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graphy setting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6초

간접평판형 검출기에서 국제전자기술위원회 기준을 통한 잡음전력스펙트럼 비교 연구 (Comparison of Noise Power Spectrum in Measurements by Using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Standard Devices in Indirect Digital Radiography)

  • 민정환;정회원;김기원;권경태;정재용;손진현;김현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5호
    • /
    • pp.457-46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mage quality of indirect digital radiography (IDR) system using the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standard (IEC 62220-1), and to suggest the analysis of noise power spectrum (NPS) which were applied to IEC 62220-1 in medical imaging. In this study, Pixium 4600 (Trixell, France) which is indirect flat panel detector (FPD) was used. The size of image receptor (IR) is $7{\times}17$ inch (matrix $3001{\times}3001$) which performed 14bit processing and pixel pitch is $143{\mu}m$. In IEC standard, NPS evaluation were applied to RQA3, RQA5, RQA7 and RQA9. Because of different radiation quality, each region of interesting (ROI)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NPS indicated up to $3.5mm^{-1}$ including low Nyquist frequency. RQA5 indicated the lowest NPS and the others indicated higher NPS results relatively. NPS result of ROI a38 was higher than ROI a92 and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re are more noise in left (cathode) than right (anode). This study were to evaluate NPS by using different radiation quality and setting the each ROI, and to suggest the quantitative methods of measuring NPS.

간접평판형 검출기에서 변조전달함수 측정 시 Edge 각도에 따른 비교 연구 (Comparison o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in Measurements by Using Edge Device angle in Indirect Digital Radiography)

  • 민정환;정회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4호
    • /
    • pp.259-263
    • /
    • 2019
  • This study was purpose to compare image quality of Indirect digital radiography (IDR) system by using the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standard(IEC 62220-1) which were applied to IEC in medical imaging. To evaluation the analysis o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MTF) measurements edge device each angle by using edge method. In this study, Aero (Konica, Japan) which is Indirect flat panel detector(FPD) was used, the size of image receptor matrix $1994{\times}2430$ which performed 12bit processing and pixel pitch is $175{\mu}m$. In IEC standard method were applied to each angle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shown as LSF at $2.0^{\circ}$ and $3.0^{\circ}$ angeles. Shape is constant and shows smooth shape. The amount of data seemed reasonable and 2.19 cycles/mm and 2.01 cycles/mm at a spatial frequency of $2.0^{\circ}$ and $3.0^{\circ}$ at an MTF value of 0.1. At an MTF value of 0.5, the spatial frequencies were $2.0^{\circ}$ and 1.11 cycles/mm and 0.93 cycles/mm at an angle of $3.0^{\circ}$. This study were to evaluate MTF by setting the each $2{\sim}3^{\circ}$ each angle and to suggest the quantitative methods of measuring by using IEC.

T-spine exhalation technique과 자연스런 호흡 상태에서 촬영하는 T-spine breathing technique의 정량적 평가 (Evaluation of quantitative on T-spine exhalation technique and T-spine breathing technique of natural breathing)

  • 손순룡;최관우;민정환;손진현;김기원;정재홍;정회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429-4436
    • /
    • 2013
  • 흉추 측면검사에서 기존의 T-spine exhalation technique (TET)과 환자의 자연스런 호흡 상태에서 촬영하는 T-spine breathing technique (TBT)의 대조도 잡음 비와 신호 대 잡음 비를 측정하여 적절한 검사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2년 6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척추질환으로 본원을 내원하여 흉추 측면검사를 시행한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일한 환자를 대상으로 측면 선 자세에서 기존의 TET와 TBT를 병행하였다. 화질 평가는 흉추 측면검사의 평가요소 중 5곳(극돌기, 추궁근, 추체, 추간공, 추간)을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심영역을 정하고 화소의 평균과 대조 농도와의 차이를 구하여 대조도 잡음 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추체에 관심영역을 정하여 화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신호 대 잡음 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TET와 TBT방법으로 촬영한 영상을 대조도 잡음 비와 신호 대 잡음 비에서 비교한 결과, TBT방법이 추궁근, 추체, 추간공, 추간의 구조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1). 기존의 심호기법에 비해 TBT방법으로 촬영한 영상은 우수한 화질을 제공하므로 이를 토대로 임상에 혼재되어 있는 흉추 측면 검사법을 재정립하고, 여러 의료기관에 적용할 경우, 유용성이 크다고 사료된다.

흉부 후·전방향 검사 시 보조관심영역의 변화가 노출지수와 입사표면선량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to the Exposure Index and Entrance Surface Dose according to the Sub-ROI in Chest PA Radiography)

  • 장용희;안호찬;김한용;김동환;주영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85-691
    • /
    • 2023
  • 본 연구는 흉부 후·전방향 검사 시 보조관심영역의 변화가 노출지수와 선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적절한 보조관심영역 적용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흉부 모형 팬텀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조건은 120 kVp, 200 mA, 2 mAs로 설정하였으며, 조사야 크기는 영상수용체 전체를 포함하는 크기(17 X 17")를 적용했다. Sub-ROI는 장비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다섯 가지 방식(AEC, VR, HR, LS, SS)를 이용하였다. Sub-ROI 변화에 따른 EI의 평균값은 AEC의 경우 135.58 ± 0.89, VR은 100.80 ± 0.80, HR은 143.43 ± 0.76, LS는 103.22 ± 0.68, SS는 102.79 ± 0.84로 나타났으며, ESD의 평균값은 AEC의 경우 30.28 ± 0.50 µGy, VR은 30.16 ± 0.44 µGy, HR은 30.30 ± 0.46 µGy, LS는 30.23 ± 0.46 µGy, SS는 30.28 ± 0.51 µGy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EI는 제조사에서 권고하는 AEC 모드를 기준으로 VR (25.7%)과 LS (23.9%), SS (24.2%)모드는 감소하였으며, HR 모드는 5.7% 증가하였다. 하지만, ESD는 Sub-ROI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Chest PA 검사 시 Sub-ROI에 따라서 EI가 변경될 수 있으니, 임상에서는 이점을 유의하여 검사조건 설정 시 Sub-ROI를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CR 시스템을 이용한 방사선 종양학과의 Filmless 환경 구축 (Setting Up a CR Based Filmless Environment for the Radiation Oncology)

  • 김동영;이지혜;김명수;하보람;이천희;김소영;안소현;이레나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2권3호
    • /
    • pp.155-162
    • /
    • 2011
  • 방사선치료를 위한 아날로그영상기반의 시뮬레이터와 의료용 선형가속기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X-ray 필름을 Computed Radiography (CR)로 교체하여 디지털영상기반의 시스템으로 개선하였다. 장비교체를 최소화하였고 기존의 치료과정과 유사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짧은 시간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필름카세트와 필름현상기는 CR카세트와 CR리더기로 대신하였고, ViewBox는 소형PC와 모니터로 대체되었다. 디지털영상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 방사선종양학과에 적합한 Viewer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업무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도모하였다. Viewer 소프트웨어는 2개의 이미지를 동시에 볼 수 있으며, 이들 영상의 비교도 가능하다. 다양한 검색기능과 Contouring 기능, 윈도우폭/레벨 조절기능을 갖추었다. 업무의 중단이 없도록 하기 위해 1주일간 기존 필름과 CR을 공동으로 운용하며 문제점을 수정한 후 필름시스템을 제거하고 CR시스템을 운용하였다. CR시스템은 안정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본격적으로 CR시스템이 이용되면서 사용자로부터 제기되는 여러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기능을 개선하였다.

현장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한 방사선과 재학생의 직무수행도 평가 -일반촬영 (Evaluation of Job Performance of Radiology Students by using Field-based Radiography Course)

  • 권순무;김경아;박창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551-557
    • /
    • 2016
  •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체계화한 것이다. NCS기반 현장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한 방사선과 재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일반촬영에 대한 방사선사 직무수행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모든 촬영방식에서 우수 및 충족 비율이 93% 이상으로 현장중심 교육과정이 재학생의 직무수행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CR 방식은 전체적으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나 대상자 간 편차가 크고 영상기기조작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Film 방식은 노출조건 설정 및 현상작업이 문제점으로 평가되었다. DR 방식은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나 영상기기조작능력, 부속기자재운영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각 촬영에서 성취수준 이하의 평가요소를 교과목 운영에 보완한다면 재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뿐만 아니라 졸업 후 임상에서 방사선사 직무수행도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 판단 한다.

임상가를 위한 특집 1 - CBCT의 선택과 처방 (How to Choose and Use the CBCT)

  • 안창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3호
    • /
    • pp.132-138
    • /
    • 2014
  • The emergence of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 in the late 1990s represented an innovative advancement in the field of dent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because it greatly reduced the radiation exposure to patients and offered 3D images easily. The 3D information generated by this technique brings the potential of improved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for a wide range of clinical applications in dentistry. The use of CBCT includes diagnosis and surgical assessment of the orofacial hard tissue lesions, dental implant treatment planning and postoperative evaluation, TMJ assessment, diagnosis of craniofacial fracture, orthodontics, endodontics, and so on. All CBCT examinations should be justified on an individualized needs. The clinical benefits to the patient for each CBCT scan must outweigh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CBCT scans should be taken with initially obtained medical and dental histories of patients and a close clinical examination. CBCT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aging alternative of other conventional radiography in cases where the anatomical structures of interest may not be seen. The smallest possible field of view(FOV) and the lowest setting of tube current and scan time should be chosen, and the entire images scanned should be interpreted by a qualified expert.

피폭선량 산출을 통한 피부입사선량 계산: 머리 및 손목을 중심으로 (Entrance Surface Dose according to Dose Calculation : Head and Wrist)

  • 성호진;한재복;송종남;최남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3호
    • /
    • pp.305-31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진단용 X선 검사에서 환자에게 피폭되는 두부 및 사지를 다양한 선량 계산법을 통해 실측 선량과 비교 실험하였다. 또한 촬영 장비의 형태, 장비 설정조건, X선의 용량, X선관과 환자와의 거리, X선 후방산란차이 등을 고려한 새로운 계산 방법을 제시하여 피폭선량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피부입사선량이 기존의 선량 계산법보다 실측과의 오차가 줄어들었으며, 환자가 피폭되는 선량을 쉽게 계산할 수 있었고 의료선량 평가가 이루어지게 되어 방사선 관련 종사자들의 의료 선량 관리가 더욱 수월해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선작업종사자 1인당 연간 피폭 선량에 대한 빈도 분포를 이용한 선량제약치 설정 방안 (Establishment of the Dose Constraints Us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for the Annual Exposure Dose per Radiation Worker)

  • 박상민;서정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91-402
    • /
    • 2024
  • 본 연구는 방사선작업종사자 1인당 연간 피폭 선량에 대한 빈도 분포를 이용한 선량제약치 설정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국내의 방사선투과검사를 목적으로 작업장 개설 신고를 완료한 13개 사업소를 대상으로 1개월 단위의 개인 선량계 판독 값을 조사하고 방사선작업종사자 1인당 연간 피폭 선량에 대한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량제약치 설정 지표는 방사선 방호 관련 국제기구의 권고에 따라 95 백분위수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결과적으로 3년의 조사 기간 동안 방사선투과검사 분야의 선량제약치는 평균 5.15 mSv로 설정되었다. 원자력관계사업자가 본 연구에서 제안된 선량제약치를 자체적으로 설정하고 성공적으로 운영하였다고 가정할 때 등록된 방사선작업종사자의 5%에 해당하는 52명의 피폭 불평등을 관리할 수 있으며 760 man-mSv의 집단선량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따라서 원자력관계사업자가 본 연구에서 제안된 선량제약치 설정 지표를 이용하여 선량제약치를 자체적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제한 값보다 높은 선량 준위가 예측되는 피폭 상황을 방호 계획 수립 과정에서 배제시킴으로서 방호의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재생 냉각용 연소기의 최적 브레이징 조건 (Optimized Brazing Conditions of Regenerative Cooling Thrust Chambers)

  • 남대근;홍석호;한규석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112-11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재생 냉각용 연소기에 적용되고 있는 동합금과 2상 스테인리스강의 최적 브레이징 조건을 구하였다. 모재는 C18200 동합금과 S31803 2상 스테인레스강을, 삽입금속으로 두께가 각각 50${\mu}m$, 80${\mu}m$인 AMS4764를 사용하였다. 브레이징한 시제에 대하여 X선 검사, 강도/기밀 및 파괴시험, 파단면 관찰을 한 결과 두께 50${\mu}m$인 삽입금속을 사용한 경우 강도특성과 접합면이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두께 80${\mu}m$인 삽입금속을 사용한 경우는 강도특성은 양호하였으나 냉각유로의 막힘 현상과 유로 확대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