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CC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 pemetrexed의 세포독성과 유전학적 다형성과의 상관성 조사 (Association of Genetic Variations with Pemetrexed-Induced Cytotoxicit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윤성애;최정란;김정오;신정영;장향하;강진형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3-112
    • /
    • 2010
  • 페메트렉시드(pemetrexed, $alimta^{(R)}$)는 중피종(mesothelioma)과 비소세포폐암 (non-small cell lung cancer)을 비롯한 다양한 암종에서 엽산(folate)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대사물질의 활성을 억제하여 항암효능을 나타낸다. 다중표적 항암제 (multitargeted antifolate)인 pemetrexed는 엽산의 세포내 주요 이동통로인 reduced folate carrier(RFC)를 통해 세포 내로 유입된 후 folylpolyglutamate synthetase (FPGS)에 의해 폴리글루타민산염(polyglutamate) 유도체로 활성되고 thymidylate synthase (TS)와 dihydrofolate reductase (DHFR)를 표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직형이 서로 다른 비소세포폐암 세포주를 선정하여 pemetrexed의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단일염기서열 다형성을 조사하고, mRNA와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여 pemetrexed의 세포독성 효과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4개의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인 A549, PC14, HCC-1588과 H226에서 RFC, FPGS, TS와 DHFR의 유전형을 조사하였다. Pemetrexed의 약물의 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해 real-time PCR과 Western blot 방법으로 mRNA 발현과 단백질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고, SRB 법으로 약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측정했다. PC14 세포주와 H226 세포주에서는 약물처리 전 RFC와 FPGS의 mRNA 발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IC_{50}$값이 각각 $0.08{\pm}0.01\;uM$$0.07{\pm}0.01\;uM$로 pemetrexed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A549 세포주에서 TS의 유전형이 2R/2R일 때 mRNA발현이 증가하고 pemetrexed의 약물 저항성과 관련이 있었다. 반면, TS의 유전형이 3R/3R로 나타난 H226에서는 mRNA 발현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지만 pemetrexed의 높은 감수성과 관련이 있었다. 세포주 모두에서 pemetrexed 약물처리 후 DHFR의 mRNA 발현은 약물처리 전보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단백질 발현은 오히려 증가하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DHFR 프로모터에 위치한 -1726C>T, -1188A>C SNP는 서로 연쇄 불평형 상태(linkage disequilibrium, LD)에 있었다. 연구결과에서 pemetrexed의 세포독성 효과는 약물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분자들의 유전형과 발현 정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다양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항암효능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제21번 염색체의 종양억제유전자 발굴 (Identific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on Chromosome 21)

  • 이응배;최진은;장진성;박재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141-147
    • /
    • 2009
  • 배경: 폐암의 암화과정에 관여하는 21번 염색체 장완에 존재하는 종양억제유전자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1q11.2 구역의 USP25, 21q21.2 구역의 NCAM2, ADAMTS1, 그리고 21q22.1 구역의 Claudin-8 (CLDN8), Claudin-17 (CLDN17), TIAM1 유전자를 대상으로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 이들 유전자의 발현 정도와 돌연변이 및 촉진자 메틸화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13가지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가운데 7가지 세포주(L132, H157, H358, H522, H1299, H1703, HCC2108)에서 CLDN8, CLDN17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ADAMTS1의 경우 6가지 세포주(A549, SW900, H1299, H1373, H1703, H1793)에서 발현양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유전자 발현의 감소가 있는 세포주와 그렇지 않은 세포주간의 PCR-SSCP의 band pattern의 차이가 없으며 염기서열의 분석에서도 genetic alteration은 관찰되지 않았다. 발현이 감소되어 있는 세포주에 5-Aza-CdR을 처리한 경우 유전자의 발현양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론: ADMTS1, CLDN8, CLDN17 유전자는 폐암의 암화과정에 관여하는 종양억제유전자일 가능성을 시사하며, 유전자의 발현 감소는 유전자 촉진자 부위의 methylation에 의함을 시사한다.

miR-340 Reverses Cisplatin Resista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s by Targeting Nrf2-dependent Antioxidant Pathway

  • Shi, Liang;Chen, Zhan-Guo;Wu, Li-li;Zheng, Jian-Jian;Yang, Jian-Rong;Chen, Xiao-Fei;Chen, Zeng-Qiang;Liu, Cun-Li;Chi, Sheng-Ying;Zheng, Jia-Ying;Huang, Hai-Xia;Lin, Xiang-Yang;Zheng, F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3호
    • /
    • pp.10439-10444
    • /
    • 2015
  • Many chemotherapeutic agents have been successfully used to treat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however, the development of chemoresistance in liver cancer cells usually results in a relapse and worsening of prognosi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DNA methylation and histone modification play crucial roles in chemotherapy resistance. Currently, extensive research has shown that there is another potential mechanism of gene expression control, which is mediated through the function of short noncoding RNAs, especially for microRNAs (miRNAs),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ir roles in cancer cell drug resistance. In present study, by taking advantage of miRNA effects on the resistance of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line to cisplatin,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miR-340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whereas Nrf2 was upregulated in HepG2/CDDP (cisplatin) cells, compared with parental HepG2 cells. Bioinformatics analysis and luciferase assays of Nrf2-3'-untranslated region-based reporter constructor indicated that Nrf2 was the direct target gene of miR-340, miR-340 mimics suppressing Nrf2-dependent antioxidant pathway and enhancing the sensitivity of HepG2/CDDP cells to cisplatin. Interestingly, transfection with miR-340 mimics combined with miR-340 inhibitors reactivated the Nrf2 related pathway and restored the resistance of HepG2/CDDP cells to CDDP. Collectively, the results first suggested that lower expression of miR-340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CDDP resistance i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at least partly due to regulating Nrf2-dependent antioxidant pathway.

Pseudoglandular Forma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Determines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in Diffusion-Weighted MRI

  • Park, In Kyung;Yu, Jeong-Sik;Cho, Eun-Suk;Kim, Joo Hee;Chung, Jae-Joo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2권2호
    • /
    • pp.79-85
    • /
    • 2018
  • Purpose: To determine the impact of pseudoglandular formation on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value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and to validate the results using histopathological grades. Materials and Methods: We assessed 182 HCCs surgically resected from 169 consecutive patients. Each type of tumor pseudoglandular formation was categorized into "non-," "mixed-," or "pure-," based on official histopathology reports. The ADC for each tumor was independently measured, using the largest region of interest on the ADC map. Data were assessed using the analysis of variance test, with Bonferroni correction for post hoc analysis to stratify the relationship of ADCs with pseudoglandular formation, followed by sub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histopathological tumor grades. Results: The mean AD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ure pseudoglandular lesions (n = 5, $1.29{\pm}0.08{\times}10^{-3}mm^2/s$) than in non-pseudoglandular lesions (n = 132, $1.08{\pm}0.17{\times}10^{-3}mm^2/s$; P = 0.003) or mixed-pseudoglandular lesions (n = 45, $1.16{\pm}0.24{\times}10^{-3}mm^2/s$; P = 0.034). The ADC values and pseudoglandular form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moderately differentiated HCCs (n = 103; r = 0.307, P = 0.007), while well- (n = 19) and poorly-differentiated HCCs (n = 60)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r = 0.105 and 0.068, respectively; P = 0.600 and 0.685, respectively). Conclusion: The degree of pseudoglandular formation could be one of the determinants of ADC in DWI of HCCs-especially moderately differentiated HCCs-while its influence does not appear to be significant in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HCCs.

만성 C형간염 환자에서 간섬유화 등급별 혈청표지자들의 Cut-off값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Cut-off Value for Fibrosis Serum Marker by Liver Fibrosis Stage in Chronic Hepatitis C Patients)

  • 남지희;김정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39-546
    • /
    • 2019
  • 간조직 생검은 침습적이며, 합병증의 위험을 동반함에도 불구하고 간섬유화의 정도를 예측하는 표준 진단법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만성 C형간염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Fibroscan(R)을 이용하여 간섬유화 등급을 나누고, ROC 곡선을 측정하여 혈청학적검사로 계산되는 FIB-4, APRI, AAR의 유용성과 실질적인 Cut-off value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간섬유화 평가를 위해 AAR을 적용하는 것보다는 APRI, FIB-4를 이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되며, 경한 섬유화 등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APRI, 간경변군인 F4등급에는 FIB-4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혈청학적 간섬유화 표지자의 간편하고 반복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이용해 간 섬유화의 경과 관찰 기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나아가 간경변과 간암의 유병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간암 동물 모델에서 2'-fluoro-2'-deoxy-1-${\beta}$-D-arabinofuranosyl-5-[$^{124}I$iodo-uracil ($[^{124}I]FIAU$) 소동물 PET 영상 연구 (Small Animal PET Imaging with [$^{124}I$]FIAU for Herpes Simplex Virus Type 1 Thymidine Kinase Gene Expression in a Hepatoma Model)

  • 채민정;이태섭;김준엽;우광선;정위섭;전권수;김재홍;이지섭;류진숙;천기정;최창운;임상무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3호
    • /
    • pp.235-245
    • /
    • 2008
  • 목적: 간암은 치명적인 질환으로 유전자 치료가 기존 치료의 대체적 치료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치료법의 발달과 함께 유전자의 발현을 평가할 수 있는 보고 유전자 시스템의 필요하다. 그 중 HSV1-tk 유전자는 보고 유전자로서 필요한 조건을 두루 만족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치료유전자를 따로 이입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 연구는 간암의 유전자 치료를 위해 간암 동물 모델에서 유전자로 HSV1-tk를 사용하고 보고 기질로 방사성 요오드 표지 2'-fluoro-2'-deoxy-1-${\beta}$-D-arabinofuranosyl-5-iodouracil (FIAU)를 사용하여 소동물 양전자 방출영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을 얻어 비침습적 생체 유전자 발현 영상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HSV1-tk 보고 유전자 이입 간암세포주인 MCA-tk와 MCA 세포주를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의 [$^{125}I$]FIAU의 섭취실험과 섭취량과 발현량의 상관성평가를 위해 세포수 백분율에 따른 섭취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하 간암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125}I$]FIAU의 생체분포를 평가하였으며 [$^{125}I$]FIAU를 이용하여 소동물 PET을 통한 생체영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HSV1-tk 유전자가 이입된 MCA-tk 세포에서는 특이적인 동위원소의 집적이 발생하였으며 대조군인 MCA에서는 거의 집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섭취 후 480 분에서 두 세포주의 섭취비는 15 배로 나타났다. MCA-tk 세포주의 백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125}I$]FIAU의 섭취량도 직선적 상관관계($R^2=0.9644$)에 따라 증가하여 기질의 섭취량이 유전자 발현량을 잘 반영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피하 종양 동물모델의 생체분포 결과 [$^{125}I$]FIAU는 초기에 신장으로 빠르게 배출되며 1 시간 이후 생체내 deiodinase에 의하여 분해되어 위와 갑상선의 섭취가 증가된 값을 보였다. MCA-tk 종양 대 혈액 비와 MCA-tk 종양 대 근육 비는 투여 후 24 시간 사이에 최대 641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HSV1-tk 유전자가 발현하지 않은 MCA종양에 비하여 MCA-tk 종양은 192.7 배 높은 섭취를 보여 [$^{125}I$]FIAU의 섭취는 HSV1-tk 유전자 발현에 특이적임을 확인하였다. MCA-tk 종양 대 간의 집적의 경우에도 초기 1시간에 13.8 배, 4 시간에 66.8 배, 24 시간에 혈액 비와 비슷한 정도의 588.3배 이상의 대조도를 보여 주었다. [$^{124}I$]FIAU를 보고 기질로 사용한 소동물 PET 생체영상에서 대조군인 MCA 종양과 보고 유전자가 이입된 MCA-tk 종양에의 집적이 차이가 매우 큰 대조도를 보여주었으며 생체분포 결과와 일치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125}I$-FIAU가 세포 섭취율 시험과 생체 분포에서 MCA-tk 종양에 높은 집적을 나타내었고 $^{124}I$-FIAU를 이용한 소동물 PET 영상에서 MCA-tk 종양이 표적장기인 간이나 MCA 종양에 비하여 매우 높은 대조도를 나타냈다. 향후, 간암의 유전자 치료에서 FIAU은 HSV1-tk를 보고 유전자로 사용할 때 적절한 기질로서 비침습적으로 핵의학 영상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의 평가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어성초 추출물의 발효적성 및 발효액의 특성 비교 (A Study on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Fermentability and Fermented Broth for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s)

  • 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2-127
    • /
    • 2009
  • 어성초가 자연발효에 의존할 경우 잡균 및 산막효모의 오염 및 발효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발효된 어성초 엑기스에서 야생효모를 분리하고, 어성초 추출물에서의 발효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15^{\circ}Brix$ 당용액에서 알코올 함량은 배양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배양 90시간째에 HCE 12%, HCD 11.2%, HCA 10.5% 순으로 높았다. HCF, HCG, HCB, HCC는 알코올 함량이 $7.5{\sim}8.5%$ 사이였다. 당용액에서 알코올 생성능이 가장 높은 HCE와 HCD 균주를 어성초 분리효모로 선정하고, 어성초배지(어성초 착즙액:증류수(1:1)에서 기존 Saccharomyces 균주와 발효력 비교 검토 결과, pH는 발효 전 $4.09{\sim}4.12$에서 발효 후 $3.57{\sim}3.78$로, 당도는 발효전 $15.00{\sim}15.19$에서 $7.75{\sim}9.57$로 감소하였다. 산도는 발효전 $0.138{\sim}0.210$에서 발효 후 $0.282{\sim}0.450$으로 증가하였으며, 알코올 함량은 발효 후 $3.6{\sim}4.6$으로 어성초 분리균인 HCD와 HCE가 감, 사과 및 포도에서 분리한 DJ97, YJK, R12, RCY 보다 소폭 높았다. 발효된 어성초배양액은 어성초 특유의 강한 비린내가 감소하고 생성된 알코올로 인해향은 보통 수준 이상의 관능평가를 얻었으나, 맛은 보통 이하로 낮은 관능평가를 얻었다. 색은 최저 $4.75{\pm}1.44$, 최고 $6.85{\pm}1.63$으로 HCE가 관능항목 중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최저 $3.95{\pm}1.17$, 최고 $5.00{\pm}1.41$로 보통의 수준으로 이는 맛의 기호도가 충족되지 못하여 낮은 관능평가를 얻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색,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균주간의 유의성(p<0.05)은 인정되지 않았다. 어성초 특유의 비린내를 보완할 수 있는 부재료를 첨가하여 맛을 완화시킬 수 있다면 어성초를 이용한 약용주의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mpact of RGD Peptide Tethering to IL24/mda-7 (Melanoma Differentiation Associated Gene-7) on Apoptosis Induc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 Bina, Samaneh;Shenavar, Fatemeh;Khodadad, Mahboobeh;Haghshenas, Mohammad Reza;Mortazavi, Mojtaba;Fattahi, Mohammad-Reza;Erfani, Nasrollah;Hosseini, Seyed Youne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6073-6080
    • /
    • 2015
  • Background: Melanoma differentiation-associated gene-7 (MDA-7)/interleukin-24 (IL-24), a unique tumor suppressor gene, has killing activity in a broad spectrum of cancer cells. Herein, plasmids producing mda-7 proteins fused to different RGD peptides (full RGD4C and shortened RGD, tRGD) were evaluated for apoptosis induction with a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Hep-G2. The study aim was to improve the apoptosis potency of mda-7 by tethering to RGD peptide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plasmids including mda-7, mda-7-RGD and mda-7-tRGD genes beside a control vector were transfected into Hep-G2 cells. After 72 hours incubation,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by MTT assay. In addition, the rate of apoptosis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using PI/annexin staining. To detect early events in apoptosis, 18 hours after transfection, expression of the BAX gene was quantified by real time PCR. Modeling of proteins was also performed to extrapolate possible consequences of RGD modification on their structures and subsequent attachment to receptors. Results and Conclusions: In MTT assays, while all mda-7 forms showed measurable inhibition of proliferation, unmodified mda-7 protein exhibited most significant effect compared to control plasmid (P<0.001). Again, flow cytometry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apoptosis induction by simple mda-7 gene but not for those RGD-fused mda-7 proteins. These findings were also supported by expression analysis of BAX gene (P<0.001). Protein modelling analysis revealed that tethering RGD at the end of IL-24/Mda7 disrupt attachment to cognate receptor, IL-20R1/IL-20R2. In conclusion, fusion of RGD4C and shortened RGD peptides to carboxyl terminal of mda7, not only reduce apoptosis property in vitro but also disrupt receptor attachment as demonstrated by protein modelling.

Parenchymal-sparing anatomical hepatectomy based on portal ramification of the right anterior section: A prospective multicenter experience with short-term outcomes

  • Truong Giang Nguyen;Thanh Khiem Nguyen;Ham Hoi Nguyen;Hong Son Trinh;Tuan Hiep Luong;Minh Trong Nguyen;Van Duy Le;Hai Dang Do;Kieu Hung Nguyen;Van Minh Do;Quang Huy Tran;Cuong Thinh Nguyen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33
    • /
    • 2024
  • Backgrounds/Aims: Parenchymal-sparing anatomical hepatectomy (Ps-AH) based on portal ramification of the right anterior section (RAS) is a new technique to avoid unnecessarily transecting too much liver parenchyma, especially in cases of major anatomical hepatectomy. Methods: We prospectively assessed 26 patients with primary hepatic malignancies having undergone major Ps-AH based on portal ramification of the RAS from August 2018 to August 2022 (48 months). The perioperative indications, clinical data, intra-operative index, pathological postoperative specimen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follow-up result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Among the 26 patients analyzed, there was just one case that had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The preoperative level of α-Fetoprotein was 25.2 ng/mL. All cases (100%) had Child-Pugh A liver function preoperatively. The ventral/dorsal RAS was preserved in 19 and 7 patients, respectively. The mean surgical margin was 6.2 mm. The mean surgical time was 228.5 minutes, while the mean blood loss was 255 mL. In pathology, 5 cases (19.2%) had microvascular invasion, and in the group of HCC patients, 92% of all cases had moderate or poor tumor differentiation. Six cases (23.1%)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graded over III according to the Clavien-Dindo system, including in three patients resistant ascites or intra-abdominal abscess that required intervention. Conclusions: Parenchymal-sparing anatomical hepatectomy based on portal ramification of the RAS to achieve R0-resection was safe and effective, with favorable short-term outcomes. This technique can be used widely in clinical practice.

90Y SIR-Spheres를 사용한 암의 간 전이치료에서 PET 영상획득에 관한 초기연구 (Assessment of Acquisition Protocols for Post-Radioembolization Yttrium-90 PET/CT: Initial Study)

  • 반영각;오신현;김정열;이승재;박준영;신희순;임한상;김재삼
    • 핵의학기술
    • /
    • 제18권1호
    • /
    • pp.89-93
    • /
    • 2014
  • $^{90}Y$ SIR-Sphere 를 사용한 암의 간 전이치료에서 치료 후 평가를 위한 PET/CT 영상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90}Y$ 의 PET 에서의 영상의 상관도를 보기 위해 Dose calibrator 의 측정치와 영상에서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나타낸 측정치와의 상관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90Y SIR-Spheres 를 사용하여 암의 간 전이치료를 받은 15명의 환자에서 20분간 LIST mode로 획득한 PET 영상에서 간의 섭취계수가 높은 부분, 중간 부분, 낮은 부분, 세 부분으로 나누어 관심영역의 계수를 측정하여 적정 영상 획득 조건을 연구하였다. $^{90}Y$ 의 PET 영상에서의 상관도는 Y-90 의 측정치와 PET영상의 관심영역을 설정한 부위의 계수는 통계적으로 상관도가 있다고 나타났고($R^2=0.956$), PET 계수는 모든 관심영역의 계수는 영상획득시간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 하였다 그러나, PET 영상의 관심영역 계수가 높은 부분은 평균 약 10분, 중간 부분은 평균 약 14분, 낮은 부분은 평균 19분에서 표준편차의 평형을 나타냈다. $^{90}Y$의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PET 영상을 획득하는데 적합하였고, PET/CT 영상 평가는 적절한 영상 시간을 획득한다면, $^{90}Y$ SIR-Spheres 를 사용한 암의 간 전이치료에서 치료 후 평가에 유용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