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graphy

검색결과 2,235건 처리시간 0.022초

디지털구내방사선사진의 구리당량화상에 대한 평가 (An Assessment on Cu-Equivalent Image of Digital Intraoral Radiography)

  • 김재덕
    • 치과방사선
    • /
    • 제29권1호
    • /
    • pp.33-42
    • /
    • 1999
  • Geometrically standardized dental radiographs were taken. We prepared Digital Cu-Equivalent Image Analyzing System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mandible bone. Images of radiographs were digitized by means of Quick scanner and personal Mcquintosh computer. NIH image as software was used for analyzing images. A stepwedge composed of 10 steps of 0.1mm copper foil in thickness was used for reference material.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step numbers of copper wedge adopted for calculating equation. kVp and exposure time on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²)of the equation for conversion to Cu-equivalent image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Cu-Eq value(mm) measured at each copper step and alveolar bone of the mandib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r²) of 10 conversion equations ranged from 0.9996 to 0.9973(mean=0.9988) under 70kVp and 0.16 sec. exposure. The equation showed the highest r was Y=4.75614612-0.06300524x +0.00032367x² -0.00000060x³. 2. The value of r² became lower when the equation was calculated from the copper stepwedge including 1.0mm step. In case of including 0mm step for calculation. the value of r showed variability. 3.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howed 0.11, 0.20 respectively at each copper step of 0.2, 0.1mm in thickness. Those of the other steps to 0.9 mm ranged from 0.06 to 0.09 in mean value. 4. The mean Cu-Eq value of alveolar bone was 0.14±0.02mm under optimal exposure. The values were lower than the mean under the exposures over 0.20sec. in 60kVp and over 0.16sec. in 70kVp. 5. Under the exposure condition of 60kVp 0.16sec..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howed 0.03. 0.05 respectively at each copper-step of 0.3, 0.2mm in thickness. The value of r² showed over 0.9991 from both 9 and 10 steps of copper. The Cu-Eq value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0.14±0.01mm and 0.07 at alveolar bone respectively. In summary. A clinical application of this system seemed to be useful for assessment of quantitative assessment of alveolar provided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s obtained by the modified adoption of copper step numbers and the low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range of Cu-Equivalent value of alveolar bone from optimal kVp and exposure time for each x-ray machine.

  • PDF

Evaluation of the clinical efficacy of a TW3-based fully automated bone age assessment system using deep neural networks

  • Shin, Nan-Young;Lee, Byoung-Dai;Kang, Ju-Hee;Kim, Hye-Rin;Oh, Dong Hyo;Lee, Byung Il;Kim, Sung Hyun;Lee, Mu Sook;Heo, Min-Suk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0권3호
    • /
    • pp.237-243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a Tanner-Whitehouse 3 (TW3)-based fully automated bone age assessment system on hand-wrist radiographs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aterials and Methods: Hand-wrist radiographs of 80 subjects (40 boys and 40 girls, 7-15 years of age) were collected. The clinical efficac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bone ages that were determined using the system with those from the reference standard produced by 2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ists. Comparisons were conducted using the paired t-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bone ages estimated with this bone age assessment syste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btained with the reference standard (P>0.05) and satisfied the equivalence criterion of 0.6 years with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0.07 to 0.22), demonstrating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system. Similarly, in the comparisons of gender sub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age between the values produced by the system and the reference standard was observed (P>0.05 for both boys and girls).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s obtained via regression analysis were 0.962, 0.945, and 0.952 for boys, girls, and overall, respectively (P=0.000); hence, the radiologist-determined bone ages and the system-determined bone ages were strongly correlated. Conclusion: This TW3-based system can be effectively used for bone age assessment based on hand-wrist radiographs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하악 구치부의 임플란트 매식부위 평가시 치조정-하악관간 거리의 확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The Affecting Factor to Magnification Ratio from Alveolar Crest To Inferior Mandibular Canal in Diagnosis of Implant Site of Mandibular Molar Region with Panoramic Radiography)

  • 정재진;최상묵;이용무;구영;정종평;한수부;류인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4호
    • /
    • pp.811-822
    • /
    • 2001
  • 최근 임플란트를 원하고, 필요로 하는 환자가 증가하면서 술전의 정확한 진단이 보다 중요해졌고 다양한 진단방법이 소개되고 이용되어져 왔다. 그 중 보편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는 방법이 방사선 촬영법이고 그 중에서도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이다. 하지만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용이함과 간편성에도 불구하고 그 방법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 때문에 CT/MPR(Computer Tomography/Multiplanar Reformatting)이 일부 환자에서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이 대다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 구치부에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을 알아보고 파노라마방사선사진과 CT/MPR에서 치조정-하악관간 거리가 실제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에 환자의 하악골의 경사도와 하악관의 해부학적 위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 치과병원 치주과를 내원하여 하악구치부에 Dental Implant 시술을 받은 15명의 환자, 32개 부위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술전 파노라마방사선사진과 CT/MPR, 술후의 파노라마방사선사진, CT/MPR상을 자료로,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서 치조정에서 하악관의 길이, 하악골의 협설폭경,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의 수평길이, 임플란트 매식체의 설측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를 계측하였고 이 해부학적 계측치들이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과 어떤 상관관계에 있는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est를 이용해 살펴보았다. 1.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은 CT/MPR상에서 하악골 단면의 협설폭경(Pearson test에서의 상관관계 분석시, 상관계수 r=-0.604), 임플란트 매식체의 설측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r=-0.515),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r=-0.640)와 뚜렷한 음적 선형관계가 있었다. 2.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은 CT/MPR상에서 하악골의 장축의 각도와는 뚜렷한 양적 선형관계(Pearson test에서의 상관관계 분석시, 상관계수 r=-0.446)가 있었다. 3. 여러 요소중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과 가장 유의성있는 연관성을 보이는 것은 CT/MPR상에서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였다(r=-0.640) 4.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은 일반적으로 생각되어지는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 125%보다 큰, 약 135%로 나왔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하악골의 설측면에서 하악관까지의 수평거리가 CT/MPR에 대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확대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추정되며 확대율은 12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아동의 치아성숙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MATURATION IN CHILDREN WITH CLASS III SKELETAL MALOCCLUSION OF MANDIBULAR OVERGROWTH TYPE)

  • 류현정;이창한;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1-27
    • /
    • 2013
  • 현재까지의 많은 연구들을 통해 치아의 발육상태와 골격성 부정교합과의 연관성이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는 방사선학적 방법을 통하여 정상교합군과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의 상하악 치령 및 제2대구치 맹출률을 비교, 분석하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으로 평가 가능한 상하악 치아성숙도의 차이가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감별진단 요소로 의의가 있는지 알아볼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부산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한 Hellman 치령 IIIA의 환자를 대상으로 정상교합군과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 각 50명을 선택한 후, 이들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Demirjian법으로 각 군의 상하악 치령 및 제2대구치 맹출률을 구하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상교합군과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의 상하 치령의 차이는 각각 0.66세와 1.20세로 하악 과성장형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에서 유의하게 더 큰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상하 제2대구치 맹출률은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베이지안 기법에 의거한 중대형 방사선원의 분실 시 일반인에 대한 방사선 위험도의 평가 (Radiological Risk Assessment for the Public Under the Loss of Medium and Large Sources Using Bayesian Methodology)

  • 김주연;장한기;이재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91-97
    • /
    • 2005
  • 베이지안 기법은 객관적 자료 이외에 주관적 지식도 평가에 반영하는 특성으로 인해 최근 PRA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검사 장비 분실에 대한 방사선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베이지안 기법을 활용하였다. U.S. NRC에서 제시한 선원분실 피폭 시나리오를 국내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였고 안전인자의 사고발생 확률에 국한하여 적용하였다. 사고발생 확률수정의 경우 Jeffreys사전분포를 사용한 결과가 모호사전분포를 사용한 결과보다 5 % 베이즈 하한치가 더 낮아서 방사선 사고와 같은 낮은 사고발생 확률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한 위험도 평가에 적합하다. 위험도의 결과를 보면 일반인의 연간 예상되는 평균선량은 베이지안 기법이 고전적인 기법에 의거한 평가보다 높은 선량을 나타내는데 이는 수정된 안전인자 확률의 평균이 고전적 확률 참보다 높게 평가된 것에 기인한다. 국내의 경우 방사선 위험도 평가를 위한 자료구축이 미비한 바 베이지안 기법은 위험도 평가에 유용한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는 위험도 정보-기반 규제에 기여할 것이다.

Imaging Plate를 이용한 극저준위 방사능 측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Method of Extremely Low Level Activity with Imaging Plate)

  • 곽지연;이경범;이종만;박태순;오필제;이민기;서지숙;황한열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231-236
    • /
    • 2004
  • 시료중의 방사능 분포를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는 2차원 디지털 방사선 검출기인 Imaging Plate(IP) 검출기는 주로 산업용 라디오그라피, 의료진단, X-선 회절실험 등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P 검출기의 여러 종류의 방사선에 대한 높은 감도 우수한 공간 분해능, 넓은 선형범위와 스크린의 높은 균질성을 이용하여 시료중의 방사능을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IP 검출기를 이용하여 면적선원의 표면균질도 측정에 적용하였다. 상용 기준 면적선원$(^{241}Am)$의 방사능 분포에 대한 영상을 얻어서 표면 균질도를 비 파괴적이고 신속하게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IP 검출기를 극저준위 방사능 측정에 적용하여 방사능 측정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IP 검출기의 스크린 균질도, 배경방사선 차폐효과, 선형범위 조사, fading 시간을 조사하였다. 극저준위 방사능 측정을 위해 감자 바나나 무 당근에 포함되어 있는 $^{40}K$ 자연방사능을 선택하여 측정하였다. 기준선원을 사용하여 IP 효율교정을 수행하였다.

$BrO_2/a-Se$ 구조의 방사선 변환센서에서 a-Se에 첨가된 조성비 변화에 따른 I-V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I-V Characteristic as Various Composition ratio of Iodine in a-Se of $BrO_2/a-Se$ based Radiation Conversion Sensor)

  • 최장용;박지군;공현기;안상호;남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5
    • /
    • pp.440-443
    • /
    • 2002
  • Present1y the X-Ray diagnosis system is a real condition that is changing by digital ways in it's existent analog ways. This digital radiation detector is divided by the direct method and the indirect method. The indirect method of applied voltage has special qualities that the resolution is low than direct method by diffusion effect that happens. The conversion process ( radiation${\rightarrow}$visible ray${\rightarrow}$electrical signal of two times, has shortcomings that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electrical signal is low. The direct method has shortcomings that need strong electric fie1d to detect electrical signal efficiently. This research achieved to develop digital detector of the Hybrid method that have form that mixes two ways to supplement shortcoming of direct. indirect method. A studied electrical characteristic by Iodine's Mixture ratio change is added to selenium in the detector which has a multi-layer structure (Oxybromide + a-Se). There are 8 kinds of Manufactured compositions to amorphous selenium Iodine each 30ppm, 100ppm, 200 ppm, 300ppm, 400ppm, 500ppm, 600ppm, 700ppm by a doped photoconductor through a vacuum thermal evaporation method. The phosphor layer is consisted of Oxybromide ($BrO_2$) which uses optical adhesives multi-layer structure. The manufactured compositions calculates and compares Net Charge and signal to noise ratio measuring Photocurrent about Darkcurrent and X-ray. When doped Iodine Mixture ratio is 500ppm to the multi-layer structure (Oxybromide + a-Se), applied voltage of $3V/{\mu}m$, leakage current of compositions $2.61nA/cm^2$ and net charge value by 764pC/$cm^2$/mR then the best result appeared.

  • PDF

기관지 협착 근위부의 연무 침착: 폐스캔에서 기관지 폐색의 특이한 지표 (Prestenotic Bronchial Radioaerosol Deposition: A New Lung Scan Sign of Bronchial Obstruction)

  • 정수교;김학희;최병길;이상훈;강시원;박용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7-312
    • /
    • 1995
  • 기관지 폐색은 임상적으로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특히 대엽 이하나 소엽 기관지에 폐색이 일어날 경우엔 그 변화가 미미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저자들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기관지 폐색과 협착을 일으킨 8예에서 연무흡입 폐환기스캔을 시행하여 폐환기스캔 소견을 분석하였고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8예중 7예는 기관지 폐색이었고 1예는 기관지 협착이었다. 연무흡입 폐환기스캔은 $^{99m}Tc$-phytate를 BARC nebulizer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스캔 소견을 단순 흉부X선, 기관지조영술, CT, 그리고 기관지경 소견과 비교하였다. 전예에서 특징적으로 기관지 폐색 또는 협착 근위부에 짧고 약간 확장된 기관지 분절에 강한 연무침착 소견을 보였다. 또한 원위부에서는 폐실질의 환기결손 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소견은 기관지 폐색과 협착의 감수적이고 특이한 소견이며, 연두흡입 폐환기스캔은 특히 폐색부가 대엽 이하나 소엽 기관지일 경우에 더욱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하악 제1대구치 협측 소와의 맹출 전 방사선 투과상과 수복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Pre-Eruptive Buccal Pit Radiolucency and Restoration in Mandibular First Molar)

  • 정서현;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7-64
    • /
    • 2018
  • Pre-eruptive intracoronal resorption (PEIR)은 맹출 전 치아의 치관 내에서 나타나는 발달 상의 결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미맹출 하악 제1대구치 협측 소와에서 PEIR로 의심되는 방사선 투과상과 맹출 중인 하악 제1대구치에서 협측소와의 수복 필요성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실험군은 맹출 중일 때 협측 소와에 한정된 수복이 필요한 병소가 관찰되었던 35개의 하악 제1대구치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맹출 후 건전했던 하악 제1대구치 64개를 포함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맹출 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측정된 협측 소와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다. 실험군 내에서 성별, 나이, 치아형성단계, 수복 방법에 따른 협측 소와 크기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커브를 그렸을 때, 커브 아래 면적이 $0.813{\pm}0.047$으로 방사선 사진 상의 협측 소와 크기를 근거로 수복 필요성을 예측했을 때 중등도의 정확성을 보였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맹출 전 하악 제1대구치의 협측 소와 부위에서 방사선 투과상이 관찰되는 경우 임상적으로 PEIR을 의심하고 주기적인 관찰과 맹출 후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유골골종의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he Treatment of Osteoid osteoma)

  • 서재곤;정광훈;양일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83-89
    • /
    • 2002
  • 목적: 유골골종의 진단 후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후 기능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인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99년 7월부터 2001년 1월 사이에 임상소견 및 방사선 소견상 유골골종으로 진단 받고 저자들이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최소 8개월에서 최장 2년 1개월로 평균 15.5개월이었다. 술 전 방사선학적 검사로는 단순방사선촬영,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이 진단 및 병소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술 후에는 정기적인 단순방사선 사진 및 자기공명영상으로 추적관찰 하였다. 결과: 술 후 환자의 증상 소실은 7례의 환자에서 3일 이내에 완전 소실이 이루어 졌으며 평균 입원 기간은 1례의 화상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하고는 평균 2.4일 이었고 퇴원의 기준은 환자의 동통이 완전 소실된 이후로 하였다. 술 후 야간통 및 주간통 점수는 각각 평균 1.8점과 1.3점으로 이었다. 직업 활동 및 여가 활동의 점수도 각각 평균 1점과 0.6점이었다. 결론: 유골골종에 대하여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로 비교적 만족할 만한 기능적 결과를 얻었다. 이 시술은 기존의 고식적 방법으로 인한 입원기간의 증가, 술 후 골절 방지를 위한 내고정술 및 뼈 이식의 필요, 그리고 장기간의 고정으로 인한 관절운동의 장애 등의 합병증 없이 유골골종의 제거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