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NA sequence

검색결과 1,276건 처리시간 0.034초

미토콘드리아 16S rDNA부분 염기서열을 이용한 한국산 개구리 속(Amphibia: Ranidae)의 종간, 종내 변이에 대한 연구 (Intra-, Inter-specific Variation of Korean Rana (Amphibia: Ranidae) Based on the Partial Sequence of Mitochondrial 16S rDNA)

  • 송재영;신정아;장민호;윤병수;정규회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66-74
    • /
    • 2004
  • 한국에 분포하고 있는 개구리 속에 대한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상호 비교하여 종간 유전적 변이 정도를 밝히고자 한국산 개구리 속 6종과 일본산 개구리 속 1종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165 rDNA를 분석하였으며, Gene-bank에 수록된 일본산 산개구리류 3종도 함께 비교 분석하여 총 437 bp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산개구리류 7종에 대한 similarity는 91.3∼97.3%이며, 참개구리류는 96.1∼97.3%로 나타났다. 또한, 참개구리류와 옴개구리류의 genetic distance가 참개구리류와 산개구리류보다 더 가깝게 나타났다. Neighbor-joining분석에서 참개구리류와 산개구리류로 2개의 cluster를 형성하였는데, 이 중산개구리류는 총 3개의 subcluster를 형성하였다. 또한, 참개구리는 내륙지방과 도서지방에 분포하는 집단이 각각 나눠지는 것은 지리적 격리에 의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Maximum-likelihood분석도 NJ 분석 결과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옴개구리(R. rugosa)는 NJ와 ML분석에서 서로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한국산 옴 개구리가 남부지역과 기타 지역에서 유전적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일본 집단과 외부 특징에서 차이를 보이는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올바른 해석 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Genetic Relationships of Four Korean Oysters Based on RAPD and Nuclear rDNA ITS Sequence Analyses

  • 김우진;이정호;김경길;김영옥;남보희;공희정;정현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1-49
    • /
    • 2009
  •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 and sequence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ribosomal DNA were used to assess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four Korean oyster species.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specific markers identified from five universal rice primers (URPs) by RAPD-PCR was 1.8 for Crassostrea gigas, 3.2 for C. nippona, 3.6 for C. ariakensis, and 4.6 for Ostrea denselamellosa. The length of the ITS (ITS1-5.8S-ITS2) region ranged from 1,001 to 1,206 bp (ITS1, 426-518 bp; 5.8S, 157 bp; and ITS2, 418-536 bp), while the GC content ranged from 55.5-61.1% (ITS1, 56.8-61.8%; 5.8S, 56-57.3%; and ITS2, 54.1-62.2%).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oysters based on our RAPD, ITS1, and ITS2 sequence data reveal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 gigas and C. nippona and a distant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 Crassostrea and Ostrea. Our results indicated that RAPD and ITS sequence analysis was a useful tool for the elucidation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for the selection of species-specific markers in Korean oysters.

  • PDF

DNA 마이크로어레이 시스템 분석을 통한 S. lividans 유래 항생제 조절유전자 afsR2 기능 분석 (Functional Analysis of an Antibiotic Regulatory Gene, afsR2 in S. lividans through DNA microarray System)

  • 김창영;노준희;이한나;김응수
    • KSBB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259-266
    • /
    • 2009
  • AfsR2 과발현 S. lividans TK21을 이용하여 DNA microarra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phosphate starvation과 관련 있는 42개의 유전자들이 up-regulated 되었으며, 특히 SCO4139 (pstB, phosphate ABC transport system ATP-binding protein)와 SCO4142 (pstS, phosphate-binding protein precursor)는 afsR2가 phosphate와 같은 nutrient starvation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SCO4228 (putative phosphate transport system regulatory protein)은 기존에 수행되었던 2D-electrophoresis 연구나 afsS null S. coelicolor를 이용한 DNA microarray 연구에서도 공통적으로 보고되었던 유전자로서 phosphate lilitation에 대한 afsR2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검증되고 있음을 뜻한다. 또한 afsR2 과발현을 통해서 sigma factor인 SCO2954 (sigL)과 SCO5147 (sigE)의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두 유전자의 구조적인 특징을 고려해 보았을 때 afsR2가 RNA polymerase와의 linker로서의 역할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whi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또한 afsR2에 의해 증가되었다. 이는 afsR2가 단순히 2차 대사물질 생합성 조절에만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형태적 분화에 작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여러 2차 대사물질의 합성을 유도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afsR2가 기존에 항생제 생합성에만 관여하는 global regulatory 조절인자가 아닌 방선균이 stationary phase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형태적 분화에 영향을 미치고 phosphate limitation stress를 줄여주는 2차 대사의 key-factor regulatory 유전자임을 알 수 있다.

16S rDNA 증폭에 의한 부분염기서열을 이용한 분뇨 발효 관련 고온 호기성 박테리아의 동정 (Identification by 16S rDNA Partial Sequencing of Thermophilic Bacteria with Fermentation of Pig Manure)

  • 김명길;최돈하;최인규;김병규;송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68-78
    • /
    • 2006
  • 돈분뇨 분해 장치의 발효 속도를 가속화시키는 토착미생물의 확보를 위하여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수집한 균주 중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고 168 rDNA 증폭에 의한 동정을 실시하여 돈분뇨 분해에 관여하는 균주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23장소(서울, 충청, 강원, 전북, 전념, 경남 지역)에서 28종류의 부숙 퇴비를 수집하여 생균수를 조사한 결과 대체적으로 $1{\times}10^5{\sim}10^8$의 분포 밀도를 보였다. 분리한 균주의 효소 생산 역가결과는 $30^{\circ}C$에서 보다 $55^{\circ}C$에서 배양된 고온호기성박테리아가 상대적으로 높은 섬유소분해효소와 전분분해효소 생산력을 보였고, genomic DNA의 추출에 의한 168 primer로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돈분뇨 발효에 관여하는 고온호기성박테리아는 15종으로 동정되었다. 그 중 미생물제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효소 역가 면에서도 우수성을 보이고 내생 포자를 형성하는 균주는 Bacillus subtihs로 확인되었다.

Phylogenetic Analysis of Phellinus linteus and Related Species Comparing the Sequences of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 Lee, Jae-Dong;Kim, Gi-Young;Park, Joung-Eon;Park, Hyung-Sik;Nam, Byung-Hyouk;An, Won-Gun;Lee, Tae-H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26-134
    • /
    • 2001
  • The phylogenetic tree displayed the presence of five groups in the Phellinus genus, which were distinguished based on their morphology. Most of the p. linteus appeared a cluster which was highly significant with the exception of P. linteus KACC 500122 and KACC 500411. They formed the sister taxa of P 1inteus where P. baumii, Phellinus sp. MPNU 7003, MPNU 7007, and MPNU 7010 had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lso, P. nigricans IMSNU 32024 and P. pini var, carniformans IMSNU 32031 were grouped in the same cluster with P. igniarius KCTC 6227, KCTC 6228, and P. chrysoloma KCTC 6225 extracted from the Gen-Bank database. P. torulosus IMSNU 32028 and Phellinus sp. MPNU 7011 formed a closed group, however, these species had a distant taxa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Phellinus species.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of ribosomal DNA (rDNA) including the 5.85 rDNA were determined from 24 strains of the Phellinus genus in order to analyze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 These fungi were divided into two basic groups based on their ITS length, however, this grouping was different from that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lthough various ITS sequences were ambiguously aligned, conserved sites were also identified. Accordingly, a neighbor-joining tree was constructed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 data of the conserved sites of the ITS regions and the 5.8S rDNA.

  • PDF

핵 및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국내 Phytophthora 속의 Multi-locus phylogeny 분석 (Multi-locus Phylogeny Analysis of Korean Isolates of Phytophthora Species Based on Sequence of Ribosomal and Mitochondrial DNA)

  • 서문원;송정영;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0-47
    • /
    • 2010
  • Phytophthora 속의 핵(ypt 유전자, rDNA-IGS region) 및 미토콘드리아(Cox 유전자, $\beta$-tubline 유전자, EF1A 유전자) 내에 존재하는 5가지 유전자 영역을 이용하여 국내 Phytophthora 속 14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국내 Phytophthora 속은 외국의 Phytophthora 속과 동일한 clade를 형성하였으나, 외국의 Phytophthora 속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분자생물학적 분류와 형태학적 분류와는 연관성을 찾기 어려웠다. 기존에 보고된 국내 P. palmivora KACC 40167 균주의 그룹이 국내에서 보고된 분류체계와 일치하지 않아 추후 재검토가 필요하였다. P. cryptogea-P. drechsleri complex group 내 국내 P. cryptogea KACC 40161 균주와 P. drechsleri KACC 40195 균주는 서로 94% 이상의 유사도를 보여 재동정이 필요하였으며, P. parasitica와 P. nicotianae간의 유사도가 99% 이상으로 나타나 이 두 종간에 통일된 종명이 요구된다. 또한 현재 분자계통학상 5그룹으로 구분된 국내 Phytophthora 속을 외국균주들과 비교하여 10개의 그룹으로 새롭게 재분류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내 Phytophthora 속의 유전적 다양성 연구를 위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Westerdykella reniformis: A New Record from Field Soils in Korea

  • Adhikari, Mahesh;Kim, Sang Woo;Gwon, Byeong Heon;Ju, Han Jun;Lee, Hyang Burm;Lee, Youn Su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7-53
    • /
    • 2020
  • During a survey of fungal diversity in different provinces of South Korea in 2017, a new fungal isolate was discovered. This fungal isolate was identified as Westerdykella reniformis, based on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is, us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28S ribosomal DNA (28S rDNA) sequence data. To our knowledge, W. reniformis has not previously been reported in South Korea. Thus, in this study, we report a new record of a species from the Dothideomycetes class in Korea, and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with morphological illustrations.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Dumortiera hirsuta

  • Kwon, Woochan;Kim, Yongsung;Park, Jongs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43-43
    • /
    • 2018
  • Dumortiera hirsuta (Sw.) Nees (Dumortieraceae) is a thallose liverwort distributed in tropics and subtropics. It is the only species in family Dumortieraceae, which is the second basal family in order Marchantiales. D. hirsuta is characterized by hairy receptacles and lacking air chamber.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D. hirsuta was successfully rescued from raw reads generated by HiSeq4000. Its total length is 122,050 bp consisting of four regions: large single copy (LSC) region (81,697 bp), small single copy (SSC) region (20,061 bp), and two inverted repeats (IRs; 10,146 bp per each). It contained 129 genes (84 coding DNA sequence (CDS), eight rRNAs, and 37 tRNAs); 18 genes including four rRNAs, and five tRNAs are duplicated in the IR regions. The overall GC content of D. hirsuta is 28.7%, which is almost same to that of Marchantia paleacea. Phylogenetic tree based on all genes from whole chloroplast genomes will provides phylogenetic position of D. hirstua. This sequence will be an fundamental resources for further researches of order Marchantiales.

  • PDF

송이버섯과 공생하는 소나무 세근으로부터 분리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let of Pinus densiflora Colonized by Tricholoma matsutake)

  • 유영현;윤혁준;우주리;임순옥;이진형;공원식;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3-226
    • /
    • 2011
  • 송이버섯 생육지의 소나무세근으로부터 내생균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내생균을 rDNA-ITS 영역으로 동정한 결과 18종이 확인 되었으며, 이중에는 자낭균류 15종, 털곰팡이 아문 3종이 포함되어 있음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내생균 중에는 Penicillium속 균주가 가장 높은 빈도로 생육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Identification of Some Phellinus spp.

  • Shin, Kwang-Soo
    • Mycobiology
    • /
    • 제29권4호
    • /
    • pp.190-193
    • /
    • 2001
  • Four strains of Phellinus spp. was identified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region of rDNA sequence analysi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idiocarps of all strains were effused-reflexed and hymenial surface was poroid. Hyphal system was dimitic and basidiospore was globose to ellipsoid. The amplification of ITS regions produced a DNA fragment of 500 to 780 by in all strains examined. The determined sequences were analyzed for the reconstruction of phylogenetic tree. From these results, Phellinus sp. KM-1, KM-2, and KM-4 was identified as P. hartigii, P. baumii, and P. linteus, respectively.

  • PDF