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men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라면 포장지 디자인 속성과 라면포장지 이미지, 그리고 중국 소비자의 한국 라면 선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Attributes of Ramen Package Design, Ramen Image and Chinese Customer's Choice of Ramen)

  • 류정열;하헌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6-16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 라면 포장 디자인 속성과 라면 이미지, 그리고 라면 선택간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있다. 한국 표본 라면으로 신라면, 짜파게티, 열무비빔면, 사리곰탕면, 참깨라면 등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들은 선호하는 라면으로 신라면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그 다음으로 열무비빔면, 짜파게티, 사리곰탕면, 참깨라면의 순으로 선택하였는데 라면 이미지에서는 신라면, 짜파게티, 열무비빔면, 참깨라면, 사리곰탕면의 순으로 높게 나왔다. 라면 포장 디자인 속성별로 대중성과 품질안정성에서 대부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매력성과 건강성에서는 대부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셋째, 신라면은 대중성, 품질 안정성이, 짜파게티에서는 품질 안정성이, 사리곰탕면에서는 품질 안정성과 건강성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으나 사리곰탕에서는 매력성이 유의적인 부(-)의 영향력이 있었다.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라면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에 대한 시각적 주의집중도 분석 (Analysis of Visual Attention on Visual Elements of Ramen Package Design using Eye-Tracking Device)

  • 박민희;권만우;황미경;김현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945-952
    • /
    • 2022
  • In a market situation full of brands and products, packaging requires a differentiated design that reflects the needs and trends of the time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Therefore, in this study, through literature reviews, market research methods, questionnaire surveys, eye-tracking experiments, etc., we derived related research and current status of ramen package design, and visual expression elements that induce consumers' subjective perception and interest. As a result, the ramen package design was generally simplified and tended to visualize the spicy taste. Second, consumers buy bag ramen once a week on average at a large discount mart, consider the color of the ramen package design as important, and recognize that the aesthetics of the package design can improve quality. Finally, the spicy phrases and ramen illustrations were the first visual elements of the ramen package design, and for the longest time,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brand nam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Ramen Sauce on Bovine Tooth Discoloration

  • Ha-Eun Kim;Hee-Jung Lim;Hyeon-Gyeong Noh;Hye-Min Bae;Hye-Young Lee;Do-Seon L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0-28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ramen sauce on tooth tone changes over time, after selecting three different ramen colors from the ramens sold in the market, and applying the sauce to bovine teeth. Methods: Healthy bovine teeth were selected, and cutting discs were used to produce 60 specimens (5× 5× 3 mm), with 15 specimens distributed per county. Three types of ramen (buldak, chacharoni black bean sauce, and ottogi curry noodle)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water was used as the negative control group. Tooth tone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a spectrophotometer (CM-700d) to measure the color before and after 1 (3 h 44 min), 2 (7 h 28 min), 3 (11 h 12 min), and 4 weeks (14 h 56 min). Analysis of the color tone change was perform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8.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color tone change before and after immersion. L* indicated the largest change in black bean sauce ramen, a* indicated buldak ramen, and b* indicated the largest change in curry ramen. The amount of color change (∆E*) was the largest in curry ramen, followed by buldak and black bean sauce ramens. The results of the post-hoc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groups except buldak and black bean sauce ramens. Conclusion: All three types of ramen revealed significant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immersion, and curry ramen showed the largest amount of color change among them.

저염화 라면의 소비자 선호 분석을 활용한 기술사업화 전략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Strategy based on Consumer Preference Analysis of Low-sodium Instant noodle Ramen)

  • 오상호;임춘성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23-53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y by analyzing the consumer preference for low-sodium instant noodle ramen, which has a sodium content of 1,730 mg or les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such low-sodium ramen, this study examined how much consumers would pay through an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 by conjoint analysis. This study surveyed 1,004 men and women in their 20 s and 50 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years in Korea using an online survey. If the price of conventional instant noodle ramen is KRW 4,000 (approximately USD 3.57) per 5 packs for one pack of 5 servings in a supermarket, this study surveyed how much more they respondents would pay if the sodium was reduced by 10.0, 20.0, and 30.0%. The study found that if sodium was reduced by 10.0, 20.0, and 30.0%, the respondents would pay as much as KRW 4,180, KRW 4,307, and KRW 4,515, respectively. The attributes of low-sodium instant noodle ramen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odium reduction, vegetable protein ingredients, brand, where to buy and price with each level. The Marginal Willingness To Pay (MWTP) was analyzed as follows. If the sodium content of ramen soup is reduced by 1.0%, the amount that can be paid would be KRW 105.78. Respondents could pay KRW 1,673 more for famous brand ramen than an unknown brand ramen.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when a new product is developed and released, it can be expected to increase sales of the new product by understanding the foreseeable value that consumers could pay for and realize the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of the technology.

Effect of Modified Starches on Caking Inhibition in Ramen Soup

  • Wee, Hye-Won;Choi, Young-Jin;Chung, Myong-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646-649
    • /
    • 2007
  •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2 kinds of chemically modified starches (the anti-caking agents; tapioca starch and com starch) on caking of ramen soup was observed using a low-resolution proton-pulse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technique. After storing ramen soup samples with diverse compositions of modified starch at 20-40% relative humidity for 4 weeks, changes in the spin-spin relaxation time constant ($T_2$)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T_2-Temperature$ curves for ramen soup containing modified starches showed that the caking initiation temperatur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by $5^{\circ}C$ following the addition of only 0.5% modified cornstarch.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dified com starch used in this study would be an effective anti-caking agent for ramen soup, thus prolonging the shelf life of the product.

가공식품의 나트륨함량과 일부 여대생의 나트륨 영양표시 이용 및 저염 라면에 대한 수용도 (The Amount of Sodium in the Processed Foods, the Use of Sodium Information on the Nutrition Label and the Acceptance of Sodium Reduced Ramen i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 장순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6호
    • /
    • pp.585-591
    • /
    • 2006
  • The amount of sodium in the processed foods was evaluated by the information on the nutrition label. One-meal type foods as Ramen, Woodong, Naengmyon provide the most sodium reaching 30 - 70% DV per serving size. In Ramen not much difference was observed for the sodium content by food companies though each company provides various amount of sodium reducing as much as 25% DV. The propor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o read the nutrition information reached 62% but it remained 32% on the sodium information. They purchase low sodium foods rarely however their intention to buy low sodium foods increased up to 40% in condition that sodium information is given on the food label. Nevertheless 50% of them would not buy low sodium food if the taste is undesirable. Low sodium ramen cooked with 80% soup-base was acceptable by the subjects. Majority of them responded the soup was rather salty indicating the reduction of sodium in ramyeon is possible.

라면에서 나타나는 매운 감각 인지 강도의 변화 (Changes in Perceived Intensities of Pungency of Ramen Soup)

  • 임부영;손상수;김경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23-627
    • /
    • 2003
  • 고추로부터 추출한 capsicum 용액(30 Scoville Unit와 50 Scoville Unit)의 매운 감각은 돈골(豚骨)베이스의 순한맛 라면 스프를 혼합하였을 때 뚜렷한 감소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감소 현상과 관련하여 3가지 향미증진제, 0.5%(w/w) MSG, 0.5%(w/w) IG, 0.5%(w/w) $Aromild^{\circledR}$(yeast extract, Japan)가 고춧가루를 함유하는 라면의 매운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10%(w/w) 설탕과 0.66 ppm의 capsicum이 서로 masking 현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유탕면을 사용하는 라면의 매운 정도는 면을 끊일 때 우러나오는 유지 성분에 의하여도 감소하였다.

중국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한국 라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푸드네오포비아와 한국 식품안전태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EInfluence Food-related Lifestyle of Chinese Customers on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Ramen - Moderatoring Effects of Food Neophobia and Korean Attitude to Food Safety -)

  • 하헌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2-107
    • /
    • 2016
  • 본 연구는 Baron & Kenny가 제시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식품 안전에 태도의 중재자 효과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중국소비자의 식품탐구형이나 편의추구형 성향이 강할수록 한국 라면 구매의도가 높아지지만, 건강추구형 성향이 강할수록 한국 라면 구매의도가 낮아졌다. 둘째, 중국 소비자의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이 강할수록 전반적으로 한국 라면 구매의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편의추구형 유형의 사람의 한국 라면 구매의도를 억제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셋째, 한국 식품안전태도에 긍정적으로 인지할일수록 전반적으로 한국 라면 구매의도를 상승시키고, 식품탐구형과 편의추구형 유형의 사람들의 한국 라면 구매의도를 유의적으로 상승시키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화학적 변성전분 및 라면 전분질의 In Vitro 소화율 (In Vitro Digestibility of Chemically Modified Starches and Ramen Starches)

  • 김수연;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5-478
    • /
    • 1994
  • 식품에 사용되는 화학적 변성전분류와 acetyl화 전분이 사용된 라면의 돼지 췌장 ${\alpha}-amylase$에 의한 in vitro 소화율($37^{\circ}C$에서 6시간)을 비교하였다. Native potato starch와 acetylated potato starch의 가수분해율은 각각 64.5%와 59.3%, native와 hydroxypropylated corn starch는 70.5%와 60.4%, 그리고 native와 hydroxypropylated high amylose corn starch는 65.2%와 57.3%로서 native한 것들이 유도체들보다 높았다. Waxy corn starch들의 소화율은 pregelatinized(74.3%)>native(72.1%)>acetylated(66.5%)>acetyl distarch adipate(56.4%)>hydroxypropyl distarch phosphate(50.7%)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국내에서 생산, 판매되고 있는 5개 회사의 봉지라면과 용기라면에 대한 실험에서는 실제 조리조건에서 소화율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화학적 변성전분의 소화율은 천연전분보다 낮지만 상용식품에서의 사용량이 매우 낮으므로 식품 섭취에 따른 전분질의 소화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열정 + 혁신 + 마케팅 = 신시장 창출 『풀무원 '자연은 맛있다'의 생라면 시장 개척 사례』 (Passion + Innovation + Marketing = A Successful New Market Development 『A Case of Pulmuone Fresh Ramen, 'Jayeonun Masitda'』)

  • 주경희;이두희;박성연;유시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33-248
    • /
    • 2011
  • 이 사례는 종합식품회사인 풀무원이 '생라면'이라는 신시장을 열정과 혁신으로 개척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본문에서는 풀무원의 신시장 개척 사례를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해 보기 위해 풀무원의 생라면 시장 도전의 역사, 신제품 개발 과정, 신시장 개척을 위한 마케팅 전략 및 마케팅 믹스, 시장성과 및 향후과제 등을 다루고 있다. 1995년 이후 꾸준히 기름에 튀기지 않은 생라면이라는 새로운 제품군을 개척하기 위해 노력해 온 풀무원은 마침내 2011년 '자연은 맛있다'라는 혁신적인 신제품으로 기존의 유탕면으로 대표되던 라면 시장에 웰빙 바람을 일으켰다. 건강과 영양을 중시하는 소비자군을 표적 고객층으로 정한 풀무원은 생라면과 유탕면을 '건강한 라면 대 건강하지 않은 라면'으로 경쟁구도화 하는 포지셔닝 전략을 구사하였다. 즉, 맛의 강도와 건더기의 양으로 구분되어 있었던 기존의 경쟁구도를 자연 재료와 인공 재료, 기름에 튀긴 면과 기름에 튀기지 않은 면을 양대 축으로 하는 경쟁 구도로 전환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풀무원의 신시장 개척을 위한 노력은 성공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자연은 맛있다'는 출시 이후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도 재구매율, 관능 만족도 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풀무원 생라면의 성공은 탄탄한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기술적인 혁신, 성공적인 포지셔닝 및 일관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풀무원이 꾸준히 구축해온 자연친화적인 기업 이미지와 최고 경영자 이하 전 조직원의 뜨거운 열정도 중요한 성공요인이라고 분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