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fall

검색결과 6,161건 처리시간 0.046초

차량용 레인센서에서 생성된 센서시그널을 이용한 강우량 측정 (Measurement of Rainfall using Sensor Signal Generated from Vehicle Rain Sensor)

  • 김영곤;이석호;김병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227-23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레인센서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강우관측을 위한 관계식을 개발하였다. 차량용 레인센서는 8개의 채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채널은 강우발생시 차량의 전면유리창에 내리는 우적량을 감지하여 센서시그널을 생성하는데, 강우량이 높을수록 센서시그널은 낮은 값으로 형성된다. 레인센서에서 생성되는 센서시그널의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관계식을 개발하였다. 특정강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인공강우 발생장치를 제작하였으며, 인공강우발생장치에서 분사되는 강우량의 변화에 따른 센서시그널의 변화 값을 분석하였다. 이 중 민감도 분석을 통해 다양한 강우량을 잘 반영하는 최적의 센서 채널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채널을 이용하여 5분 단위 센서시그널를 생성하였고 생성된 5분 단위 센서시그널의 대표 값을 평균, 25분위, 50분위, 75분위로 설정하여 관계식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관계식을 이용하여 실강우 데이터에 적용하여 강우량 값을 환산하였고, 환산된 강우량은 지상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량 값과의 비교를 통해 관계식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데이터의 이상치가 발견되어 관계식의 신뢰도는 다소 떨어졌지만, 해당 잔차 범위의 실험 데이터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개발된 관계식을 실강우에 적용시켜 강우량 값을 환산한 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동시간에 관측된 지상강우 관측 장비에서 생성된 강우량 값과 비교를 하였고 관측 결과 레인센서는 0.5mm 이하의 미세한 강우량까지 측정하였고 평균 관측 오차는 0.36mm로 나타났다.

차량용 강우센서와 강우관측소 관측자료 비교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Observation Data of Rainfall Sensor for Vehicle and Rainfall Station)

  • 이충대;이병현;조형제;김병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783-791
    • /
    • 2018
  • 낮은 밀도의 강우관측망과 레이더 강우의 편향적인 추정은 좁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돌발홍수에 대한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강우정보의 생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하여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개발된 강우센서를 차량에 부착하여 차량의 이동에 따른 강우 관측을 수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강우센서와 인근 강우관측소의 관측값에 대하여 시계열 및 평균 강수량을 이용하였다. 차량별로 부착된 센서(1~10번)의 관측 강우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센서별로 상대적으로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나 강우 사상에 따른 관측값의 경향은 일정한 패턴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강우센서의 관측위치와 인근 강우관측소와의 거리 차이, 차량의 이동 속도, 강우관측 방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차량용 강우센서를 이용한 강우관측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다양한 조건에서의 실험 및 강우센서 개선을 통하여 보다 정밀한 강우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레이더에 의한 개선된 강우강도와 면적 강우량의 실시간 추정 (Improvement of Radar Rainfall Intensity and Real-time Estimation of Areal Rainfall)

  • 정성화;김경익;김광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43-646
    • /
    • 2006
  • An operational calibration is applied to improve radar rainfall intensity using rainfall obtained from rain gauge. The method is applied under the assumption of the temporal continuity of rainfall, the rainfall intensity from rain gauge is linearly related to that from radar. The method is applied to the cases of typhoon and rain band using the reflectivity of CAPPI at 1.5km obtained from Jindo radar. The CAPPI is obtained by bilinear interpolation. For the two cases, the rainfall intensities obtained by operational calibration are very consistent with the ones by the rain gauge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infall intensity by operational calibration and rain gauges is better than the one between the rainfall intensity by M-P relationship and rain gaug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total rainfall intensity obtained by operational calibration and rain gauges in typhoon and rain band cases are 0.99 and 0.97, respectively. Areal rainfalls are estimated using the field of calibration factor interpolated by Barnes objective analysis. The method applied here shows an improvement in the areal rainfall estimation. For the cases of typhoon and rain b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l rainfall by operational calibration and rain gauges is better than the one between the area rainfall by M-P relationship and rain gaug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areal rainfall obtained by operational calibration and rain gauges in typhoon and rain band cases are 0.97 and 0.84,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operational calibration is very useful for the real-time estimation of rainfall intensity and areal rainfall.

  • PDF

Rainfall Trend Detection Using Non Parametric Test in the Yom River Basin, Thailand

  • Mama, Ruetaitip;Bidorn, Butsawan;Namsai, Matharit;Jung, Kwansue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4-424
    • /
    • 2017
  • Several studies of the world have analyzed the regional rainfall trends in large data sets. However, it reported that the long-term behavior of rainfall was different on spatial and temporal scal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ocal trends of rainfall indices in the Yom River Basin, Thailand. The rainfall indices consist of the annual total precipitation (PRCTPOP), number of heavy rainfall days ($R_{10}$), number of very heavy rainfall days ($R_{20}$), consecutive of dry days (CDD), consecutive of wet days (CWD), daily maximum rainfall ($R_{x1}$), five-days maximum rainfall ($R_{x5}$), and total of annual rainy day ($R_{annual}$). The rainfall data from twelve hydrological stations during the period 1965-2015 were used to analysis rainfall trend. The Mann-Kendall test, which is non-parametric test was adopted to detect trend at 95 percent confident level. The results of these data were found that there is only one station an increasing significantly trend in PRCTPOP index. CWD, which the index is expresses longest annual wet days, was exhibited significant negative trend in three locations. Meanwhile, the significant positive trend of CDD that represents longest annual dry spell was exhibited four locations. Three out of thirteen stations had significant decreasing trend in $R_{annual}$ index. In contrast, there is a st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ing trend. The analysis of $R_{x1}$ was showed a station significant decreasing trend at located in the middle of basin, while the $R_{x5}$ of the most locations an insignificant decreasing trend. The heavy rainfall index indicated significant decreasing trend in two rainfall stations, whereas was not notice the increase or decrease trends in very heavy rainfall index.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rend signal in the Yom River Basin in the half twentieth century showed the decreasing tendency in both of intensity and frequency of rainfall.

  • PDF

Some models for rainfall focused on the inner correlation structure

  • Kim, Sangda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90-1294
    • /
    • 2004
  • In this study, new stochastic point rainfall models which can consider the correlation structure between rainfall intensity and duration are developed. In order to consider the negative and positive correlation simultaneously, the Gumbels type-II bivariate distribution is applied, and for the cluster structure of rainfall events, the Neyman-Scott cluster point process is selected. In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it is shown that the models considering the dependent structure between rainfall intensity and duration have slightly heavier tail autocorrelation functions than the corresponding independent mode]s. Results from generating long time rainfall events show that the dependent models better reproduce historical rainfall time series than the corresponding independent models in the sense of autocorrelation structures, zero rainfall probabilities and extreme rainfall events.

  • PDF

강우사상의 지속기간별 분포 특성을 고려한 일강우 모의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daily rainfall simulation considering distribution of rainfall events in each duration)

  • 정재원;김수전;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2호
    • /
    • pp.141-148
    • /
    • 2019
  • 기존의 Markov Chain 모형으로 일강우량 모의시에 강우의 발생여부를 모의하고 강우일의 강우량은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통해 일강우 분포 특성에 맞는 분포형에서 랜덤으로 강우량을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강우 지속기간에 따른 강도 및 강우의 시간별 분포 등의 강우 사상의 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강우 사상을 1일 지속강우, 2일 지속강우, 3일 지속강우, 4일이상 지속강우로 구분하여 강우의 지속기간에 따라 강우량을 추정하였다. 즉 강우 사상의 강우 지속일별로 총강우량의 분포형을 비매개변수 추정이 가능한 핵밀도추정(Kernel Density Estimation, KDE)를 적용하여 각각 추정하였고, 강우가 지속될 경우에 지속일별로 해당하는 분포형에서 강우량을 구하였다. 각 강우사상에 대해 추정된 총 강우량은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k-Nearest Neighbor algorithm, KNN)을 통해 관측 강우자료에서 가장 유사한 강우량을 가지는 강우사상의 강우량 일분포 형태에 따라 각 일강우량으로 분배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강우량 추정 방법의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미래 강우에 대한 예측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수자원 설계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질오염총량관리 배출부하량에 대한 강우영향 분석연구 (Rainfall Effects on Discharged Pollution Load in Unit Watershed Area for the Management of TMDLs)

  • 박준대;오승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48-653
    • /
    • 2010
  • Discharged pollution load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rainfall data for reference year. Rainfall has an influence on discharged pollution load in unit watershed with combined sewer system. This study reviewed the status of discharged pollution load and rainfall conditions. We also investigated rainfall effects on discharged pollution load by analyzing change of the load in accordance with increase of rainfall. The change ratio of discharged pollution load was 18.6% while inflow load only 5.8% for 5 years from 2004 to 2008 in Daejeon district. The greatest rainfall and rain days were over 2 times than the least during the period. This change in rainfall could have great effect on discharged pollution load. The analysis showed that discharged pollution load increased 2.1 times in case rainfall increased 2 times and 1.2 times in case rain days increased 2 times. Rainfall effects, therefore,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resonable evaluation of discharged pollution load in the assessment of annual performances.

미계측 지역에서 토석류 유발강우의 산정을 위한 레이더 강우의 활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se of Radar Rainfall for Rainfall-Triggered Mud-Debris Flows at an Ungauged Site)

  • 전환돈;이지호;김수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0-317
    • /
    • 2016
  • It has been a big problem to estimate rainfall for the studies of mud-debris flows because the estimated rainfall from the nearest AWS (Automatic Weather Station) can tend to be quite inaccurate at individual sites. This study attempts to improve this problem through accurate rainfall depth estimation by apply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radar rainfall data. For this, three models were made according to utilizing methodologies of rainfall data. The first model uses the nearest rainfall, observing the site from an ungauged site. The second uses only radar rainfall data and the third model integrates the above two models using both radar and observed rainfall at the sites around the ungauged site. This methodology was applied to the metropolitan area in Korea. It appeared as though the third model improved rainfall estimations by the largest margin.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be applied to forecast mud-debris flows in ungageed sites.

다변량 분석기법에 의한 지점강우의 권역화 연구 (A Study on the Regionalization of Point Rainfall by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

  • 박상우;전병호;장석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5호
    • /
    • pp.879-89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지역빈도분석에 필요한 수문학적 동질성을 갖는 지점강우의 권역화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걸친 기상청 산하의 60개 강우관측소에 대한 32개의 강우특성자료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각 지점의 많은 강우자료들은 다변량 분석의 자료축약기법인 주성분분석과 그룹화 기법인 군집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권역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인 지점강우의 권역은 강우지역을 수문학적 동질성의 5개 권역과 3개의 기타지역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강우성분의 권역별 평균값으로부터 각 권역의 강우특성을 상대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유역 단위 Horton 침투모형을 적용한 시간단위 초과우량 산출 절차 제시 (An Offer of a Procedure Calculating Hourly Rainfall Excess by Use of Horton Infiltration Model in a Basin)

  • 유주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533-541
    • /
    • 2010
  • 강우-유출모형에 의해서 유역내 강우로부터 직접 유출량을 산출하는 것은 홍수량 예측에 기초가 된다. 직접 유출량은 강우-유출모형에 의해서 초과우량 또는 유효우량으로부터 산출된다. 시간별 초과우량은 시간별 총 강우에서 강우의 손실량을 제하여 산출한다. 이 손실량은 강우-유출모형 내 여러 손실 중에 비중이 큰 침투 손실량과 같도록 취급할 수 있다. 여기서 초과우량 또는 유효우량 산출을 위해서 실용적으로 간편한 $\Phi$지수법, W지수법 또는 이의 수정법이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 유역 내 강우 손실의 시간적 변화는 잘 알려진 Horton 침투 과정으로 간주하여 Horton 침투모형의 매개변수 값이 주어진 경우에 시간 단위별 침투손실 및 초과우량을 산출하는 절차와 적용 원칙을 제시하고 적용결과를 $\Phi$지수 방법의 적용결과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출한 강우사상에서 시간 단위의 Horton 침투량 값은 시간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쇠되는 Horton 모형의 침투 과정을 잘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