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sensitivity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43초

SDR 도입에 따른 기술 표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chnology Standardization as Introduction of SDR Technology)

  • 정성철;김규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32-135
    • /
    • 2002
  •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서 미래 지향적인 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SDR(Software Defined Radio) 기술은 모든 하드웨어 중심적인 기존의 무선 통신 기기를 바꾸어 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SDR은 소프트웨어로 무선 장비의 사용 주파수, 변조 방식, 부가 서비스, 출력, 수신 감도 등 같은 무선 파라메타가 제어되는 기기이다. 전 세계적으로 이 기술에 의한 장비들이 개발, 보급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국내 도입에 있어서 단순히 기기의 수입을 통한 사용뿐만 아니라 앞으로 국내 생산업체의 기기 제조, 소프트웨어 개발, 제공 서비스 향상 등이 이루어 질 것이 전망된다. 그러나 향후 SDR의 보급과 사용자의 서비스 선택에 있어서 기기 간의 서비스 제공 방식의 경쟁적이고 독자적인 개발로 인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저해하는 요소가 불가피하게 발생될 것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의 SDR 제공 서비스의 기술 표준을 마련하여 생산업체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기본적으로 표준화되어야 할 요소들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 PDF

Ar 이온빔 조사에 따른 SnO2 박막의 물성 연구 (Effect of Ar Ion Irradiation on the Hydrogen Gas Sensitivity of SnO2 Thin Films)

  • 허성보;이영진;김선광;유용주;최대한;이병훈;김민규;김대일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279-282
    • /
    • 2012
  • $SnO_2$ thin films were prepared on the Si substrate by radio frequency (RF) magnetron sputtering and then surface of the films were irradiated with intense Ar ion beam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 ion irradiation on the properties and hydrogen gas sensitivity of the films. From atomic force microscope observation, it is supposed that intense Ar bombardments promote rough surface and increase gas sensitivity of $SnO_2$ films for hydrogen gas. The films that Ar ion beam irradiated at 6 keV show the higher sensitivity than the films were irradiated at 3 keV and 9 keV.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nO_2$ thin films irradiated with optimized Ar ion beam are promising for practical high-performance hydrogen gas sensors.

Enhancement of Methanol Gas Sensitivity of Cu Intermediate ITO Film Gas Sensors

  • Shin, Chang-Ho;Chae, Joo-Hyun;Kim, Yu-Sung;Jeong, Cheol-Woo;Kim, Dae-Il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267-270
    • /
    • 2010
  • Sn doped $In_2O_3$ (ITO) and ITO/Cu/ITO (ICI) multilayer films were prepared on glass substrates with a reactive radio frequency (RF) magnetron sputter without intentional substrate heating, and then the influence of the Cu interlayer on the methanol gas sensitivity of the ICI films were considered. Although both ITO and ICI film sensors had the same thickness of 100 nm, the ICI sensors had a sandwich structure of ITO 50 nm/Cu 5 nm/ITO 45 nm. The ICI films showed a ten times higher carrier density than that of the pure ITO films. However, the Cu interlayer may also have caused the decrement of carrier mobility because the interfaces between the ITO and Cu interlayer acted as a barrier to carrier movement. Although the ICI films had two times a lower mobility than that of the pure ITO films, the ICI films had a higher conductivity of $3.6{\cdot}10^{-4}\;{\Omega}cm$ due to a higher carrier density. The changes in the sensitivity of the film sensors caused by methanol gas ranging from 50 to 500 ppm wer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The ICI sensors showed a higher gas sensitivity than that of the ITO single layer sensors. Finall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CI film sensors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improved methanol gas sensors.

포토다이오드의 정전용량에 따른 버스트모드 광 수신소자의 수신감도 연구 (Study on Sensitivity of Burst-Mode Optical Receiver Depending on Photodiode Capacitance)

  • 이정문;김창봉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43-348
    • /
    • 2008
  • 본 논문은E-PON용 버스트모드 광 수신소자를 개발하여 FTTH의 상용화에 기여하고자 연구되었다. 수신소자는 1.25 Gb/s 데이터 전송속도에서 E-PON의 10, 20 Km OLT Rx규격에 만족할 수 있도록 수신감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정전용량을 최소화하여 제작하였다. 수신감도는 비트 오류율이 $10^{-12}$이고 PRBS가 $2^5-1$일 때 -26 dBm, loud/soft ratio는 23 dB으로 측정되었다. Preamble time과 guard time은 각각 102.4 ns(128 bit)로 설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광 수신소자에 주로 사용되는 정전용량이 0.53 pF인 포토다이오드와 정전용량이 최소화된 0.26 pF인 포토다이오드를 비교한 결과 정전용량이 0.26 pF인 포토다이오드로 제작된 버스트모드 광 수신소자 가 수신감도는 0.7 dBm, 대역폭은 190 MHz 더 향상되었다.

비동기식 CMOS IR-UWB 수신기의 설계 및 제작 (A Design of Non-Coherent CMOS IR-UWB Receiver)

  • 하민철;박영진;어윤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045-105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IR-UWB 통신에 적합한 저 전력, 저복잡도의 CMOS RF 수신기를 제작하였다. 제안된 IR-UWB 수신기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non-coherent demodulation 방식으로 설계, 제작되었다. 설계된 IR-UWB 수신기는 LNA, envelop detector, VGA, comparator로 구성되어 있으며, envelop detector, VGA, comparator는 $0.18{\mu}m$ CMOS 공정 기술을 이용하여 단일 칩으로 설계, 제작하였다. 측정 결과 data rate이 1 Mbps일 때 sensitivity가 -70 dBm이며, 이때 BER은 $10^{-3}$의 값을 가진다. 외부의 LNA를 제외한 단일 칩 CMOS IR-UWB 수신기의 전류 소모는 전압이 1.8 V일 때 5 mA이다.

수면 기름 유출 원격 탐사용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개발 (Development of a Microwave Radiometer for Remote Sensing of Oil Spills on the Water Surface)

  • 손홍민;박진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858-867
    • /
    • 2011
  • 본 논문은 수면의 기름 유출 유무, 유출된 기름의 분포 및 확산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원격으로 수집할 수있는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개발에 관한 연구 내용을 기술한다. 먼저 수면에 유출된 두께 0~4 mm 범위의 기름층을 0.2 mm 이내의 오차로 원격 측정이 가능한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개발 목표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목표 사양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라디오미터 수신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수신기의 시스템 이득과 잡음 지수의 budget 분석을 통해 설계의 적절성을 점검하였으며, 이 결과를 활용하여 수신 주파수 10.65 GHz, 대역폭 58 MHz로 47.3 dB의 시스템 이득과 0.46 K 이내의 수신 감도를 갖는 고이득, 고감도 수신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수신기와 표준 혼 안테나로 구성된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로 실제 수면 유막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0.13 mm 이내의 오차로 0~5 mm 범위의 유막 두께를 측정하는데 성공하여 목표 성능이 만족함을 검증하였다.

지상파 DMB RF 수신기에서 클락 잡음 제거를 위한 인쇄 회로 기판 설계 (Design of Printed Circuit Board for Clock Noise Suppression in T-DMB RF Receiver)

  • 김현;권순영;신현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130-1137
    • /
    • 2009
  • 본 논문은 지상파 DMB에서 기준 클락 신호에 의한 RF 수신기의 민감도 열화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PCB 설계 기법을 제안하였다. 현재 DMB 수신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기준 주파수는 16.384 MHz, 19.2 MHz, 24.576 MHz의 세 종류가 있다. 이러한 기준 주파수의 고조파 성분이 RF 채널 주파수에 근접할 경우, 해당 채널의 감도가 심각히 열화될 수 있다. 이러한 클락 고조파 결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트립라인 형태의 새로운 클락 배선 설계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인덕턴스 성분을 사용하여 클락 신호의 접지 단자를 주 접지 단자와 분리하고, 클락 신호선과 주변 접지면의 결합 커패시턴스 성분을 최소화 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DMB 수신기 보드에 적용하여 수신기의 감도가 최대 2 dB 개선됨을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무선 PAN 응용을 위한 FPGA 설계 및 SoC (FGPA Design and SoC Implementation for Wireless PAN Applications)

  • 김용성;김선희;홍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62-46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KOINONIA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표준을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배열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로 설계하고 시스템 온 칩 (SoC: System on Chip)으로 구현하였다. 변조부에서는 정진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잉여 비트를 이용하여 부호화하였고, 수신부에서는 이 잉여 비트를 복호 하는데 사용함으로써 낮은 신호 대 잡음비 (SNR: Signal to Noise Ratio)에서도 동작이 가능하게 하였다. KOINONIA WPAN은 400만 게이트 급의 FPGA에서 44MHz이상으로 동작하였으며, 무선 주파수 (RF: Radio Frequency) 모듈과의 연동 실험에서는 최소 입력 전력 레벨 감도 (MIPLS: Minimum Input Power Level Sensitivity)가 -86dBm인 환경에서 SNR은 13dB, 패킷 오율 (PER: Packet Error Rate)은 1% 이하라는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SoC 칩은 하이닉스 0.25um 상보 금속 산화 반도체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공정을 이용하였으며 면적은 $6.52mm{\times}6.92mm$이다.

수면 온도 원격탐사용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개발 (Development of a Microwave Radiometer for Remote Sensing of Water Surface Temperature)

  • 손홍민;윤정범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107-1115
    • /
    • 2012
  • 본 논문은 수면에서 복사되는 마이크로파 대역의 미약한 열잡음 전파를 수신하여 수면 온도의 변화를 실시간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개발에 관한 연구 내용을 소개한다. 수면 온도의 원격 측정 범위 $5{\sim}30^{\circ}C$, 최대 오차 $2^{\circ}C$의 성능을 달성하는 데 요구되는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설계 사양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한 라디오미터 수신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성능 측정 결과, 제작된 수신기는 주파수 5.02 GHz, 대역폭 50 MHz, 45.2 dB의 시스템 이득과 수신 감도 0.56 K 이내로 설계 목표 사양을 만족하였다. 제작된 수신기와 표준 혼 안테나로 구성된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로 간이 풀장을 이용 $7.5{\sim}18^{\circ}C$ 범위의 수면 온도 변화에 대한 원격 측정 실험 결과, 오차 $0.45^{\circ}C$ 이하의 수면 온도 측정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면 염분 원격탐사용 L-Band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개발 (Development of a L-Band Microwave Radiometer for Remote Sensing of Water Surface Salinity)

  • 손홍민;윤정범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900-907
    • /
    • 2013
  • 본 논문은 수면으로부터 복사되는 마이크로파 대역의 미약한 열잡음 전파를 수신하여 수면 표층수의 염분농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한 L-band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개발에 관한 연구 내용을 기술한다. 먼저 수면 염분 농도의 원격 측정 가능 범위 0~40 psu, 최대 오차 2 psu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설계 사양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사양을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라디오미터 수신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제작된 수신기는 주파수 1,390 MHz, 대역폭 45 MHz로 47 dB의 시스템 이득과 0.41 K 이내의 감도를 갖는다. 제작된 수신기와 표준 혼 안테나로 구성한 L-band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로 간이 풀장에 형성된 염분 농도 0~28 psu 범위의 수면을 대상으로 한 원격 측정 실험 결과, 10~28 psu 구간에서는 1.4 psu 이하로, 0~10 psu의 낮은 염분 농도 구간에는 2.9 psu의 오차로 수면 염분 농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