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dom graph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7초

Numerical measures of Indicating Placement of Posets on Scale from Chains to Antichains

  • Bae, Kyoung-Yul
    • 정보기술과데이타베이스저널
    • /
    • 제3권1호
    • /
    • pp.97-108
    • /
    • 1996
  • In this paper we obtain several function defined on finite partially ordered sets(posets) which may indicate constraints of comparability on sets of teams(tasks, etc.) for which evaluation is computationally simple, a relatively rare condition in graph-based algorithms. Using these functions a set of numerical coefficients and associated distributions obtained from a computer simulation of certain families of random graphs is determined. From this information estimates may be made as to the actual linearity of complicated posets. Applications of these ideas is to all areas where obtaining rankings from partial information in rational ways is relevant as in, e.g., team_, scaling_, and scheduling theory as well as in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pecial and desirable properties of various functions is provided permitting judgment concerning sensitivity of these functions to changes in parameters describing (finite) posets.

  • PDF

$L_\infty(L_1)$디루니 삼각분할의 병렬처리 알고리즘 (A Parallel Algorithm for Constructing the Delaunay Triangulation in the$L_\infty(L_1)$ Metric)

  • 위영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8권3호
    • /
    • pp.155-160
    • /
    • 2001
  • 본 논문은 영역별 근접 그래프 (geographic nearest neighbor graph)와 레인지 트리 (range tree)를 이용하여 평면 위의 n 개의 점에 대한 L$_{\infty}$ (L$_1$) 거리 (metric) 상의 디루니 삼각분할 (Delaunay triangulation)을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은 L$_{\infty}$ (L$_1$) 거리 상에서 디루니 삼각분할에 있는 각 삼각형의 최소한 한 선분이 영역별 근접 그래프에 포함됨을 이용하여 레인지 트리 방법으로 디루니 삼각분할을 구축한다. 본 방법은 0(nlogn)의 순차계산 시간에 L$_{\infty}$ (L$_1$) 디루니 삼각분할을 구축하며, CREW-PRAM (Concurrent Read Exclusive Write Parallel Random Access Machine)에서 0(n)의 프로세서로 0(logn)의 병렬처리 시간에 L$_{\infty}$ (L$_1$) 디루니 삼각분할을 구축한다. 또한, 이 방법은 직선간의 교차점 계산 대신 거리비교를 하기 때문에 수치오차가 적고 구현이 용이하다.

  • PDF

디루니 삼각분할의 병렬처리 알고리즘 (A Parallel Algorithm for Construting the Delaunay Triangulation in the $\textrm{L}_\infty$($\textrm{L}_{1}$) Metric)

  • 위영철;황시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1)
    • /
    • pp.545-547
    • /
    • 2000
  • 본 논문은 영역별 근접 그래프(geographic nearest neighbor graph)와 레인지 트리(range tree)를 이용하여 평면 위의 n 개의 점에 대한 L$\infty$(L1) 거리(metric) 상의 디루니 삼각분할(Delaunay triangulation)을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은 L$\infty$(L1) 거리상에서 디루니 삼각분할에 있는 각 삼각형의 최소한 한 선분이 영역별 근접 그래프에 포함됨을 이용하여 레인지 트리 방법으로 디루니 삼각분할을 구축한다. 본 방법은 O(nlogn)의 순차계산 시간에 L$\infty$(L1) 디루니 삼각분할을 구축하며, CREW-PRAM (Concurrent Read Exclusive Write Programmable Random Access Machine)에서 O(n)의 프로세서로 O(logn)의 병렬처리 시간에 L$\infty$(L1) 디루니 삼각분할을 구축한다. 또한, 이 방법은 직선간의 교차점 계산 대신 거리비교를 하기 때문에 수치오차가 적고 구현이 용이하다.

  • PDF

Preschool children medium-long distance stereoscopic vision testing

  • Weiqiang, Zhao;Xiaowang, Qiao;Singh, Sukh Mahendra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4권2호
    • /
    • pp.120-123
    • /
    • 2004
  • To test preschool children's medium- long distance stereoscopic vision normal average value, and intermittent strabismus children,s medium-long distance stereoscopic vision acuteness is the goal of this study. The software of random stereoscopic vision and graph, which is developed by Hu-Chong etc has been used, to test 414 cases normal preschool children and 19 cases intermittent exotropia childrens medium-long distance (1-5 m) stereoscopic vision (before operation and after operation). The normal average value of preschool children's medium-long distance stereoscopic vision was achieved. Intermittent exotropia children's stereoscopic vision acuteness was declined with the increase of distance. This method can provide reference as screening abnormal stereoscopic vision during scientific research and clinical work.

A Heuristic Scheduling Algorithm for Reducing the Total Error of an Imprecise Multiprocessor System with 0/1 Constraint

  • Song, Ki-Hyun;Park, Kyung-Hee;Park, Seung-Kyu;Park, Dug-Kyoo;Yun, Kyong-Ok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on Science
    • /
    • 제2권6호
    • /
    • pp.1-6
    • /
    • 1997
  • The scheduling problem of satisfying both 0/1 constraint and the timing constraint while minimizing the total error is NP-complete when the optional parts have arbitrary processing tim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heuristic scheduling algorithm for 0/1 constraint imprecise systems which consist of communicating tasks running on multiple processors. The algorithm is based on the program graph which is similar to the one presented in[4]. To check the schedulability, we apply Lawler and Moore's theorem.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ntensive simulation is done.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shows that the longest processing first selection strategy outperforms random or minimal laxity policies.

  • PDF

Transitive Signature Schemes for Undirected Graphs from Lattices

  • Noh, Geontae;Jeong, Ik Ra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6호
    • /
    • pp.3316-3332
    • /
    • 2019
  • In a transitive signature scheme, a signer wants to authenticate edges in a dynamically growing and transitively closed graph. Using transitive signature schemes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an edge (i, k), if the signer has already authenticated two edges (i, j) and (j, k).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a signature on (i, k) using two signatures on (i, j) and (j, k). We propose the first transitive signature schemes for undirected graphs from lattices. Our first scheme is provably secure in the random oracle model and our second scheme is provably secure in the standard model.

Machine Learning Based Neighbor Path Selection Model in a Communication Network

  • Lee, Yo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1호
    • /
    • pp.56-61
    • /
    • 2021
  • Neighbor path selection is to pre-select alternate routes in case geographically correlated failures occur simultaneously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ventional heuristic-based algorithms no longer improve solutions because they cannot sufficiently utilize historical failure information. We present a novel solution model for neighbor path selection by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Our proposed machine learning neighbor path selection (ML-NPS) model is composed of five modules- random graph generation, data set creation, machine learning modeling, neighbor path prediction, and path information acquisition. It is implemented by Python with Keras on Tensorflow and executed on the tiny computer, Raspberry PI 4B. Performance evaluations via numerical simulation show that the neighbor path communication success probability of our model is bet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heuristic by 26% on the average.

채팅 메신저 사용자 검증을 위한 그래프 랜덤 워크 분석 (Graph Random Walk Analysis for Chat Messenger User Verification)

  • 이다영;조환규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79-84
    • /
    • 2021
  • 메신저 사용의 증가와 함께 관련 범죄와 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메시지 사용자 검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기반의 인스턴트 메세지 분석 모델을 제안하여 채팅 사용자를 검증하고자 한다. 사용자 검증은 주어진 두 개의 텍스트의 작성자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문제다. 제안 모델에서는 사용자의 이전 대화를 토대로 n-gram 전이 그래프를 구축하고, 작성자를 알 수 없는 메세지를 이용해 전이 그래프를 순회한 랜덤워크의 특성을 추출한다. 사용자의 과거 채팅 습관과 미지의 텍스트에 나타난 특징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모델은 10,000개의 채팅 대화에서 86%의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로 사용자를 검증할 수 있었다. 전통적인 통계 기반 모델들이 명시적 feature를 정의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이용해 통계 수치로 접근하는데 반해, 제안 모델은 그래프 기반의 문제로 치환함으로써 제한된 데이터 분량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내는 자동화된 분석 기법을 제안했다.

  • PDF

학습과제 인지 과정에 대한 과학학습 동기체계에 따른 초등학생의 시선이동 분석 (Investigation of Eye-Tracking on Learning Task Perceiving Proces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Different Motivation System on Science Learning)

  • 양일호;임성만;김양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1호
    • /
    • pp.86-94
    • /
    • 2015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do elementary students' eye movements appear in cognitive process that they perceive science learning materials depending on motivation system of science learning. For this study we had a random sampling of 301, 6th grade students. And we had selected 32 students through the three tests for the final; motivation system test of science learning, a learning styles test, an Edinburgh inventory for handedness test. We were analysis the cognitive process during learning tasks for the selected student using eye-tracking equipm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en students see a science learning material, we found out that SL-BAS group that has tendency searched various areas than SL-BIS group in learning task. Second, results confirmed through the data of integrational count that students looked alternately texts, images and graphs in the learning material, SL-BIS group were more than SL-BAS group on integrated count, but they had a simple and insignificant eye movement. Especially SL-BAS students showed that integrated eye movement between texts, images and graphs in the learning material, and they explored important areas of the graph compared with SL-BIS group that there was no eye movement in graph. These results may be utilized as a useful resource for designing students' learning.

병렬 및 분산 시스템에서의 최적 고장 허용 자원 배치 (Optimal Fault-Tolerant Resource Placement in Parallel and Distributed Systems)

  • 김종훈;이철훈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7권6호
    • /
    • pp.608-61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병렬 및 분산 시스템에서 자원을 배치함에 있어서 최소한의 자원 복사(copy)만을 사용하면서 임의의 노드 및 링크 상에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주어진 성능 요건을 만족하게 하는 자원의 최적 배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성능 요건의 만족과 시스템의 고가용성을 위하여, 모든 노드들에 대하여 최소한의 자원 복사를 사용하여 그 노드나 혹은 인접한 노드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에 자원 복사가 존재해야 하는데, 이것을 본 논문에서는 고장 허용 자원 배치 문제라고 부른다. 병렬 및 분산 시스템은 그래프로 표현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고장 허용 자원 배치 문제는 그래프 상에서 가장 작은 고장 허용 dominating set을 찾는 문제로 변환이 된다. Dominating set 문제는 NP-complete로 증명이 되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태 공간 탐색 방법으로 최적 배치를 구한다. 또한, 최적 배치를 찾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고장 허용 dominating set의 특성들을 분석하여 유용한 휴리스틱 정보들을 도출한다. 또한 여러가지 정형 그래프와 임의 그래프 상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이들 휴리스틱 정보들을 사용하여 최적 고장 허용 자원 배치를 찾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