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cal 소거능

검색결과 1,802건 처리시간 0.043초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오계란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Ogae Egg White Protein Hydrolysates using commercial Protease)

  • 하유진;지중구;유선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31-642
    • /
    • 2017
  • 식물 및 동물성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형태의 단백질 가수 분해물들은 항산화, 고혈압 완화, 면역조절, 진통완화 및 항균작용 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6가지 프로티아제를 이용하여 오계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생산하고, 생산된 펩타이드의 항산화 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가수분해도의 최대값은 protamex(46.3%)이고, DPPH 라디칼 소거능 최대값은 bromelain(57.23%),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 최대값은 alcalase(30.21%),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 최대값은 alcalase(58.07%), $Fe^{2+}$ 킬레이션 능력 최대값은 alcalase(72.06%)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효소별 항산화 저해 능력 $IC_{50}$ 평가하였다. 그 결과 alcalase에 의한 최대값은 금속 킬레이션 능력($IC_{50}$, 1.24 mg/mL)이고, bromelain에 의한 최대값은 DPPH 소거능($IC_{50}$, 2.46 mg/mL)이고, flavourzyme에 의한 최대값은 금속 킬레이션 능력($IC_{50}$, 1.25 mg/mL)이고, neutrase에 의한 최대값은 DPPH 소거능($IC_{50}$, 3.64 mg/mL)이고, papain에 의한 최대값은 DPPH 소거능($IC_{50}$, 3.82 mg/mL)이고, protamex에 의한 최대값은 DPPH 소거능($IC_{50}$, 1.93 mg/mL)이었다. 따라서 protease를 이용하여 오계란 단백질에서 추출한 펩타이드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할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인진(茵蔯)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rtemisia capillaris $T_{HUNB}$. and Artemisia iwayomogi $K_{ITAM}$. used as Injin)

  • 서경순;윤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2-298
    • /
    • 2008
  • 본 실험은 전자공여능에 따른 $IC_{50}$을 살펴본 것으로 ethylacetate로 추출한 사철쑥 잎추출물에서 1.74${\mu}g/ml$, 잎과 줄기추출물에서 2.24${\mu}g/ml$, 더위지기 잎추출물에서 1.81${\mu}g/ml$, 잎과 줄기추출물에서 1.56${\mu}g/ml$로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 으며 다음으로 ether추출물, methanol추출물, water추출물 순이었으며 hexane추출물에서는 전자공여능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ethylacetate와 ether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기준으로 더위지기가 사철쑥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pH 조건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전반적으로 비극성 용매의 추출물보다는 극성 용매인 methanol추출물과 ethylacetate 추출물에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pH 1.2에서 ethylacetate추출물은 53.75${\sim}$84.25%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methanol추출물과 hexane추출물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소거능을 보였고, water추출물과 ether추출물에서는 소거능이 확실히 나타나지 않았다. 3일간 저장한 linoleic acid 기질에 대한 추출물별 항산화활성은 ethylacetate추출물에서 367${\sim}$423meq/k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exane, methanol, water, ether추출물순이었고 더위지기가 사철쑥에 비하여 조금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잎추출물과 잎과 줄기추출물사이의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솔잎, 녹차 및 비타민나무 잎 혼합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 of complex extracts from pine needle, green tea, and sea buckthorn leaves)

  • 지희영;박민규;주신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90-29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솔잎, 녹차 및 비타민나무 잎의 추출물과 그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시료 7종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SE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ABTS+ radical 소거능 및 환원력은 SE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superoxide radical 소거능과 아질산염은 GE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PE는 대부분의 실험에서 녹차 및 비타민나무 잎과의 혼합추출물이 단일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GE는 DPPH radical 소거능(300 ppm), ABTS+ radical 소거능(300 ppm) 및 환원력(100 및 500 ppm)에서 비타민나무 잎과 혼합추출하면 그 활성이 높아졌고, SE는 superoxide radical 소거능(100 ppm)과 아질산염 소거능(300 ppm)에서 녹차와 혼합추출하면 활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PE는 단일 및 혼합추출물 7종 중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낸 시료로 녹차 및 비타민나무 잎과 함께 혼합(PGSE)하여 사용한다면 솔잎의 낮은 항산화 활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솔잎, 녹차 및 비타민나무 잎을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 산업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을 이용하여 발효한 청국장의 항산화효과 (The Antioxidant Effect of Cheonggukjang, Fermented Using the New Strain,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 김한수;윤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343-535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나무 줄기표면에서 처음 발견 하였으나, 아직까지는 연구가 미흡한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의 생리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청국장 전통 발효 균주인 Bacillus subtilis NG24를 대조군으로 하여 항산화효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청국장 추출물의 항산화 실험 결과에서 Total Polyphenol 추출물 함량의 측정 결과는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 시료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32). SOD 유사활성과 DPPH radical 소거능 및 NO radical 소거능에서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을 포함한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추가적으로, 각 항산화 실험의 $IC_{50}$은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 시료에서 SOD 유사활성(p=0.045), DPPH radical 소거능(p=0.041), NO radical 소거능(p=0.019)과 같이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였다.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Mistletoe Cultivated on Prunus mume)

  • 허정원;;박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83-83
    • /
    • 2018
  • 최근 매실나무를 기주로 한 겨우살이의 인공재배에 성공함에 따라, 식 의약품과 화장품의 소재 및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80% 에탄올 및 증류수 초음파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인공재배한 매실나무겨우살이(동결건조) 및 강원도 홍천에서 채취한 자연산 굴참나무겨우살이(열풍건조, $30^{\circ}C$, 7day)의 80% 에탄올, 증류수 초음파추출물에 대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함량 그리고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시료의 농도에 비례하여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매실나무겨우살이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5,000ppm에서 $192.63{\mu}g/ml$로 가장 많았으며, 굴참나무겨우살이의 물 추출물이 100ppm에서 $4.86{\mu}g/ml$로 가장 낮고 매실나무겨우살이가 모든 용매에서 더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굴참나무겨우살이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5,000ppm에서 $83.59{\mu}g/ml$로 가장 높았으며, 매실나무겨우살이 물 추출물이 $4.6{\mu}g/ml$로 가장 낮았고 굴참나무겨우살이가 모든 용매에서 더 많은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80% 에탄올 추출물 5,000ppm에서 매실나무겨우살이 81.75%로 시료 중 가장 높았고, 굴참나무겨우살이 물 추출물 100ppm이 3.55%로 가장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겨우살이를 초음파추출법으로 추출할 때, 80% 에탄올 초음파추출물이 더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여 80%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비교적 적합하였다. 80% 에탄올로 초음파추출 하였을 때 동결건조 한 매실나무겨우살이가 열풍건조한 자연산 굴참나무겨우살이보다 더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고, 더 높은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보여줌에 따라 식 의약품 그리고 화장품의 소재화 및 산업화의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n-Hexane 및 Ethyl Acetate를 이용한 Willamette 품종 라즈베리추출물의 페놀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효능 연구 (Studies on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nt Efficacy of Rubus idaeus (Raspberry) Cultivar 'Willamette' Fruit Extract Using n-Hexane and Ethyl Acetate)

  • 박규근;윤여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29-337
    • /
    • 2020
  • 본 연구는 willamette 품종의 동결건조라즈베리분말, n-hexane 및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라즈베리 추출물(Rubus idaeus (Raspberry) fruit extract, RIFE)을 제조한 다음 페놀 화합물 함량, 철 이온 환원능력, 그리고 라디칼 소거 능력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Willamette 품종 라즈베리추출물은 10% 농도까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해당 농도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375.3 ppm,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3.46 ppm이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고,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reagent를 이용한 철 이온 환원능력은 FeSO4 0.532 mM에 해당하는 환원능력을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항산화 소재의 대표적 원료인 L-ascorbic acid와 비교하는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1-diphenyl- 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은 94.5 ± 0.7%를 나타냈고,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라디칼 소거능은 99.4 ± 2.82%를 나타냈으며, nitric oxide (NO) 라디칼소거능은 88.5 ± 0.4%를 나타냈다. 표준인 L-ascorbic acid 용액과 비교할 때 25 - 50 ppm 사이의 효능을 지닌 DPPH 라디칼 소거능 / 100 ppm에 근접한 효능을 지닌 ABTS 라디칼 소거능 / 1,000 ppm 이상의 효능을 지닌 NO 라디칼 소거능을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willamette 품종 라즈베리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의 항산화작용 (Antioxidative Proper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

  • 홍정희;전정란;이주현;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57-662
    • /
    • 2007
  • 본 연구는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고자, 약쑥 분획물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활성산소종 소거능 및 간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등을 관찰하였다. 약쑥의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OAc층에서 각각 $311.35{\mu}g/mg$$92.73{\mu}g/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52.71{\mu}g/mg$으로 분획물 중에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Superoxideanion의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26.47{\mu}g/mg$으로, 합성항산화제인 BHA($IC_{50}:\;49.78{\mu}g/mg)$ 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Hydrogen peroxide 소거능은 n-BuOH층의 $IC_{50}$$166.44{\mu}g/mg$으로, BHA의 소거활성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Hydroxyl 라디칼 소거능도 EtOAc층의 $IC_{50}$값이 $58.92{\mu}g/mg$으로, BHA($IC_{50}:\;80.85{\mu}g/mg)$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NO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65.94{\mu}g/mg$으로, BHA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 microsome에서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도 EtOAc층이 분획물 중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약쑥 분획물의 EtOAc층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활성산소종 소거능 및 간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도 관찰할 수 있었다.

국내산 Black Chokeberry와 Blueberry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lack Chokeberry and Blueberry Cultivated in Korea)

  • 정해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49-135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블랙초크베리와 블루베리의 기능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superoxide 음이온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금속 킬레이트 효과,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블랙초크베리가 117.20 mg/g, 블루베리가 42.26 mg/g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블랙초크베리가 32.50 mg/g, 블루베리가 26.39 mg/g으로 나타났다. 생리활성 측정 결과 블랙초크베리는 본 실험에서 조사한 기능성에서 탁월한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금속 킬레이트 효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5 mg/mL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의 활성과 대등하였다. 블루베리도 추출물의 농도증가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블랙초크베리의 0.2~0.7배에 해당하는 낮은 활성을 나타내어 블랙초크베리보다 기능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블랙초크베리와 블루베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생리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리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들 간에는 높은 양(+)의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찔레꽃 추출물의 용매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osa multiflora)

  • 여진실;전성식;최정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17-1223
    • /
    • 2014
  • 본 연구는 찔레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간의 항산화 활성 비교를 위해 in vitro에서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 ABTS, NO radical 소거능 및 환원력을 $10{\sim}500{\mu}g/ml$의 농도에서 실험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물(4.95~92.15%)과 에탄올추출물(2.76~90.55%)이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아졌으며 열수추출물이 더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열수추출물(4.44~92.99%)이 에탄올추출물(2.63~87.12%)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열수추출물(0.256~0.775)이 에탄올추출물(0.234~0.568)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그리고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보였으며, NO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열수추출물이 에탄올추출물보다 조금 높은 활성을 보였고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찔레추출물의 항산화력의 $IC_{50}$값을 비교한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각각 열수추출물에서 79.73, $79.82{\mu}g/ml$으로 나타났고,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145.85, $159.03{\mu}g/ml$로 나타났다. 총 페놀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140.74 mg/g, 에탄올추출물에서 37.83 m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45.31 mg/g, 에탄올추출물에서 42.68 mg/g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찔레꽃 추출물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실험들에서 모두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천연 항산화제로 이용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지모 추출물의 항산화 및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평가 (Antioxidant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 권오준;이하영;김태훈;김세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21-426
    • /
    • 2014
  • 지모를 70% methanol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 n-BuOH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및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n-BuOH 층의 1000 mg/ml의 시험농도에서는 91.2%의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지모 추출물에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이 라디칼 소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OAc층이 $IC_{50}=20.5{\pm}1.7mg/ml$, n-BuOH 층이 $IC_{50}=50.5{\pm}0.7mg/ml$의 활성이 확인 되었고, 강한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강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EtOAc 층의 $IC_{50}$$31.3{\pm}0.1mg/ml$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조군인 orlistat에 비해 약하나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강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오일의 형태로 얻어진 n-hexane 분획층은 항산화 활성 및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pancreatic lip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