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fall-runoff simulation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9초

모자이크기법을 이용한 지표유출모형의 조도계수 리샘플링 (Resampling for Roughness Coefficient of Surface Runoff Model Using Mosaic Scheme)

  • 박상식;강부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3-106
    • /
    • 2011
  • Physically-based resampling scheme for roughness coefficient of surface runoff considering the spatial landuse distribution was suggested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operational application of recent grid-based distributed rainfall runoff model. Generally grid scale(mother scale) of hydrologic modeling can be greater than the scale (child scale) of original GIS thematic digital map when the objective basin is wide or topographically simple, so the modeler uses large grid scale. The resampled roughness coefficient was estimated and compared using 3 different schemes of Predominant, Composite and Mosaic approaches and total runoff volume and peak streamflow were computed through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biases between computational simulation and observation, runoff responses for the roughness estimated using the 3 different schemes were evaluated using MAPE(Mean Areal Percentage Error), RMSE(Root-Mean Squared Error), and COE(Coefficient of Efficiency). As a result, in the case of 500m scale Mosaic resampling for the natural and urban basin, the distribution of surface runoff roughness coefficient shows biggest difference from that of original scale but surface runoff simulation shows smallest, especially in peakflow rather than total runoff volume.

댐 하류 지점에 대한 분포형 모형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a Distributed Model at the Downstream of Dam)

  • 최윤석;김경탁;심명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9호
    • /
    • pp.703-713
    • /
    • 2009
  • 유역에서의 댐은 이수와 치수 측면에서 매우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집중호우 기간 동안의 댐 방류는 강우에 의해서 발생되는 유출과 더불어 댐 하류의 홍수조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방류와 강우에 의한 유출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댐 하류 지점에 대한 유출모의를 위해서 HyGIS (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환경에서 운영되는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을 적용하고 이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유역은 한강 수계의 여주 수위관측소 상류로 선정하였으며, 충주 조정지댐과 횡성댐의 방류량 및 강우의 영향을 반영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하고, 이를 여주 수위관측소에 대해서 검증 하였다. 모형의 적용결과 모의된 유출 수문곡선은 관측 수문곡선을 잘 재현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GRM 모형은 댐방류와 강우가 유역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적절히 모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유출수문곡선 모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mulation of Runoff Hydograph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안경수;김주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13-25
    • /
    • 1998
  • 신경회로망은 어떤 사상에 대한 인과관계를 연상기억능력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비선형현상에 대한 적응능력이 뛰어나 수문계의 강우-유출 현상에 대한 적용가능성은 많으나 이를 수문학적으로 검증하는데는 아직 검토단계라 할 수 있으며 적용에 따른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할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에서 호우의 발생에 따른 하천의 홍수유출수문곡선을 모의하기 위한 블랙박스모형으로서 신경회로망이론의 적용에 따른 문제를 수문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서 홍수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인 강우패턴을 신경회로망의 입력패턴으로하고 이에 따른 출력패턴을 유출수문곡선이라는 가정하에 신경회로망모형을 구성하고 평창강유역에서 발생된 과거 홍수기록자료를 이용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신경회로망의 학습이 수행되는 동안 어떠한 형태로든 수문학적 개념을 토대로 구성된 모형의 구조에 잘 적응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지금까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하는 강우-유출 모형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접근방법으로서 활용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낙동강 수계 유출분석을 위한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 산정 (Estimation and Analysis of Parameters for Rainfall-Runoff Model on the Nakdong River)

  • 맹승진;이순혁;류경식;송기헌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66-271
    • /
    • 2005
  • In this study, following works have been carried out : division of Nakdong River Basin into 25 sub basins, development of a technique to evaluat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and analysis of rainfall data of 169 stations, selection of control points, and selection of a hydrologic model(SSARR). The runoff analysis showed that the surface-subsurface separation and soil moisture index parameters are the most important two to the simulation result.

  • PDF

우수유출 모형을 이용한 합류식하수관로시스템의 월류량, 월류빈도 산정 기준 결정 연구 (Criteria for calculation of CSO volume and frequency using rainfall-runoff model)

  • 이건영;나용운;류재나;오재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3-324
    • /
    • 2013
  • It is widely known that untreated Combined Sewer Overflows (CSOs) that directly discharged from receiving water have a negative impact. Recent concerns on the CSO problem have produced several large scale constructions of treatment facilities, but the facilities are normally designed under empirical design criteria. In this study, several criteria for defining CSOs (e.g. determination of effective rainfall, sampling time, minimum duration of data used for rainfall-runoff simulation and so on) were investigated. Then this study suggested a standard methodology for the CSO calculation and support formalized standard on the design criteria for CSO facilities. Criteria decided for an effective rainfall was over 0.5 mm of total rainfall depth and at least 4 hours should be exist between two different events. An Antecedent dry weather period prior to storm event to satisfy the effective rainfall criteria was over 3 days. Sampling time for the rainfall-runoff model simulation was suggested as 1 hour. A duration of long-term simulation CSO overflow and frequency calculation should be at least recent 10 year data. A Management plan for the CSOs should be established under a phase-in of the plan. That should reflect site-specific conditions of different catchments, and formalized criteria for defining CSOs should be used to examine the management plans.

GeoWEPP과 SWAT 모델을 이용한 산지 유역 강우-유출량 특성 분석 (Analysis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 at Mountainous Watershed Using GeoWEPP and SWAT Model)

  • 김지수;김민석;김진관;오현주;우충식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44
    • /
    • 2021
  •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continuous soil loss is occurring in the mountainous watershed.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llows the spatial simulation of soil loss through hydrological models, but more researches applied to the mountain watershed areas in Korea are needed. In this study, prior to simulating the soil loss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ous watershed, the field monitoring and the SWAT and GeoWEPP models were used to simulate and analyze the rainfall and runoff characteristics in the mountainous watershed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of monitoring, runoff showed a characteristic of a rapid response as rainfall increased and decreased. In the simulation runoff results of calibrated SWAT models, R2, RMSE and NSE was 0.95, 0.03, and 0.95, respectively. The runoff simulation results of the GeoWEPP model were evaluated as 0.89, 0.30, and 0.83 for R2, RMSE, and NSE, respectively. These results, therefore, imply that the runoff simulated through SWAT and GeoWEPP models can be used to simulate soil loss. However, the results of the two models differ from the parameters and base flow of actual main channel, and further consideration is required to increase the model's accuracy.

인공강우기에 의한 시험포장 토양유실량 모의 - 강우강도, 지표면 및 경사조건 변화 - (Simulation of Field Soil Loss by Artificial Rainfall Simulator - By Varing Rainfall Intensity, Surface Condition and Slope -)

  • 신민환;원철희;최용훈;서지연;이재운;임경재;최중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85-791
    • /
    • 2009
  • Using artificial rainfall simulator, the soil loss, which is deemed as the most cause of muddy water problem among Non-point source (NPS) pollutant, was studied by the analysis of direct runoff, groundwater discharge, and soil water storage properties concerned with rainfall intensity, slope of area, and land cover. The direct runoff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both straw covered and bared soil as slope increases from 5% to 20%. The direct runoff volume from straw covered surface were much lower than bared surface. The infiltration capacity of straw covered surface increased, because the surface sealing by fine material of soil surface didn't occur due to the straw covering. Under the same rainfall intensity and slope condition, 2.4~8.2 times of sediment yield were occurred from bared surface more than straw covered surface. The volume of infiltration increased due to straw cover and the direct runoff flow decreased with decrease of tractive force in surfac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the rate of direct runoff, groundwater discharge, and soil water storage by the rainfall intensity, slope, and land cover, the statistical test was performed. It shows good relationship between most of factors, except between the rate of groundwater storage and rainfall intensity.

강우 및 강우-유출 모형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홍수빈도곡선 유도 (Derivation of Flood Frequency Curve with Uncertainty of Rainfall and Rainfall-Runoff Model)

  • 권현한;김장경;박세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1호
    • /
    • pp.59-71
    • /
    • 2013
  • 신뢰성 있는 홍수빈도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홍수량 및 강우자료가 필요하다. 강우자료의 경우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에서 30년 이상의 극치자료가 활용이 가능한 반면 홍수량 자료는 상대적으로 충분한 자료가 확보되지 않아 신뢰성 있는 빈도해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강우모의 기법에 근거한 홍수빈도곡선 유도방안연구가 몇몇 연구에서 제안된 바 있으나, 기본적으로 입력된 강우의 빈도와 홍수의 빈도가 동일하다고 가정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확실성이 상당부분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강우모의기법과 불확실성 분석이 고려된 홍수빈도곡선 유도방법을 개발하는 것으로 홍수빈도곡선을 유도하는데 있어서의 핵심은 미래에 발생 가능한 극치강수량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강수량 모의발생 기법과 강우-유출관계의 불확실성 분석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극치강수량 모의를 위해 불연속 Kernel Pareto 분포를이용한 다지점 강수모의기법과 Bayesian HEC-1 (BHEC-1) 모형을 연계하여 본연구의 대상유역인 대청댐 유역의 강우-유출 관계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홍수빈도곡선을 개발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기존 홍수빈도결정방법과 비교를 통해서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다방향 흐름 분배와 실시간 보정 알고리듬을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개발(I) - 이론 - (Development of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Using Multi-Directional Flow Allocation and Real-Time Updating Algorithm (I) - Theory -)

  • 김극수;한건연;김광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3호
    • /
    • pp.247-25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다방향 흐름 분배 알고리듬과 실시간 보정 알고리듬을 개발하여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알고리듬의 적용과 분포형 모형 적용상의 약점인 계산시간 개선을 위해 비교적 간단한 수문과정 지배 방정식들을 이용하여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을 작성하였다. DEM(Digital Elevation Model)를 이용하여 공간해상도 변화에 따른 지형정보와 흐름정보의 변동성을 파악하였다. 모의수행 전처리 과정으로 가용한 고해상도 DEM 자료를 사용하여 공간해상도 변화에 따른 흐름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상세흐름정보를 저해상도 흐름정보에 반영시키는 다방향 흐름분배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또한 실시간으로 유역상태량을 보정하는 실시간 보정 알고리듬을 개발하다. 개발된 모형은 저해상도 모의에서 유출 과정의 실제적 거동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측 정확도 향상 및 계산시간의 개선이 기대된다.

유출관리모형을 활용한 수문학적 공간정보 분석 (Analysis of Hydrologic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Runoff-Management Model)

  • 이상진;노준우;안정민;김주철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7-104
    • /
    • 2009
  • 현재 GIS는 유역의 지형학적 분석분야에서 뿐만아니라 유역의 수문학적 분석분야에서도 유용한 도구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SARR모형을 기반으로한 유역유출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장기유출량을 산정,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강우-유출 관리 모듈과 연계하여 신뢰도 있는 수문정보를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코자 하였다. 모의와 검증을 거친 적정한 토양습윤지표, 용수이용량, 직접 및 기저유출량 등의 다양한 수문성분들이 GIS Tool의 활용을 통하여 소유역 단위의 유용한 수문학적 공간정보로서 생산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Graphic User Interface를 설계하여 다양한 수문정보를 도시함으로써 향후 효율적 유역수문관리를 지원하는 Toolkit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