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he Treatment of Osteoid osteoma

유골골종의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

  • Seo, Jai-G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Jung, Kwang-Ho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Yang, Il-So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서재곤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정광훈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양일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Purpose: To analyze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and radiographic follow-up results in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 after the diagnosis of osteoid osteoma.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who were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diagnosed with osteoid osteoma from July 1999 to January 2001, and received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5.5 months(range, 8~25 months). For the diagnosis and accurate localization of the lesion, simple radiography,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Simple radiographs and MRI were taken periodically for the follow-up studies. Results: In all 7 patients, symptoms completely disappeared within 3 days after the operation. The average period of hospitalization was 2.4 days, excluding 1 patient who needed an additional burn treatment. The average postoperative night and day pain scores were 1.8 and 1.3, respectively. The average vocational and recreational activity scores were 1 and 0.6, respectively. Conclusions: Satisfactory functional results were obtained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 for the elimination of osteoid osteoma. Compared to conventional treatment, the advantages of this therapy were short hospitalization period, no internal fixation and bone graft for preventing fracture, and no limitation of joint motion by long fixation period.

목적: 유골골종의 진단 후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후 기능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인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99년 7월부터 2001년 1월 사이에 임상소견 및 방사선 소견상 유골골종으로 진단 받고 저자들이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최소 8개월에서 최장 2년 1개월로 평균 15.5개월이었다. 술 전 방사선학적 검사로는 단순방사선촬영,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이 진단 및 병소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술 후에는 정기적인 단순방사선 사진 및 자기공명영상으로 추적관찰 하였다. 결과: 술 후 환자의 증상 소실은 7례의 환자에서 3일 이내에 완전 소실이 이루어 졌으며 평균 입원 기간은 1례의 화상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하고는 평균 2.4일 이었고 퇴원의 기준은 환자의 동통이 완전 소실된 이후로 하였다. 술 후 야간통 및 주간통 점수는 각각 평균 1.8점과 1.3점으로 이었다. 직업 활동 및 여가 활동의 점수도 각각 평균 1점과 0.6점이었다. 결론: 유골골종에 대하여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로 비교적 만족할 만한 기능적 결과를 얻었다. 이 시술은 기존의 고식적 방법으로 인한 입원기간의 증가, 술 후 골절 방지를 위한 내고정술 및 뼈 이식의 필요, 그리고 장기간의 고정으로 인한 관절운동의 장애 등의 합병증 없이 유골골종의 제거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