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미국, 일본의 식도암 방사선 치료에 대한 PCS($1998{\sim}1999$) 결과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Patterns of Care Study of Radio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among Three Countries: South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 허원주;최영민;김정기;이형식;최석렬;김일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83-90
    • /
    • 2008
  • 목적: 식도암의 방사선 치료에 대해 최초로 시행한 한국의 PCS의 결과를 토대로 미국, 일본에서 시행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식도암 환자들의 특징, 진단 및 치료방침의 차이를 파악해 향후 범 국가적으로 활용할 시스템의 구축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국내의 21개 병원의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1998-1999년 동안 식도암으로 확진 된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총 2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결과를 미국 59개 병원에서 식도암 환자 414명을 연구한 PCS 결과(Suntharalingam)와 비교 하였다. 또 일본의 76개 병원에서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았거나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제치료를 함께 받은 수술 군 환자 220명(Gomi), 수술을 받지 않고 방사선 치료만 시행하였거나 방사선 치료와 항암제치료를 함께 시행한 비 수술 군 환자 385명(Murakami)을 대상으로 시행한 PCS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일본의 비 수술 군이 가장 높았다(71세). 한국과 일본은 남성의 발생 빈도가 월등히 높았지만(9:1) 미국은 여성의 발생률이 23.1%였다. 한국과 일본은 편평상피세포암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한국 96.3%, 일본 98%) 미국은 선암이 더 많은 양상을 보였다(49.6%).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는 식도 내시경,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 식도조영술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미국과 일본은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을 복부 초음파보다 더 자주 시행하였다. 치료방침을 분석한 결과 방사선 단독치료의 비율은 한국이 23.2%, 일본이 39%인데 반해 미국은 9.5%에 불과하였다. 수술과 방사선 및 항암치료를 병용한 빈도는 미국(32.8%)과 일본(49.5%)이 한국(11.8%)보다 높았다. 식도암 치료에 있어서 항암제 치료는 미국이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어졌고(89%) 동시항암방사선 치료도의 빈도도 미국이 가장 높았다(97%). 항암치료제는 3개국 모두에서 cisplatin과 5-FU를 가장 선호하였다. 방사선 조사량은 한국 55.8 Gy, 미국 50.4 Gy였고 일본은 수술 군(48 Gy)과 비 수술 군(60 Gy)이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한국, 미국, 일본에서 시행된 식도암 환자의 PCS 결과를 분석하여 환자 및 종양의 특징, 진단 및 치료 방침에 다소간의 상이점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량과 조사야 수, 방사선치료 에너지의 종류 등 방사선 기술적인 부분은 3개국 모두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osimetric and Clinical Predictors of Acute Esophagitis in Lung Cancer Patients in Turkey Treated with Radiotherapy

  • Etiz, Durmus;Bayman, Evrim;Akcay, Melek;Sahin, Bilgehan;Bal, Cengiz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7호
    • /
    • pp.4223-4228
    • /
    • 201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and dosimetric factors associated with acute esophagitis (AE) in lung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onformal radiotherapy (RT) in Turkey.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review 104 lung cancer patients were examined. Esophagitis grades were verified weekly during treatment, and at 1 week, and 1 and 2 months afterwards. The clinical parameters included patient age, gender, tumor pathology, number of chemotherapy treatments before RT, concurrent chemotherapy, radiation dose, tumor response to RT, tumor localization, interruption of RT, weight loss, tumor and nodal stage and tumor volume. The following dosimetric parameters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of AE: The maximum ($D_{max}$) and mean ($D_{mean}$) doses delivered to the esophagus, the percentage of esophagus volume receiving ${\geq}10$ Gy ($V_{10}$), ${\geq}20$ Gy ($V_{20}$), ${\geq}30$ Gy ($V_{30}$), ${\geq}35$ Gy ($V_{35}$), ${\geq}40$ Gy ($V_{40}$), ${\geq}45$ Gy ($V_{45}$), ${\geq}50$ Gy ($V_{50}$) and ${\geq}60$ Gy ($V_{60}$). Results: Fifty-five patients (52.9%) developed AE. Maximum grades of AE were recorded: Grade 1 in 51 patients (49%), and Grade 2 in 4 patients (3.8%). Clinical factor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cidence of AE. In terms of dosimetric findings, correlation analyses demonstra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E and $D_{max}$ (>5117 cGy), $D_{mean}$ (>1487 cGy) and $V_{10-60}$ (percentage of volume receiving >10 to 60 Gy). The mos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T and esophagitis were in $D_{max}$ (>5117 cGy) (p=0.002) and percentage of esophageal volume receiving >30 Gy ($V_{30}$ >31%) (p=0.008)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The maximum dose esophagus greater than 5117 cGy and approximately one third (31%) of the esophageal volume receiving >30 Gy was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associated with esophagitis due to RT.

Treatment outcomes of neoadjuva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esophagectomy for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 Kim, Yong-Hyub;Song, Sang-Yun;Shim, Hyun-Jeong;Chung, Woong-Ki;Ahn, Sung-Ja;Yoon, Mee Sun;Jeong, Jae-Uk;Song, Ju-Young;Nam, Taek-Keu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3권1호
    • /
    • pp.12-20
    • /
    • 2015
  • Purpose: To evaluate treatment outcomes and determine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treated with esophagectomy after neoadjuvant chemoradiotherapy (NCR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39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who underwe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esophagectomy between 2002 and 2012. Initial clinical stages of patients were stage IB in 1 patient (2.6%), stage II in 5 patients (12.9%), and stage III in 33 patients (84.6%). Results: The median age of all the patients was 62 years, and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17 months. The 3-year overall survival (OS) rate was 33.6% in all the patients. The 3-year 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 (LRFS) rate was 33.7%. In multivariate analysis with covariates of age,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tumor length, clinical response, clinical stage, pathological response, pathological stage, lymphovascular invasion, surgical type, and radiotherapy to surgery interval, only pathological stage was an independent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affecting both OS and LRFS. The complications in postoperative day 90 were pneumonia in 9 patients, anastomotic site leakage in 3 patients, and anastomotic site stricture in 2 patients. Postoperative 30-day mortality rate was 10.3% (4/39); the cause of death among these 4 patients was respiratory failure in 3 patients and myocardial infarction in one patient. Conclusion: Only pathological stage w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both OS and LRFS in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treated with esophagectomy after NCRT. We could confirm the significant role of NCRT in downstaging the initial tumor bulk and thus resulting in better survival of patients who gained earlier pathological stage after NCRT.

식도암의 근치적 치료성적 및 예후인자 (Treatment Result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eints with Esophageal Cancer)

  • 정원규;김수곤;김민철;장명;문성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33-241
    • /
    • 1995
  • Purpose : To analyse clinical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y, this paper report our experience of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One hundred and ten patients with primary esophageal cancer who were treated in Presbyterian Medical Center from May 1985 to December 1992. We analysed these patients retrospectively with median follow up time of 28 months, one hundred and four patients($95{\%}$) were followed up from 15 to 69 months. In methods, twenty-eight patients were treated with median radiation dose irradiated 54.3Gy only. Fifty-six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mbined chemoradiotherapy. Sixteen cases of these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and the other patients(forty cases) were treated sequential chemoradiotherapy. In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group, patients received 5-FU continuous IV infusion for 4 days. Cisplatin IV bolus. and concurrent esophageal irradiation to 30 Gy. After that patients received 5-FU continuous IV, Cisplatin bolus injection and Mitomycin-C bolus IV, Bleomycin continuous IV, and irradiation to 20 Gy. In sequential chemoradiotherapy group, the chemotherapy consisted of 5-FU 1,000mg/$m^2$ administered as a continuous 24 hour intravenous infusion during five days and Cisplatin 80-100mg/$m^2$ bolus injected, or Bleomycin, Vinblastine, Cisplatin, Methotrexate were used of 1 or 2 cycles. After preoperative concurrentm chemoradiation twenty-six patients underwent radical esophagectomy. Results : Ninety-three patients could be examined for response assessment, By treatment modality, response rates were $85.1{\%}$ for radiation alone group and $86.3{\%}$ for combined chemoradiation group. But in operation group, after one cycle of concurrent chemoradiation treatment, response rate was $61.9{\%}$. The pathologic complete response were $15.4{\%}$ in operation group. Overall median survival was II months and actuarial 5-year survival rate was $8{\%}$. The median survival interval was 6 months for radiation alone group, 11 months for combined chemoradiation group and 19 months for operation group. And also median survival was 19 months for complete responder group that 8 months for noncomplete responder group. In univariative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were tumor size, clinical stage, tumor response, and operation. In multivariative analysis, significantly better survival was associated with clinical stage, tumor response, radiation dose, and operation. Conclusion : Compared with radiotherapy alone, combined multimodality may improve the median survival in patients with localized carcinoma of the esophagus and toxicity is acceptable.

  • PDF

Serum miR-21 Expression in Huma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s

  • Cai, Er-Hui;Gao, Yong-Xin;Wei, Zhong-Zhi;Chen, Wei-Ying;Yu, Ping;Li, K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563-1567
    • /
    • 2012
  •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miRNA-21 (miR-21) expression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s (ESCCs) and its clinicopathologic features, a 1:1 matched case-control study including 21 patients with ESCC and 21 age- and gender-matched healthy controls was carried out. Serum specimens were taken from all subjects. Total RNA was extracted and the stem-loop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used to measure serum miR-21 in both groups. Clinical parameters were assessed to determine associations with serum miR-21 concentrations. Serum miR-21 expression in ESCC sampl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aired cancer-free samples (P<0.05). Metastasis was associated with mir-21 expression in serum (P<0.05), ESCC patients with metastasis having 8.4-fold higher serum miR-21 concentrations than healthy control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miR-21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such as gender (P>0.05), age (P>0.05), tumor location (P>0.05), cell differentiation (P>0.05), TNM staging (P>0.05), whether chemo/radiotherapy had been administered (P>0.05), or whether surgery had been performed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tection of microRNA-21 in serum might serve as a new tumor biomarker in diagnosis and assessment of prognosis of ESCCs.

식도암 치료에 있어 관내근접치료의 역할 (The Role of Intraluminal Brachytherapy in Management of Esophageal Cancer)

  • 이창걸;서창옥;김귀언;추성실;정은지;김우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331-338
    • /
    • 1995
  • 목적 : 식도암의 치료는 진단당시 국소적으로 진행된 예가 대부분으로 방사선치료 단독 혹은 유도화학 및 방사선병행요법 등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치료에도 불구하고 5년 생존율은 $5-10{\%}$로 극히 저조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치유율이 저조한 것은 $50{\%}$이상의 원격전이율외에 궁극적으로 원발병소의 재발율이 약 $80{\%}$에 달하는 까닭이다. 최근 동시 화학방사선 병행요법으로 생존율 향상을 보고하고 있으나 이역시 약 $50{\%}$의 높은 국소재발율을 보고하고 있어서 식도암의 치료에 있어 국소제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치료 단독 혹은 화학 방사선 병행치료후 관내근접치료를 시행하여 반응률, 치료에 따른 합병증, 국소제어율 그리고 궁극적으로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9년 11원부터 1993년 3월까지 식도암으로 진단받고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목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7예) 혹은 유도화학 및 방사선병행치료(13예)후 관내근접치료를 시행받은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 환자는 남자였고, 연령은 48세에서 82세(median 60.5세), 전신수행도 H1(ECOG)이상 그리고 편평상피세포암의 조직소견을 나타내었다. 발생부위별로는 경부 4예($20{\%}$), 상흉부 6예($30{\%}$), 중흉부 6예($30{\%}$) 그리고 하흉부 4예($20{\%}$)였다. 병기(AJCC)별로 11기 4예($20{\%}$), III기 15예($75{\%}$), IV기 1예($5{\%}$)였다. 방사선치료는 180-200cGy/fraction으로 원발병소를 포함하여 종격동 및 국소림프절 영역에 총 5900-6400cGy/6-7주(median 5940cGy) 조사하였고 2-8주후 관내 근접치료를 시행하였다. 관내방사선 근접치료는 고선량률 Iridium-192 동위원소를 이용한 Gamma-Med 12i를 사용하였고 지름이 5-6mm의 nasogastric tube를 식도내 삽입한후 원발병소부위에 고정시키고 원격조정으로 치료하였다. 방사선량은 300-500cGy/ fraction를 식도점막하 5mm에 조사하였고 1-4 fraction/1-3주, 총 500-1200cGy 조사하였다. 유도화학요법은 5-FU(1g/m2,d1-5), cis-platinum (80mg/m2,d6)을 1-6회(median 3회) 4주간격으로 시행하였다. 전환자에서 사망시까지 추적관찰되었으며 생존환자의 최소 추적기간은 13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정중앙 생존기간은 13.5개월, 1년 및 2년 생존율은 $65{\%},\;15.8{\%}$였다. 관내치료후 반응률은 완전관해 5예($25{\%}$), 부분관해a 7예($35{\%}$), 부분관해b 7예($35{\%}$), 무반응 3예($15{\%}$)였다. 외부방사선치료후 반응률이 부분관해a + 완전관해의 경우 관내근접치료의 부가로 $50{\%}$(4/8)의 국소제어율을 보였고 관내근접 치료후 완전관해가 유도된 환자에서는 $80{\%}$(4/5)의 높은 국소제어율을 나타냈다. 치료 실패양상은 국소재발이 $65{\%}$(13/20), 원격전이 $0{\%}$ 그리고 국소및 원격 동시재발 $15{\%}$(3/20)로 궁극적인 국소재발율이 $75{\%}$였다. 치료에 따른 합병증은 경미한 식도염 $55{\%}$(11예), 중증의 식도염 $10{\%}$(2예), 식도궤양 $10{\%}$(2예) 등이었으나 보조적인 치료후 모두 회복되었고 그리고 식도협착의 경우가 1예 있었다. 정중앙 생존기간을 치료군별(방사선 단독 vs. 화학방사선 : 13개월, 15개월), 병기별(II vs III : 15개월, 13.5개월), 병소의 길이(<5cm VS ${\geq}$ 5cm : 18개월, 13개월), T병기(T1-2 VS

  • PDF

식도암 방사선 치료에 대한 Patterns of Care Study ($1998{\sim}1999$)의 예비적 결과 분석 (Preliminary Report of the $1998{\sim}1999$ Patterns of Care Study of Radiation 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in Korea)

  • 허원주;최영민;이형식;김정기;김일한;이호준;이규찬;김정수;전미선;김진희;안용찬;김상기;김보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79-92
    • /
    • 2007
  • 목 적: 전국 병원의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식도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각 병원으로부터 입력 받아 세부 항목별로 분석하여 식도암 환자들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하여 범국가적인 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치료방침을 분석하여 향후 적절한 치료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국 병원의 방사선종양학과에서 1998년과 1999년의 2년간에 걸쳐 식도암으로 확진된 2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간 400명 미만의 방사선치료 신환자 발생병원들을 A군, 400명 이상 900명 미만의 병원들을 B군, 그리고 900명 이상 신환자가 발생하는 병원을 C군으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A군에서 12병원, B군에서 8개 병원, 그리고 C군에서 3개의 병원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미 개발된 Web-based Korean PCS system을 통해 각 병원으로부터 직접 자료를 입력 받아 이를 세부 항목별로 분석하였고 통계적 처리는 SPSS version 12.0.1을 사용하고 범주형 자료는 Chi-squared test를 사용하였고 연속변수는 ANOVA, Kruskal-Wallis test를 적용하였다. 결 과: 입력된 환자들의 성별 분포는 남자 224명(91.1%), 여자 22명(8.9%)이었고 연령별 중앙값은 62세 전후였다. 진단 및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로는 식도 촬영술(228명, 92.7%), 식도내시경(226명, 91.9%) 및 흉부 식도 CT 스캔(238명, 96.7%)을 주로 시행하였다. 편평상피암이 대종을 이루어 237명(96.3%)의 환자에서 관찰되었고 중흉부식도(mid-thoracic esophagus)에서 발생한 식도암이 가장 많았다(110명, 44.7%). 임상 병기는 III기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다(135명, 54.9%). 방사선 치료만 받은 경우는 57명(23.2%), 방사선 치료와 수술을 병용한 경우는 전체의 15%인 37명, 항암약물 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 경우는 123명(50%)이었다.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 경우 전례에서 수술을 먼저 시행한 후 방사선 치료를 하였다. 항암치료를 방사선치료와 병행한 경우 반수 이상에서(70명, 56.9%) 동시항암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고 31명(25.2%)에서 항암치료 후 방사선치료를 또는 항암요법 단독치료 후 동시항암방사선치료를(13명, 10.6%)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6 MV (116명, 47.2%)와 10 MV (87명, 35.4%)의 X-ray가 대종을 이루었다. 방사선 치료 시 조사야는 longitudinal margin의 경우 중앙값은 7.0 cm이었지만 각 군별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A군; 5.5 cm, B군; 8.0 cm, C군; 14.0 cm). 계획용 CT를 사용하지 않고 고식적인 AP/PA 조사야를 사용하여 치료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206명, 83.7%) 이 때 방사선 조사량의 중앙값은 3,600 cGy이었다. 이후 추가 방사선 치료 시 계획용 CT를 사용하지 않고 2-oblique fields 사용하여 치료한 경우가 87명(35.4%)이었는데 방사선 조사량의 중앙값은 1,800 cGy이었다. 전 환자에서 1일 1회 180 cGy로 치료하였다. 전 환자에서 조사된 총 방사선량의 중앙값은 5,580 cGy이었다.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경우 중앙값은 5,040 cGy이었고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 중앙값은 5,940 cGy이었다. 근접조사 방사선 치료는 총 34명(13.8%)에서 시행되었고, 전 환자에서 high dose rate Iridium-192를 사용하였다. 조사범위는 종양에서 longitudinal margin의 중앙값은 1 cm, prescribed isodose curve에서 axial length의 평균값은 8.25 cm, 폭은 2 cm, 그리고 전후 폭의 중앙값도 2 cm이었다. Fraction size의 중앙값은 300 cGy이었는데 B군의 경우는 500 cGy이었다. 총 분할 횟수는 $3{\sim}4$회가 대부분이었다. 한편, 방사선 치료 중 발생한 급성 부작용은 식도염이 가장 많았는데 전체 246명 환자 중 155명(63.0%)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전국 23개 병원의 식도암 환자 치료 Data를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의 병원에서 환자의 특징과 진단 및 병기 결정 방법, 치료의 유형 등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신환 발생 수에 따른 병원 규모의 차이는 조사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하지만 병원 규모가 클수록 10 MV 이상의 고에너지로 치료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3D CT Plan도 병원 규모가 클수록 활용도가 높았다. 조사 야의 면적도 병원 군별로 차이를 보였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입력하여 생존율 분석까지 이루어지면 이 연구는 식도암 치료방침의 결정에 중요한 guideline을 제시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Extrapulmonary Small Cell Carcinoma - a Case Series of Oropharyngeal and Esophageal Primary Sites Treated with Chemo-Radiotherapy

  • Sahai, Puja;Baghmar, Saphalta;Nath, Devajit;Arora, Saurabh;Bhasker, Suman;Gogia, Ajay;Sikka, Kapil;Kumar, Rakesh;Chander, Subhas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7025-7029
    • /
    • 2015
  • Background: The optimal sequence and extent of multimodality therapy remains to be defined for extrapulmonary small cell carcinoma because of its rarity.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followed by chemoradiation/radiation in patients with extrapulmonary small cel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Four consecutively diagnosed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rimary tumor site was oropharynx in three patients and esophagus in one. The patients with the limited disease were treated with chemotherapy followed by concurrent chemoradiation (n=2) or radiotherapy (n=1). The patient with the extensive disease with the primary site in vallecula was treated with chemotherapy and palliative radiotherapy to the metastatic site. Results: The median follow-up was 22.5 months (range, 8-24 months). Three patients with the limited disease (base of tongue, n=2; esophagus, n=1) were in complete remission. The patient with the extensive disease died of loco-regional tumor progression at 8 months from the time of diagnosis. Conclusions: The combination of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s the preferred therapeutic approach for patients with extrapulmonary small cell carcinoma.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concurrent chemoradiation or radiation provides a good loco-regional control in patients with limited disease.

식도암의 방사선치료 결과 고찰 (Results of Radiotherapy With and Without Chemotherapy for Esophageal Cancers)

  • 김상보;윤상모;류삼열;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33-239
    • /
    • 1991
  • 방사선치료 단독(25명) 또는 화학요법과 방사선 병용치료(37명)를 받은 62명의 식도암환자에 대한 후향성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환자중 14명이, 병용치료를 받은환자 중 25명이 계획된 치료를 끝내었다. 추적기간은 6일에서 50개월 이었다. 39명중 완전관해는 3명($8\%$)에서, 부분관해는 28명($72\%$)에서 보였다.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고, 1년 및 2년 생존율은 각각 $48.6\%,\;13\%$이었다. 나이와 병기가 예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병기에 따른 1년 생존율은 1기에서 $70.1\%$, 2에서 $47.6\%$, 3기에서 $28.4\%$이었고, 중앙생존기간은 1기에서 19개월, 2기에서 11개월, 3기에서 6개월 원격전이가 있는 3기에서는 5.5개월 이었다. 나이에 따른 1년 생존률은 55세 이상에서 $69.6\%$, 54세 이하에서 $0\%$이었다. 치료방법, 종양의 위치, 원발병소의 반응에 따른 생존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Matrix Metalloproteinase-13 - A Potential Biomarker for Detection and Prognostic Assessment of Patients with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Sedighi, Maryam;Aledavood, Seyed Amir;Abbaszadegan, MR;Memar, Bahram;Montazer, Mehdi;Rajabian, Majid;Gholamin, Mehr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6호
    • /
    • pp.2781-2785
    • /
    • 2016
  • Background: Matric metalloproteinase (MMP) 13 gene expression is increased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s (ESCCs) and associated with increasing tumor invasion, lymph node involvement and decreased survival rates. Levels of the circulating enzyme may be elevated and used as a marker of tumor progression. In this study, clinical application of MMP-13 serum levels was evaluated for early detection, prediction of prognosis and survival time of ESCC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Serum levels of MMP13 were determined by ELISA in 66 ESCC patients prior of any treatment and 54 healthy controls for comparison with clinicopathological data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with Man Whitney U and Log-Rank tests. In addition, clinical value of MMP13 levels for diagnosis was evaluated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test. Results: The serum level of MMP-13 in patients (>250 pg/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100 pg/ml) (p value=0.004). Also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MP-13 serum levels with tumor stage (p value = 0.003), depth of tumor invasion (p value=0.008), involvement of lymph nodes (p value = 0.011), tumor size (p value = 0.018) and survival time.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rade and location of tumors. ROC analysis showed that MMP-13 level is an accurate diagnostic marker especially to differentiate pre-invasive/ invasive lesions from normal control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100%).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a potential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MMP13 measurement for early detection and prognostic assessment in ESCC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