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protective effects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1초

동충하초 추출물과 백삼추출물 투여가 방사선을 조사한 생쥐 간에서의 glutathione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lutathione contents of White Ginseng(WG) Extracts and Entomopathogenic Fugi Extracts on the liver in Mice that was irradiated by radiation)

  • 고인호;여진동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99-106
    • /
    • 2012
  • 본 연구는 선형가속기의 고에너지 엑스선을 조사한 생쥐 간에 대한 백삼과 동충하초의 방사선방호효과를 연구하였다. ICR계 수컷생쥐 군에 7일 동안에 경구적으로 백삼(150 mg/kg/day)과 동충하초(200 mg/kg/day)를 각각 방사선조사 전에 투여했고 다른 생쥐 군에 5 Gy(1.01 Gy/min)의 방사선량으로 전신조사를 했고 대조군에 생리적 식염수 (0.1 ml)를 투여 한 후 간 조직에서 환원형 글루타치온(GSH)과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의 함량을 각각 검사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조사군(Rad)보다 동충하초투여군(EF+Rad)과 백삼투여군(WG+Rad)에서 환원형 글루타치온 (GSH)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했으나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의 함량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총 환원형 글루타치온(total GSH)과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의 함량 비율은 방사선조사군(Rad)보다 동충하초투여군(EF+Rad)과 백삼투여군(WG+Rad)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대표적 근류 생약의 방사선 방호효과 (The radioprotective effects of radices herbs)

  • 김성호;오헌;김세라;조성기;변명우;김길수;이종환;신동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5-111
    • /
    • 2001
  • We performed this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 of Jiegeng(Platycodon grandiflorum), Danggui(Angelica sinensis), Gancao(Glycyrrhiza glabla), Chaihu(Bupleurum falcatnosa), Shoudehuang(Rehmannia glutinosa), Huangqi(Satragalus membranaceus), Muxiang(Saussurea lappa), Yuanzhi(Polygala tenuifolia), Rensen(Panax ginseng) and Baishaoyao(Paeonia lactiflolia), as Oriental radices herbs, on jejunal crypt survival, endogenous spleen colony formation and apoptosis in jejunal crypt cells of mice irradiated with high and low dose of ${\gamma}-radiation$. Jiegeng(p<0.005), Danggui(p<0.0005), Gancao(p<0.005), Chaihu(p<0.05), Muxiang(p<0.05), Rensen(p<0.005) and Baishaoyao(p<0.005) were effective in intestinal crypt survival. Danggui(p<0.05), Chaihu(p<0.05), Shoudehuang(p<0.05), Huangqi(p<0.05), Rensan(p<0.005) and Baishaoyao(p<0.05) increased the formation of endogenous spleen colony. The frequency of radiation induced apoptosis was also reduced by pretreatment with Chaihu(p<0.05), Muxiang(p<0.005), Yuanzhi(p<0.05), Rensan(p<0.05) and Baishaoyao(p<0.05). Although the mechanisms of this effect remain to be elucidat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anggui, Chaihu, Muxiang, Rensan and Baishaiyao might be a useful radioprotector, especially since it is a relatively nontoxic natural product.

  • PDF

대표적 근경류 생약의 방사선 방호효과 (The Radioprotective Effects of Rhizomata Herbs)

  • 김성호;조성기;권오덕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13-18
    • /
    • 2001
  • 한의학에서 근경류(rhizomata)에 분류되어 있으며 각종 보익탕제에 주로 사용되는 대표적 생약인 백출(Baizhu, Atractylodes japonica), 천궁(Chuanxiong, Cnidium officinale), 산약(Shanyao, Discorea japonica) 및 승마(Shengma, Cimicifuga heracleifolia)의 방사선 방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고선량 및 저선량의 방사선을 마우스에 조사하고 소장움 생존, 내재성 비장집락형성 및 apoptosis 유발 등을 관찰하였다. 방사선조사전 승마 투여 군에서 소장움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내재성 비장집락 형성 시험에서는 천궁 투여 군에서 평균치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천궁 및 승마는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 형성을 억제시켰다. 이상의 결과에서 승마 및 천궁의 방사선 방호효과를 조혈세포의 생존과 회복, 소장움세포 생존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는 독성이 적은 천연물이라는 관점에서 방사선 방호 식품으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알긴산올리고당 처치 마우스의 방사선 유도 IL-6 (Radiation-Induced IL(interleukin)-6 in Mice with Algin-Oligosaccharide Treatment)

  • 최성관;지연상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4호
    • /
    • pp.321-3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미역이나 다시마에 많이 분포하면서 항산화작용이 탁월한 알긴산올리고당의 방사선 방어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 Gy 방사선이 전신 1회 조사된 마우스를 가지고 IL-6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방사선조사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소장과 간 조직 모두 방사선조사 전 7일간 알긴산올리고당의 처치를 시행한 그룹에서 IL-6 생성이 억제됨을 관찰하였다(p < 0.001). 이는 알긴산올리고당이 항산화작용을 통해 방사선이 피폭된 생체조직을 방어함으로써 IL-6의 생성을 억제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알긴산올리고당의 일부 방사선 방어효과를 규명했고 아울러 화학적 독성이 없는 자연산생물이 방사선 방어제로 활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hibition of Apoptosis by Elaeocarpus sylvestris in Mice Following Whole-body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Implications for Radioprotectors

  • Park, Eun-Jin;Lee, Nam-Ho;Ahn, Gin-Nae;Baik, Jong-Seok;Lee, Je-Hee;Hwang, Kyu-Kye;Park, Jae-Woo;Jee, Young-He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718-722
    • /
    • 2008
  •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E.S.), which contains 1, 2, 3, 4, 6-penta-O-galloyl-beta-D-glucose (PGG), is reported to have the ability to scavenge oxygen radicals, thereby protecting rat neuronal cells from oxidative damage. The potential of an E.S. extract, which contains a rich PGG, to protect radiosensitive lymphocytes and intestinal crypt cells from radiation injury induced by a single whole-body irradiation (WBI) in vivo was investigated.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immune cells, E.S. treatment decreased the percent of tail DNA, a parameter of DNA damage, compared with levels in untreated, irradiated controls. Furthermore, apoptosi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lymphocytes and intestinal crypt cells of E.S.-treated mice compared with irradiated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S. extract can strengthen the radioresistance of radiosensitive lymphocytes and crypt cells by preventing apoptosi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E.S. extract has the radioprotective effects in vivo through an inhibition of apoptosis.

난포성숙호르몬이 감마선 조사된 미성숙 생쥐 난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on ${\gamma}$-Ray Irradiated Immature Mouse Ovarian Follicles)

  • 김진규;이창주;이영근;송강원;윤용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89-96
    • /
    • 1998
  • 뇌하수체 분비호르몬인 FSH의 방사선방어 효능을 조사하고자 생후 3주된 미성숙 생쥐에 $\gamma$ 선을 전신조사하거나(R), 전신조사 후 FSH 5 IU를 복강주사(RF)하였다. 대조군은 동량의 식염수를 복강주사하거나(C) 혹은 FSH를 복강주사(F)하였다. 0시간, 6시간, 12시간 1일, 2일, 4일, 그리고 8일 후에 각 군별로 5마리씩 경추파열로 도살한 후 난소를 채취하였다. 난소는 neutral buffered formalin에 고정한 후 통상적인 표본조직을 만들었다. HE 염색을 기본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비교하였으며 전체 DNA를 추출하여 agarose gel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DNA fragmentation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방사선 조사군인 R군과 RF군에 있어서 6시간에서 12시간에 apoptosis를 반영하는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8일 경과시 분열세포의 존재비를 반영하는 염색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DNA fragmentation의 정도를 보면, 모든 실험군에서 185bp의 DNA ladder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70bp의 DNA는 R군의 경우 6시간에 나타났으며 1일 이후 감소하였다. RF군의 경우 12시간에 나타나 1일 이후 감소하였다. F군에서는 370bp가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강소형성 난포가 피폭되는 경우 4일 이후 8일에 이르러 난소내에서 완전히 소멸되고, 8일에 새로운 원시난포가 성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FSH는 방사선에 피폭된 난포의 퇴화를 지연 혹은 억제시키는 방사선방어 효과가 있었으며, 방사선에 의한 난포의 퇴화는 과립세포의 apoptosis를 매개로 하여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녹차 폴리페놀이 감마선조사에 의한 백혈병과 림프구모세포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Differential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 in the ${\gamma}-irradiation$ Induced Human Leukemic and Lymphoblastic Cell Damage)

  • 정환정;김은미;민정준;범희승;김영호;정영도;김창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08-316
    • /
    • 2003
  • 목적: 녹차 추출물(GTPP)은 암 예방과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외에 항산화제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암세포에 감마 방사선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경우 GTPP를 첨가함으로써 암세포 억제 증폭 효과와 정상세포에서의 방사선방호 효과가 함께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GTPP (EGCG > 45%, catechin 80% 포함)를 사람 백혈병 세포주인 HL60과 사람 림프구 모세포인 NC37에 방사선을 쪼이기 전에 미리 첨가한 후 실험을 하였다. 두 세포주에서 각각의 GTPP 농도와 방사선양에 따라서 생존능을 평가하여 GTPP 농도와 방사능 양을 결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GTPP농도에 따른 NC37에서 방사선방호 효과와 HL60에서의 암세포 억제 효과에 대한 실험을 시행하였다. 결과: NC37과 HL60 세포주에서 암세포 억제효과를 보이면서 정상세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사선 조사량은 1 Gy와 3 Gy정도이고, GTPP의 농도는 $10{\mu}g/ml$$20{\mu}g/ml$였다. NC37 세포주에서 GTPP를 농도별로 첨가하고 1 Gy와 3 Gy의 방사선을 각각 조사하였을 때 $10{\mu}g/ml$의 경우에는 3 Gy를 조사한 경우에만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1 Gy;P=0.126, 3 Gy;P=0.010), $20{\mu}g/ml$를 첨가한 경우는 1 Gy와 3 Gy를 조사한 군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1 Gy;P=0.946, 3 Gy;P=0.096). HL60 세포주에서는 방사선 조사량에 큰 상관없이 GTPP의 농도의 증가에 따라 암세포 성장이 크게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1\;Gy;\;10{\mu}g/ml;\;69.0{\pm}1.7%\;vs\;20{\mu}g/ml;\;42.4{\pm}1.3%,\;3\;Gy;\;10{\mu}g/ml;\;66.9{\pm}3.9%\;vs\;20{\mu}g/ml;\;44.2{\pm}1.6%$). 결론: 시험관 내 실험을 통하여 내부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GTPP를 첨가함으로써 정상세포에서 방사선방호 효과와 암세포에서 성장 억제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생체 내 실험을 통한 녹차 추출물의 정상 세포에 대한 방사선방호 작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녹차 추출물을 제공하여 주신 태평양 녹차 연구소의 소정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DDC, MEA, WR-2721의 방사선(放射線) 방호효과(防護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Radioprotective Effect of DDC, MEA, and WR-2721)

  • 정인용;고주환;정현우;진수일;유성열;고경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14-122
    • /
    • 1986
  • 방사선장해(放射線障害) 예방약제(豫防藥劑)의 인체적용(人體適用)은 약제(藥劑)의 부작용(副作用)으로 아직 임상적(臨床的) 이용(利用)이 되지 못한 실정(實情)으로서 생리학적(生理學的) 및 약리학적(藥理學的) 독성(毒性), 물리학적(物理學的) 제성질(諸性質), 약제(藥劑)의 작용기전(作用機轉) 구명(究明) 및 임상적(臨床的) 기술개발(技術開發)이 미흡(未洽)하여 방사선(放射線) 장해자(障害者)에 대(對)한 치료(治療)는 대증료법(對症療法)에 불과(不過)한 실정(實情)이다. 저자(著者)들은 방사선(放射線)에 의(依)한 인체장해예방(人體障害豫防)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현재(現在)까지 비교적(比較的) 독성(毒性)이 적고 화학적(化學的)으로 안정(安定)하며 약효(藥效)가 우수(優秀)하다고 알려진 DDC, MEA, WR-2721을 선정(選定)하여 실험동물(實驗動物) 비근교계(非近交系) Swiss Webster(NIH-GP) 마우스에 이용(利用)한 방사선(放射線) 방호작용(防護作用)에 관(關)한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각종(各種) 방사선(放射線) 방호제(防護劑)(DDC, MEA, WR-2721)의 마우스에 대한 적정(適定) 투여량(投與量)은 각각(各各) DDC; 1,000, MEA; 200, WR-2721; 400 mg/kg 이었다. 2) 실험동물(實驗動物)의 방사선(放射線) 반치사선량(半致死線量) LD50/10에 대(對)한 약제(藥劑)의 방호효과(防護效果) DMF는 DDC; 1.2, MEA; 1.4, WR-2721; 1.9이었고 LD50/30에 대(對)한 DMF는 DDC; 1.7, MEA; 1.8, WR-2721; 2.5이었다. 3) 공장(空腸) 소낭선(小囊腺)(Jejunum crypt)의 방사선평균치사선량(放射線平均致死線量)(Do)에 대(對)한 방호효과(防護效果) DMF는 DDC: 1.07, MEA; 1.21, WR-2721; 1.76이었고, 소낭선세포(小囊腺細胞)의 방사선(放射線) 평균치사선량(平均致死線量)에 대(對)한DMF는 DDC; 1.04, MEA; 1.08, WR-2721; 1.38이었다. 4) 이상(以上)으로 상기(上記) 3종(種)의 방사선(放射線) 방호제중(放護劑中) WR-2721의 방사선(放射線) 방호효과(防護效果)가 가장 우수(優秀)하였고 이 결과(結果)는 향후(向後) 임상적(臨床的) 적용(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의 기초자료(基礎資料)가 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수컷 쥐 전립선과 심장에 대한 단풍마 추출물의 방사선 방호효과 연구 (The Radioprotection Effect of Dioscorea Quinqueloba Extracts on the Prostate and Heart in Male Rats)

  • 최제경;김창주;정근우;정상현;주성현;민병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79-786
    • /
    • 2022
  • 본 연구는 천연 방사선 방호제로 단풍마 추출물이 수컷 쥐의 전립선과 심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단풍마는 남성 질환과 심장질환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10 Gy를 수컷 흰 쥐(Sprague Dawley Rat)의 전신에 조사하여 단풍마 추출물의 방사선 방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사 후, 1일, 7일, 21일 차의 혈액학적 변화, 7일 차의 항산화 효소(SOD) 활성도 및 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96 마리의 수컷 SD Rat을 대조군(NC Group), 단풍마 추출물 투여군(DQ Group), 방사선 조사군(IR Group), 단풍마 추출물 투여 후 방사선 조사군(DQ+IR Group)의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DQ+IR Group은 IR Group보다 더 높은 림프구, 혈소판 수치를 보였다. SOD 활성도도 DQ+IR Group은 IR Group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NC Group과 DQ Group에서는 전립선 낭 내의 세포 수가 양호하고 전립선 낭 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았다. 그러나 IR Group에서는 사멸한 세포 수가 많이 증가하고 간격이 넓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DQ+IR Group은 IR Group과 유사하게 전립선 낭 간의 간격이 증가했지만 사멸한 세포 수가 많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NC Group과 DQ Group은 심혈관과 심근이 뚜렷하게 분리되어 있고 세포의 상태가 양호하다. 그러나 IR Group에서는 사멸한 세포의 수가 많았고 심혈관과 심근 경계의 파괴를 확인할 수 있었다. DQ+IR Group은 IR Group과 유사하게 사멸한 세포의 수가 많았고 심혈관과 심근의 경계가 넓어졌지만 파괴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단풍마 추출물은 전립선 및 심혈관에 대한 방사선 방호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Reduced Glutathione 이 X-선전신조사(線全身照射)를 입은 마우스 십이지장(十二指腸)의 NP-SH, NP-SS 및 산소소비량(酸素消費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educed Glutathione on Non-Protein Sulfhydryl, Non-Protein Disulfide and Oxygen Consumption Rate of Mouse Duodenum Following Whole Body X-Irradiation)

  • 이중길;주영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5권2호
    • /
    • pp.55-62
    • /
    • 1971
  •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s of whole body X-irradiation on the levels of non-protein sulfhydryl (NP-SH), non-protein disulfide (NP-SS) and oxygen consumption rate $(QO_2)$ of the mouse duodenum, and to clarify the possible radioprotective action of reduced glutathione (GSH), a whole body X-irradiation of 1,000r was given to albino mouse either singularly or immediately after injecting GSH intraperitoneally to mouse 1 mg per gm of body weight. NP-SH was measured by Ellman's method, NP-SS was measured by the electrolytic reduction method described by Dohan and Woodward, and $(QO_2)$ by the Warburg's standard manometric metho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1, 6, 12 and 24 hours post-irradiation, and the comparison was made with the control. The results thu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omparing with the intrinsic NP-SH level of $3.31{\pm}0.27{\mu}\;mol/gm$ wet weight in the duodenum of the normal mouse, either whale body X-irradiation or injection of GSH alone produced no significant change in NP-SH from the normal. However, when GSH was injected prior to X-irradiation, markedly elevated NP-SH level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entire experiment with the highest value of $4.70{\pm}0.10$ at 6 experimental hours. 2) The normal value of NP-SS in the mouse duodenum was $1.57{\pm}0.17{\mu}\;mol/gm$ wet weight, while in the group where injection of GSH and X-irradiation were combined, NP-SS increased to $2.36{\pm}0.33$ at 12 hours and $2.15{\pm}0.53$ at 24 hours, showing the intermediate value between the GSH injection group and X·irradiation group. 3) The normal value of $(QO_2)$ was $4.16{\pm}0.73{\mu}l\;O_2/hr./gm$ D.W., and no noticeable change was observed comparing with the GSH injection group. However, in the group where X·irradiation alone was given, $(QO_2)$ of the duodenum increased significantly throughout the entire experiment with the highest value of $6.35{\pm}1.07$ at 6 experimental hours. When GSH was injected before X-irradiation was given, the levels of $(QO_2)$ were in the middle of the GSH injection group and X-irradiation group. 4)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GSH may be effective as a radioprotector in terms of NP-SH, NP-SS and $(QO_2)$ of the mouse duoden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