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l artery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9초

박수 및 반복되는 직업적 가위질로 인하여 손바닥에 발생한 요골 동맥 진성 동맥류의 수술적 치험 - 1예 보고 - (Surgical Treatment of a True Radial Artery Aneurysm in the Palm, and This Was Caused by Handclapping and Repetitive - A case report -)

  • 이우성;김요한;지현근;황재준;김준석;이송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84-387
    • /
    • 2009
  • 요골 동맥의 동맥류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주로 동맥 도관 삽입과 같은 외상으로 인하여 야기된다. 대부분의 외상으로 인한 동맥류는 가성 동맥류로 대부분은 손목 부위에서 발생한다. 극히 적은 수의진성 동맥류가 요골 동맥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외인성으로 알려지고 있다. 오른손 잡이인 38세의 여자 환자에서 오른손 손바닥의 무지 융기 부위에 원위부 요를 동맥의 진성 동맥류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과도한 박수치기와 반복적인 가위질과 같은 직업적 손상으로 야기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녀는 동맥류에 대한 성공적인 수술적 치료를 받았다.

광전용적맥파를 이용한 요골동맥 산소포화도 측정 시스템의 연구 (A study for measurement of radial artery oxygen saturation system using photoelectric plenthysmography)

  • 김경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광전용적맥파를 이용하여 요골동맥에서 맥박 및 산소포화도를 검출하였다. 반사형으로 고안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요골동맥에서의 반사광은 수신부를 통해 측정되고, 이 측정된 신호는 스위칭을 통해 각각 625nm, 940nm의 파장대역의 신호로 분리된다. 분리된 신호는 각각의 맥박신호처리회로를 통해 맥박데이터로 구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반사 방식으로 손목부근의 요골동맥을 측정하였기에 투과방식이 아닌 반사방식의 산소포화도 측정에 적합한 방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얻었다. 얻어진 결과는 약 97%정도의 정확도로 산소포화도를 검출할 수 있었다. 또한, 정확한 신호를 얻기 위해서 요골동맥에 센서가 장착된 밴드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으며, 고정이 되도록 압박을 하였다. 결과로서 손목밴드의 장착을 통해 움직임에 의한 측정위치에러를 방지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맥진기를 이용한 좌우 맥파 및 혈관 특성 연구 (A Research of characteristics of left/right pulse wave and blood vessel using Korean medicine pulse diagnosis)

  • 강진호;이한별;김기왕;권정남;이병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55-165
    • /
    • 2014
  • Objectives: The pulse diagnosis to identify the symptoms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Korean medicine. The position and character of disease would be confirmed by pulse diagnosis of left and right radial artery.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left and right blood vessels. Methods: In this study, left and right radial artery and dorsalis pedis artery was measured and analyzed by using condenser typed pulse analyzer. Commercially available pulse analyzer was used to measure the radial artery. The pulse wave was measured in 20 laboratory healthy men and women. The blood vessel aging degree and index of augmentation of blood vessel was obtained from the measured pulse wave graph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 left and right blood vessel was analyzed. Resul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pulse transit time between the right handed and non-right handed was not found. The correlation of radial artery and dorsalis pedis arter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obtaining the blood vessel aging index (AGI) and augmentation index (AI) of blood vessel at the left and right radial artery,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ght handed and non-right handed was not found.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help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 of blood vessel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handed. We suggest that research of pulse wave of the left and right blood vessel using pulse analyzer should be needed in further study.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innervated radial artery superficial palmar branch flap: A series of 28 clinical cases

  • Yang, Jae-Wo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5호
    • /
    • pp.435-443
    • /
    • 2020
  • Background The innervated radial artery superficial palmar branch (iRASP) flap was designed to provide consistent innervation by the palmar cutaneous branch of the median nerve (PCMN) to a glabrous skin flap. The iRASP flap is used to achieve coverage of diverse volar defects of digits. However, unexpected anatomical variations can affect flap survival and outcomes. Methods Cases in which patients received iRASP flaps since April 1, 2014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by reviewing the operation notes and intraoperative photographs. The injury type, flap dimensions, arterial and neural anatomy, secondary procedures,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sults Twenty-eight cases were reviewed, and no flap failures were observed. The observed anatomical variations were the absence of a direct skin perforator, large-diameter radial artery superficial palmar branch (RASP), and the PCMN not being a single branch. Debulking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16 cases (57.1%) due to flap bulkiness. Conclusions In some cases, an excessively large RASP artery was observed, even when there was no direct skin perforator from the RASP or variation in the PCMN. These findings should facilitate application of the iRASP flap, as well as any surgical procedures that involve potential damage to the PCMN in the inter-thenar crease region. Additional clinical cases will provide further clarification regarding potential anatomical variations.

손목의 동맥 문합술 후 반복적 혈전형성 (Recurrent Thrombosis After Arterial Repair at the Wrist)

  • 조용현;노시균;이내호;양경무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667-669
    • /
    • 2009
  • Purpose: Radial and ulnar arteries are two major arteries responsible for the blood supply of the hand. We experienced early recurrent thrombosis of ulnar artery after arteriorrhaphy in a patient with rupture of ulnar and radial arteries due to glass injury. Thus, we thought this would require reviews. Method: 41 - year - old female patient was presented for the laceration of right wrist due to glass injury. Operative findings revealed the rupture of radial artery, ulnar artery, ulnar nerve and most of the flexor tendons. We performed three consecutive operations because of the recurrent arterial thrombosis in ulnar artery. Arteriorrhaphy was performed in each operation and the interpositional vein graft was performed in the final operation. Result: Consequently, doppler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on twentieth postoperative day and fair flow in the ulnar artery was visualized. 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artery revealed no histopathologic abnormalities. Conclusion: It is not a matter of ease to follow up the patients with rupture of radial or ulnar arteries. Obstruction of the repaired artery is also not easy to detect because it usually presents no definite symptoms. We could detect the obstruction of the artery following arteriorrhaphy with the doppler ultrasonography in less than a week postoperatively, and repeated operations were followed. We reviewed the causes and factors affecting the thrombosis and hereby report with literature review.

내시경을 이용한 요골동맥 수확법의 수술 방법과 결과 (Endoscopic Radial Artery Harvest: Techniques & Results)

  • 정영균;이종태;조준용;김규태;장봉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호
    • /
    • pp.35-41
    • /
    • 2006
  • 배경: 관상 동맥 우회로 조성술에서 요골동맥 이식편의 사용빈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저자들은 전통적 획득방법에 따른 미용상의 문제와 신경학적 증상 등을 줄이고자 내시경을 이용하여 요골동맥 이식편을 획득하였고, 그 사용 방법과 조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5년 4월까지 관상동맥우회로 조성술을 위해 내시경을 통한 요골동맥 수확을 시행한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요골동맥은 비우성의 팔에서 수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손목의 요골부에 2 cm절개를 시행하여 내시경을 삽입 후 요골동맥을 박리하고 전주와 부위에 5 mm 절개를 시행하여 요골동맥을 매듭 후 절제하였다. 결과: 표재 요골 신경 지배 부위의 감각 이상이 23예 있었으며 가쪽 아래팔 피부 신경 지배부위의 감각 이상은 없었으며 수부의 기능 저하 역시 없었다. 창상 내 국소 부위 혈종이 있던 1예를 제외하고는 창상 문제는 없었다. 술 후 7.9$\pm$3.6개월 후 전화 문진을 통해 추적 관찰하였으며 감각 이상을 보이던 23예 중 4예에서 증상이 지속되었으며 창상의 미용적인 측면에서는 모두 만족하였다. 술 후 요골동맥의 조기 개통성 평가를 위해 66예에서 다검출기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고, 원위부와 근위부 모두 협착이 2예(3.0$\%$), 폐색이 1예(1.5$\%$)가 관찰되었다. 결론: 내시경을 이용한 요골동맥 수확법은 전통적 개방식 수확법에 비해 수부의 기능 장애 없이 신경학적 합병증의 빈도는 낮았으며 창상의 미용학적 만족도는 매우 뛰어났다. 그리고, 이식편의 단기 개통률도 전통적인 방법과 차이가 없어 적극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2년과 4년 누적 생존율은 A군이 95.4$\%$, 79.9$\%$, B군이 95.4$\%$, 90.1$\%$였다(p=ns). 결론: 70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의 관상동맥우회술은 낮은 사망률과 만족할 만한 합병증 발생률로 시행될 수 있어 환자 나이만으로 수술 여부를 결정해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한다.rtening Fraction)은 평균 23.6$\pm$4.7$\%$에서 37.4$\pm$7.9$\%$로 호전되었고, 좌심실의 수축기말의 용적지수(LVEDDI: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mension index to body surface area)는 수술 전100.8$\pm$25.6 mm/$m^{2}$에서 79.3$\pm$ 15.8 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8체질 맥법 검증을 위한 요골동맥 파형 측정 센서 개발

  • 문성수;정용원;이중재;공준웅;이흥세;전국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2)
    • /
    • pp.9-12
    • /
    • 2001
  • In oriental medicine, it is possible to classify each person into eight kinds of constitutions based on the eight constitutional medicine theory. We developed a piezoelectric 3-channel tactile sensor using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film for pulse detection of the radial artery. High frequency buffer (impulse buffer), amplifier, 60 Hz noise notch filter and low pass filter were integrated on three sheets of PCB board. The pulses of the radial artery at three points were checked using our system. Each constitution of the eight ones has different combinations of pulses.

  • PDF

동맥 전단부의 역학적분석을 위한 새로운 실험적 방법 (A New Experimental Method of Mechanical Analysis for Arterial Cross-Section Research)

  • 황민철;신정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9-156
    • /
    • 1995
  • 동맥전단부를 연구할수있는 새로운 실험방법과 기계역학적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동맥역학적 연구는 대부분이 동맥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에 대한것이 이였다. 두께방향의 변형은 포아손비라든지 비압축성가정으로 이론적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두께에 걸친 변형의 변화도 무시되었다. 그러나 병리학적인 의미에서 동맥의 두께에 걸친 변형도와 변형의 분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므로 본연구에서 제안된 실험방법과 장치는 두께전반에 걸친 변형을 측정할수 있게 했다. 또한 전단부의 부위별 변형도의 관찰이 가능하고 병리적인 동맥경화증에 대한 현상과 역학적현상을 상관시킬 수 있음에 중요한 의미를 들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