006
  • To investigate flowering related genes in winter-type oilseed rape (Brassica napus L. cv. Tammi),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were isolated from leaves of the plant after low temperature treatment which is requirements for floral induction. As a result of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288 clone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SH library. Using reverse Northern blot analysis, 150 of 288 clones were identified to be differentially expressed. Out of these 150 clones, 45 clones showed very high identities with the known genes. Four clones showed very high identities over 90% with metallothionein-like gene that is related to flowering-induced genes. Of these 4 clones, the cDNA clone, rfs-13, revealed high identity with meotallothionein-like protein in Arabidopsis thaliana (98%) and Brassica compestris (89%). Furthermore, gene expressed in immature flower stages was confirmed by Northern blot analysis.

유채 성분육종 효율을 증진키 위한 세대단축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제4보 Winter형 유채의 유묘기 록체 저온감응이 하계고온 포장재배에 미치는 효과 (Studies on Rapid Advancement of Generations for a Breeding Efficiency Promotion of Rape Oil Improvement IV. Effect of Green Plant Vernalization on Shortening the Growing Period of Summer Cultured Rape in Field)

  • 이정일;권병선;김원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3-138
    • /
    • 1983
  • 유채에 있어서 유묘의 저온감응 처리가 하계고온포장에서의 좌지 방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유채 세대단축 기술의 보완과 우량종자의 비격리 순수채종 방안을 검토코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채 유묘의 저온록체 춘화처리후 하계고온의 일반포장조건에서 재배했을 때 추태, 개화단축 효과는 조생, 중생종에서 추태까지 34일, 개화까지 52일 소요했으며 만생종은 추태까지 44일, 개화까지는 73일을 소요했다. 2. 성숙까지의 전생육기간에서는 조생, 중생종들이 85-88일이 필요했으며 만생종에서는 108일이 소요되어 표준재배 227-240일 보다는 67%-55% 단축할 수 있었다. 3. Winter형의 B.napus에서 5월 이후의 고온재배에서는 전부 좌지하던 것이 국내품종도 록체춘화저온처리에서는 모든 공시품종이 완전 추태ㆍ개화, 성숙할 수 있었다. 4. 저온록체 처리후 하계고온재배시의 유채 주요형질들은 초장, 수장에 있어서 보통기재배보다 50% 내외로 빈약하였으며 수량형질인 분지수와 1수협수에서는 특히 적어서 보통재배시의 1/10 정도로 분지수 2-3개, 협수 4-7협에 불과했다. 5. 그러나 결실립수, 결실비율, 1,000립중 등에서는 다소 표준추파재배보다 떨어지나 큰 차이는 없었다. 6. 저온처리 하계고온 재배시의 주당종실중과 10a당 수량성에서는 1주당 8.8g으로 표준재배의 34.5g의 26%밖에 되지 않으며 10a당 수량성은 평균 53kg로 표준추파재배의 230kg에 비해 23%에 불과하였다. 7. 수량성이 10a당 불과 53kg 내외이긴하나 이같은 채종량은 육묘이식으로 100㏊ 이상의 (1,000배 증식율) 배경면적에 보급 증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매원이 없는 하계재배로 강실, 격리재배를 하지 않고도 순정한 채종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겨울유채의 개화습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itics of Flowering in Winter Rape)

  • 채영암;권용웅;이정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9-272
    • /
    • 1981
  • 유채의 개화습성을 용당품종을 공시하여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개체당 총개화수는 1,400~l,500개이었고 개화는 4월13일에 시작하였으며, 개체당 개화소요 일수는 30일이었다. 2. 개체당 협수는 560~630게 정도이었고 개체당 1차 분지는 18~20개이었다. 3. 협을 형성하는데 평균 5일이 소요되있고 분지의 부위에 따른 개화속도는 차이가 없었다. 4. 분지별 개화기간은 상부분지로 갈수록 0.45일씩 단축되었고 분지부위가 상위로 갈수록 협수는 1개 정도씩 감소했다. 5. 유분함량은 하부와 상부분지에서 높고 중부분지에서는 유의하게 낮았다.

  • PDF

Molecular Cloning of Two Genes Encoding Cinnamate 4-Hydroxylase (C4H) from Oilseed Rape (Brassica napus)

  • Chen, An-He;Chai, You-Rong;Li, Jia-Na;Chen, Li
    • BMB Reports
    • /
    • 제40권2호
    • /
    • pp.247-260
    • /
    • 2007
  • Cinnamate 4-hydroxylase (C4H) is a key enzyme of phenylpropanoid pathway, which synthesizes numerous secondary metabolites to participate in development and adaption. Two C4H isoforms, the 2192-bp BnC4H-1 and 2108-bp BnC4H-2, were cloned from oilseed rape (Brassica napus). They both have two introns and a 1518-bp open reading frame encoding a 505-amino-acid polypeptide. BnC4H-1 is 57.73 kDa with an isoelectric point of 9.11, while 57.75 kDa and 9.13 for BnC4H-2. They share only 80.6% identities on nucleotide level but 96.6% identities and 98.4% positives on protein level. Showing highest homologies to Arabidopsis thaliana C4H, they possess a conserved p450 domain and all P450-featured motifs, and are identical to typical C4Hs at substrate-recognition sites and active site residues. They are most probably associated with endoplasmic reticulum by one or both of the N- and C-terminal transmembrane helices. Phosphorylation may be a necessary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Their secondary structures are dominated by alpha helices and random coils. Most helices locate in the central region, while extended strands mainly distribute before and after this region. Southern blot indicated about 9 or more C4H paralogs in B. napus. In hypocotyl, cotyledon, stem, flower, bud, young- and middle-stage seed, they are co-dominantly expressed. In root and old seed, BnC4H-2 is dominant over BnC4H-1, with a reverse trend in leaf and pericarp. Paralogous C4H numbers in Brassicaceae genomes and possible roles of conserved motifs in 5' UTR and the 2nd intron are discussed.

앙성자 및 감마선을 처리한 유채 $M_2$ 세대의 소포자로부터 반수체 배발생 (Production of Haploids from Proton Ion and Gamma-Ray Irradiation Treated $M_2$ Generation of Isolated Microspores in Brassica napus L. ssp. oleifera)

  • 김광수;이미양;장영석;박윤정;방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50-155
    • /
    • 2008
  • 양성자와 감마선 조사한 추파형 유채 $M_2$세대의 화뢰의 소포자 배발생에 대해 조사하였다. 세 가지 유채품종 '한라', '내한'과 '탐미' 유채종자를 각각 400 Gy와 600 Gy의 양성자와 감마선으로 전처리 하였다. 일부 종의 양성자와 감마선 조사구에서 배발생이 증가되었고 대조구보다 높았다. 품종별로는 '내한'유채가 배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고 '탐미' 유채가 가장 낮았다. 드물게 배상체로부터 바로 소식물체가 형성되었고 대부분은 비정상적으로 multilobe가 형성되었다. 배상체로부터 식물체가 성공적으로 재분화 되었고 화분에 순화되었다.

산가수분해한 유채대로부터 유리당의 분리 및 이의 잔사로부터 펠릿의 제조 (Separation of Reducing Sugars from Rape Stalk by Acid Hydrolysis and Fabrication of Fuel Pellets from its Residues)

  • 양인;안병준;김명용;오세창;안세희;최인규;김용현;한규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0-71
    • /
    • 2014
  • 본 연구는 유채의 바이오리파이너리 원료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채대를 DW, AA, OA, SA 및 SH 용액에 침지하였다. 먼저 침지 유채대의 원소를 분석한 결과, 침지를 통하여 질소, 황, 염소의 함량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외에 침지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을 실험인자로 침지액 내에 존재하는 glucose, xylose, arabinose와 같은 유리당의 양을 조사하였는데, DW- 및 SH-침지액에서는 각각 xylose와 sucrose만 그리고 SA- 및 OA-침지액에서는 소량의 glucose만 검출되었다. 그러나 AA-침지액에서는 많은 양의 glucose와 소량의 arabinose까지 분석되었다. 한편, 유채대 침지에 사용된 산용액의 종류와 농도(1%, 2%)에 따른 glucose 양을 분석한 결과, AA를 침지액의 조제를 위한 산으로 사용하고 AA의 농도를 1%로 조절하는 것이 유채대로부터 효과적으로 glucose를 가수분해할 수 있는 조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시간의 영향을 보면, 72 hr-침지에서 가장 많은 양의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120 hr까지의 침지시간 연장은 유리되는 glucose 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DW, AA, OA 용액에 침지시킨 유채대를 이용하여 펠릿을 제조하였는데, 이 때 산의 농도 그리고 침지시간(24, 72, 120 hr)을 실험 인자로 사용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펠릿의 함수율, 겉보기밀도, 회분량, 발열량, 내구성을 측정하였다. 침지 유채대 펠릿의 겉보기 밀도와 발열량은 무침지 유채대 펠릿과 비교하여 크게 높았으며, 실험 인자와 상관없이 EN 규격의 A등급 기준($${\leq_-}600kg/m^3$$, $${\qeq_-}14.1MJ/kg$$)을 각각 상회하였다. 유채대의 침지는 무침지 유채대의 회분량(8.9%)과 비교하여 회분량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AA-와 DW-침지가 유채대의 회분량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침지 유채대의 회분량은 EN 규격의 A등급 기준($${\leq_-}5.0%$$)을 만족하였다. 침지 유채대로 제조한 펠릿의 내구성은 전반적으로 무침지 유채대 펠릿(97.40%)보다 낮았으며, 특히 OA-2%에 120 hr 침지시킨 유채대 펠릿을 제외하고 나머지 조건은 EN 규격의 B등급($${\qeq_-}96.00%$$) 기준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 유채대의 원소 및 유리당 분석 그리고 펠릿의 품질 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1% 농도의 AA 용액에 유채대를 72 hr동안 침지시키는 것이 유채대의 바이오에탄올 및 펠릿 원료화를 위한 최적조건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이 조건에서 1 kg의 유채대를 침지시켰을 경우, 산술적으로 바이오에탄올 생산용 원료인 50 g의 glucose를 얻을 수 있으며, 나머지 950 g의 잔사는 아그로펠릿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AA-침지 유채대로 제조한 펠릿의 낮은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분화된 범위의 침지 조건 탐색, 목분과의 혼합 펠릿 제조, 바인더의 첨가 등과 같은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벌꿀 중 동물용의약품 잔류량 모니터링 (Monitoring of Veterinary Medicine Residues in Honey)

  • 강은귀;정용현;정지혜;김미란;이경진;정진주;박종석;반경녀;장영미;강찬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43-647
    • /
    • 2010
  • 기준 설정 전인 2006년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실시한 연구과제의 결과보고서에 의하면 200건 벌꿀 중 네오마이신은 검출되지 않았고, 스트렙토마이신의 경우 23건이 검출되었으며, 아미트라즈(그 대사산물 포함), 코마포스의 경우 각각 10건, 9건의 검출되었다(8). 그러나 기준 설정 후인 본 연구의 모니터링 결과 해당 동물용의약품의 검출율이 현저하게 떨어진 것으로 미루어 볼때 07년 기준 설정 후 설정된 잔류허용기준에 맞춰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농어업유산의 경관 잠재력 파악을 위한 IPA 연구 - 청산도를 중심으로 - (IPA Study of Landscape Potentiality of Agricultural and Fishery Heritages - A Focus on Cheongsando -)

  • 김동찬;최우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76-8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업유산과 경관의 관계 규명을 통하여 농어업유산의 경관특성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농어업유산 제1호로 지정받았으며,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에 등재된 청산도의 경관특성요소를 유형화한 후, 이에 대하여 방문객들이 중요시 여기는 인자와 만족하는 인자 간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한국농어업유산으로 지정된 청산도의 경관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농어업유산과 경관의 관계 규명 및 농어업유산의 경관특성요소 도출을 위한 문헌고찰, 청산도의 경관특성 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현장답사, 청산도의 경관특성요소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0.0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IP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사분면에 분포하여 지속적 노력을 요하는 인자는 유채꽃밭, 바다, 청보리밭, 구들장논, 방파제와 등대, 전복양식장, 돌집, 초가집, 해안도로, 슬로길, 성서마을 돌담길, 주민농업행위로 분석되었다. 2사분면에 분포하여 집중적 관리전략이 필요한 인자로는 주변산지, 선착장, 도청항, 선박들, 수산물시장, 독살이돌담, 원색지붕농가, 느린섬여행학교, 펜션과 카페, 버스정류장, 정자목, 횟집거리, 해수욕장, 촬영지로 분석되었다. 3사분면에 분포하여 관리 조절이 필요한 인자는 소나무숲, 해변, 갯벌, 마늘밭, 비닐하우스, 곡식건조장, 미역 건조장, 문화유산전시장, 초분, 당리굿, 장터, 주민어업행위, 주민산업행위, 주민일상행위, 선착장 방문 행위, 슬로길 산책 행위, 특산물 섭취 쇼핑 행위, 농어업 체험 행위로 분석되었다. 4사분면에 분포하여 과잉 노력으로 분석된 요인은 도출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